• 제목/요약/키워드: 가정적 자아존중감

검색결과 195건 처리시간 0.02초

다중지능 이론에 기초한 기술가정과 수업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자원의 관리와 환경 단원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Lesson Using 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in Technology${\cdot}$Home Economics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Esteem: Focused on the Resource Management and Environment Unit)

  • 노소림;이형실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수업을 기술${\cdot}$가정과의 '자원의 관리와 환경' 단원에 대하여 실시한 후 이러한 수업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중학교 2학년 남학생 74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에는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기술${\cdot}$가정과 수업을, 비교집단에는 전통적 방법의 수업을 6시간씩 실시하였다.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기술${\cdot}$가정과 수업을 적용한 후 분석한 결과,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기술${\cdot}$가정과 수업은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지능에 기초한 기술${\cdot}$가정과 수업은 기존의 수업 방법보다 다양한 활동으로 구성되며 교사 중심이 아닌 학생 중심으로 수업이 이루어짐으로써 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도움이 된다.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기술${\cdot}$가정과 수업은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 중에서 총체적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자아존중감의 향상에는 효과적이었으나 가정적 자아존중감과 학교적 자아존중감의 향상에는 효과가 없었다.

  • PDF

가정폭력을 경험한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통합예술치료의 효과성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Integrated Art Therapy to Improve the Self-Esteem of the Children who Experienced Domestic Violence)

  • 유선숙;배성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2호
    • /
    • pp.163-175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통합예술치료가 가정폭력을 경험한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의 효과성을 검증해 보는 것이며, 효과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양적연구로는 비모수 통계를 사용하여 자아존중감(Self-esteem)의 차이 검증을 하였다. 질적연구로는 동적가족화, 문장완성검사, 프로그램 보고서, 피드백 일지, 연구자와 보조치료사의 관찰일지를 이용하여 내면을 이해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전라북도내 I시에 소재한 I초등학생 4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실시 후 총체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 학교적 자아존중감이 유의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합예술치료는 자신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 구체적 인식을 증진시켜 총체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 학교적 자아존중감 향상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정폭력을 경험한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 또래관계와 대인 관계 개선을 위해 통합예술치료를 향후 학교나 기관에서 실시한다면 사회적 비용절감과 거리감을 좁혀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실천적 추론 수업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ractical Reasoning Home Economics Instruction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Esteem)

  • 유태명;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1-47
    • /
    • 2006
  •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실천적 추론을 강조한 가정과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현장 교사가 이 수업을 실행하여 자아존중감의 효과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형태는 의사실험 연구(quasi-experimental research)로서 독립 변수는 실천적 추론 가정과수업이며 종속변수는 자아 존중감이다. 본 연구의 설계는 전후검사설계로 기존의 학급을 유지하면서 실험집단에는 실천적 추론 가정과수업을 행하고 비교 집단에는 기존에 행하고 있는 가정과수업을 그대로 행하여 실험전과 후에 자아존중감을 검사를 하였다.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최보가와 전귀연(1993)이 연구 개발한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조사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 알파계수가 .69에서 .84의 범위 수준이었다.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평균과 표준편차, 빈도와 백분율을 내었으며, 집단의 사전 사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대응표본 t-test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실천적 추론 가정과 수업은 중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 특히 자아존중감 하위영역 중 일반적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실천적 추론 수업은 학생들로 하여금 결심하면 실천하도록 하며, 자신에 대해서 만족하구 혼자의 힘으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이 자신을 좋아하고, 원하면 친구를 사귈 수 있다고 생각하게 하는데 효과적인 수업이라는 결론을 내린다.

  • PDF

가정내 사회적 자본이 청소년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in Family on Adolescents' Depression)

  • 염소림;최유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255-266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가정내 사회적 자본이 청소년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또한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가정내 사회적 자본과 우울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한국청소년패널조사 (KYPS) 초등학교 4학년 3차-5차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2,306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가정내 사회적 자본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우울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내 사회적 자본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우울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아존중감은 가정내 사회적 자본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우울을 완화시키기 위해 부모-자녀 간의 긴밀한 상호작용을 통한 가정 내 사회적 자본을 증진시키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가정내 사회적 자본을 구성하는 부모-자녀 관계의 친밀감과 신뢰, 가족기능의 강화를 위한 개입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또한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담프로그램과 서비스를 통해 청소년의 우울을 예방하거나 완화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부모의 양육행동과 청소년의 또래관계 간 관련성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Behaviors and Peer Relations Among Adolescents)

  • 이형실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75-83
    • /
    • 2014
  •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여 부모의 양육행동과 또래관계 간 관련성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하여 서울시에 있는 중학교 3학년 남녀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425부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 결과, 부모의 양육행동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아존중감은 또래관계에 높은 수준의 영향을 미쳤다. 구조모형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부모의 양육행동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또 자아존중감은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쳐, 부모의 양육행동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여 청소년 자녀의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행동이 자아존중감을 통해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부모의 양육행동과 또래관계 간의 관련성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 PDF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가족관계, 자기효능감 및 자아존중감과 비행의 구조모형 검증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bout Family Relationship, Self-Efficacy, Self-Esteem, and Delinquency of Adolescent in Single-Parent Families)

  • 이시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759-771
    • /
    • 2014
  • 본 연구는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가족관계와 개인내적 심리요인인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이 청소년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총괄적 구조를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하여 검증하여 한부모가정 청소년 비행의 보호요인을 확인하고, 비행의 예방 및 개입 방안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 정책연구원의 2012년 아동 청소년 정신건강 증진 지원방안 연구의 횡단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최종분석 대상에는 516명의 한부모가정의 중학생 및 고등학생이 포함되었다. 그 결과, 자기효능감과 비행 간의 관계를 제외한 모든 변수간의 경로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가족관계가 좋을수록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자아존중감은 청소년의 가족관계가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매개변수로서 검증되었다. 따라서 가족관계는 청소년의 비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긍정적인 가족관계를 통해서 자아존중감이 높아지고 이로 인해 비행이 감소할 수 있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비행을 예방하고 개입할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방사선과 대학생의 감성지능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Self-Esteem of College Student Majoring Radiology)

  • 김형태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4권3호
    • /
    • pp.231-237
    • /
    • 2011
  • 복잡한 사회의 정보와 혼란 속에 청소년들의 자기인식과 자기실현을 위하여 중요한 심리, 성격적 요인이라고 할 수 있는 요인 중 하나가 자아존중감(Self-Esteem)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전국의 방사선과 대학생들을 편의추출하여 방사선과 대학생들의 일반적 특성 중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요인을 찾아보고 또 감성지능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요인을 찾아봄으로써, 방사선과 학생을 지도하고 가르치는 환경과 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일반특성에서는 연령은 전반적 자아존중감에, 성별과 성적은 사회적 자아존중감에, 건강은 전반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정에서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성지능은 타인감성이해가 전반적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제외하고 모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생의 부모와의 관계, 자아존중감 및 가정교과의 가족생활영역 활용도 (Relationships with Parents, Self-esteem and Application of Family Life Part in Home Economics Curriculum of the Middle-school Students)

  • 안현선;이형실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07-118
    • /
    • 2007
  • 본 연구는 중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학생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른 가정교과의 가족생활영역 활용도 차이를 살펴보고 부모와의 관계와 자아존중감이 중학생의 가정교과의 가족생활영역 활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서울시에 거주하는 중학교 1학년의 9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후 최종 878부(남학생 437명, 여학생 44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연구 결과를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들의 가정교과의 가족생활영역 전체 활용도에 있어서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하위영역별 활용도의 차이에서는 '청소년의 특성' 단원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고, '규칙적인 생활', '긍정적인 자아 정체감형성'의 문항에서 남학생의 활용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들은 부모와의 관계가 긍정적일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가정교과의 가족생활영역 전체 활용도가 높았고, 하위영역 '청소년의 특성', '성과 이성교제', '나와 가족관계'에서도 부모와의 관계가 긍정적일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활용도가 높았다. 또한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부모와의 관계가 긍정적일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실생활에서 가정교과의 가족생활영역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lf-regul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on Self-esteem and Self-control of Adolescents on Probation)

  • 허정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236-24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하위 영역 가운데 총체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자기통제력 하위 영역 가운데 충동억제, 정서통제 등의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경험적으로 증명한 것이다. 따라서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통해서 보호관찰소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이 향상이 되면, 청소년들의 재범 확률이 크게 떨어 질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 보호관찰소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 향상을 위해 더욱더 활발한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실제로 활용도를 높여 가야 할 것이다.

가정과수업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Effectiveness of Home Economics Class on self-esteem and str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 박미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5-32
    • /
    • 2017
  • 본 연구는 2009 개정 실과(기술 가정) 교육과정에 의한 일상적인 가정과 수업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삶의 만족도와 가정과수업의 도움 정도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경기도 Y시 소재의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1년간 일상적인 가정과수업을 실시하면서 사전, 사후 설문 조사를 하였다. SPSS 18.0을 활용하여 기초통계분석, t-검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한 중학생의 긍정적 자아존중감은 2.74, 부정적 자아존중감은 1.90(4점 만점)이었으며, 스트레스의 범위는 5점 만점에서 1.88~2.48로 나타났다. 삶의 만족도는 3.90, 가정과수업의 도움 정도에 대한 인식은 3.89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라 가족에 의한 스트레스만 남학생이 사전 사후 조사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 외의 변인은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중학생의 긍정적인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 가족 스트레스와 친구 스트레스, 친구 스트레스와 학교생활 스트레스, 친구 스트레스와 신체 스트레스, 학교생활 스트레스와 신체 스트레스는 유의하게 높은 상관이 나타났다. 긍정적인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부정적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는 부적으로 중간 정도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가정과수업의 도움 정도에 대한 인식은 사후조사에서 긍정적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와 중간 정도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학교생활 스트레스와 신체 스트레스와는 약한 상관이 있었다. 넷째, 중학생들은 일상적인 가정과수업 후에 긍정적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가정과수업의 도움 정도에 대한 인식이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학교생활에 대한 스트레스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학생들의 성장과 타교과목의 학습에 따른 변화를 통제하지 못했다는 제한점이 있지만, 2009 개정 실과(기술 가정) 교육과정에 따른 일상적인 가정과수업이 긍정적인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학교생활에 대한 스트레스를 줄여주며, 가정과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갖게 하는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여 가정과교육에 대한 인식 개선의 근거 자료를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에 따라 후속 연구로 가정과 교육과정과 교육내용에 따른 가정과수업의 효과를 살필 수 있는 대규모 종단 연구를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