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순수)학문지리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7초

지속가능한 지리학 발전을 위한 지리지식의 순환체계 (Circulation System of Geographical Knowledge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Geography)

  • 문남철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73-483
    • /
    • 2014
  • 오랜 역사를 통해 다양한 사회적 요구와 필요에 의해 발달해온 지리지식은 (순수)학문지리지식과 학교지리지식, 응용지리지식, 대중지리지식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리지식은 이들 영역간 지식의 생산과 전달, 응용 및 적용, 재생산으로 이어지는 지식의 순환체계를 바탕으로 발전해 왔다. 따라서 한 영역에서의 지식순환의 단절은 다른 영역의 지식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지리학 전체의 위기를 초래하게 된다. 그러므로 지속가능한 지리학 발전을 위해서는 (순수)학문지리에 의한 지식의 생산과 축적, 학교지리에 의한 지식의 전달, 응용지리와 대중지리에 의한 지식의 사회적 활용과 일상생활의 적용으로 이어지는 지식의 선순환체계가 확고하게 구축되어 지식의 사회적 요구와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 PDF

사회적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지리학 교육의 개편 방안 연구 - GIS 분야를 중심으로 (A study on Geography education and employment - GIS sector)

  • 오충원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61-171
    • /
    • 2016
  • 사회 여건의 변화에 따라 대학 교육에서 사회 진출을 위한 실용 학문으로서의 가치가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지리학 교육도 순수 학문에서 실용 학문으로서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사회 진출을 고려한 지리학 분야의 발전 방향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지리학 관련학과의 취업 특성을 분석하고, GIS 분야를 중심으로 실용적인 지리학 교육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대학에서 지리학 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첫째, 사회 진출 활성화를 위해 국가 및 지역 사회 수요 분석, 둘째, 신기술 반영을 통한 교과 내용의 지속적 갱신, 셋째, 캡스톤 디자인, 현장 실습 등의 산학 연계를 통한 실무형 교육 강화, 넷째, 교육 과정의 다변화를 통한 융복합 교육 강화, 다섯째, 지리학 교육의 실용적인 전환에 대한 지속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 PDF

한국의 공간계획과 지역연구 (Regional Planning and Area Studies in Korea)

  • 홍철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87-591
    • /
    • 1997
  • 국토계획이나 지역계획과 같은 공간계획은 사회${\cdot}$문화${\cdot}$경제적인 기능이 복합적으로 존재하는 공간인 '지역'을 대상으로 한다. 따라서 공간계획을 수립하는 일은 해당 지역의 특성과 기능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계획의 대상이 되는 국내 지역에 대한 연구가 계획수립과 갖는 관계에 관하여 논의한다. 우리나라 국토계획과 지역계획을 수립하는 데 있어 지리학, 지역학, 민속학, 인류학 등의 분야에서 이루어진 지역연구는 큰 기여를 해왔다. 이것은 크게 세가지 영역에서 확인되는데 그것은 지역구분에 의한 계획단위의 확인, 생활권 조사에 기초한 계획권역의 설정, 그리고 각 지역특성의 조사에 의한 각 지역 기능의 부여라는 면에서 이다. 과거 지역연구가 계획수립에 이처럼 큰 기여를 해왔지만 일부 부족한 점은 앞으로 보완될 수 있으리라 본다. 이것은 공간계획가와 지역연구학자 모두의 책임이다. 지역연구를 체례적으로 조직하여 계획에서 활용할 수 있는 형태로 축적하는 일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순수 학문적인 지역연구 이외에 표준화된 형태의 계획 지향적인 지역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계획수립은 결국 사람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지역연구학자들이 계획수립과정에 다양하게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지역연구가 보다 활성화 되어야 할 것이며 계획마인드를 갖춘 지역연구 인력의 양성도 필요하리라 본다.

  • PDF

'금강산'에서 전승되는 아름다움의 장소신화 : 사회적 자연과 명산의 여행지리 (Place-myth of The Scenic Beauty from Mt. Kumgang : The social nature and the travel geography of noted mountains)

  • 신성희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51-167
    • /
    • 2016
  • 사회과학계에서 '산(山)'은 환경 및 생태와 주로 연관되어 사회와 문화의 외부에 존재하는 객관적인 '자연'의 일부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국토의 대부분이 산지로 이루어진 한반도에서 산은 자연과 사회집단이 교류하면서 형성하는 '사회적 자연'이며 이러한 산지들로의 여행은 한국인들에게 있어 자연의 사회화 및 문화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글은 여러 명산들 가운데 왜 금강산은 유독 '가장 아름다운 산'으로 전승되어 왔으며 수많은 예술창작의 원천이 되어 왔는가? 에 관한 의문에서 출발하여, 조선시대 금강산의 여행 지리를 검토한다. 구체적으로 한국인의 자연과 인간과의 관계, 그리고 가장 아름다운 산으로서 금강산이 지닌 장소신화에 관하여 고찰하고자 하였다. 조선시대의 금강산 여정은 당시의 교통 여건에서 한계에 달하는 체력소모와 장기간의 불편 및 위험에의 끊임없는 노출을 감수하는 것이었다. 그렇게 도착하여 극적으로 경험하게 되는 금강산의 경관은 더욱 더 아름답고 신비롭게 기억되었다. 금강산 여행을 필생의 소망으로 여기고 성취하려던 이유는, 선대 여행자들의 기록과 예술작품을 통해 금강산은 당시 최고의 '여행 로망지'로 알려졌기 때문이며, 따라서 그토록 아름답다고 알려진 금강산을 직접 경험하는 것이 순수한 동기였다. 그러나 이러한 소망의 실천은 개인의 미적 향유와 즐거움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자연감상을 도덕적 책무 및 학문적 이상을 실천하는 일과 동일시하는 유교적 자연관에서 비롯된 것이기도 했다. 한편, 금강산 여행자들은 각종 기행문학과 회화 등 예술작품으로 금강산 여행을 재현하여 기억하였는데, 이 또한 개인적 차원의 문화예술 행위를 넘어서서 가보지 못한 사람들과 후대인들을 적극적으로 고려하는, 즉 여행 경험의 적극적인 사회적 기록이자 문화정치적 재현의 과정이었다. 이는 금강산 여정의 종료가 결코 여행의 끝이 아니었음을 의미하며, 여행의 기억과 재현을 통해 상상의 지리로 새롭게 재생산되어, 오늘날까지 많은 이들이 인정하는 금강산이 한반도에서 가장 아름다운 산이라는 독보적인 장소신화를 형성하는 기반을 제공하였다.

  • PDF

경주시지역 중심지계층과 생활권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Hierarchy of the Central Place and the Shopping Area in the Kyeong-ju Si Area)

  • 박태화;이재목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508-528
    • /
    • 1996
  • 우리나라에서 대도시지역은 인구가 집중되고 있는 반면에 농촌지역은 인구의 감소현상으로 국토공간의 불균등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따라서 농촌지역의 중소도시 역시 정체내지는 쇠퇴하여 도시의 계층, 중심지기능, 상품의 구매행위 등 지역의 중심지체계와 생활권의 변화를 겪고 있다. 더욱이 고속교통기관의 신설, 신공업도시의 접근, 공업단지의 입지 등은 지역도시의 중심성과 그 배후지역의 체계를 크게 왜곡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경주시지역(구 경주시와 월성군)에 대한 중심지계층과 생활권의 현상과 변화에 대한 구명이다. 경주시지역은 최대중심지 경주시가 관광도시이기는 하나 그외 지역은 순수한 농업지역의 중심지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 경부고속도로와 승용차의 보급으로 해안지역의 외래 관광객의 급증, 인접하는 공업도시 포항과 울산의 급성장 등으로 경주시지역 중심지체계에 많은 변화가 예상된다. 이와같이 급변하는 농촌지역의 중심지계층과 그 생활권의 연구는 학문적으로나 실용적으로 매우 의미 있는 연구이다.

  • PDF

광주시 소매업의 입지와 주민의 효율적 이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ocation of Retail Trade in Kwangju-si and Its Inhabitants와 Effcient Utilization)

  • 전경숙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8-92
    • /
    • 1995
  • 소매업은 경제, 사회, 문화, 정치를 배경으로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며 발전해 가 기 때문에 지역구조의 이해라는 측면에서 증요한 연구 주제이다. 또한 소매업은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기본적인 기능이므로, 이에 대한 이해는 삶의 질 향상이라는 측면에서도 중 요하다. 최근, 우리나라는 주민소득의 향상과 그에 따른 수요의 다양화, 개성화, 그리고 정보 화 사회로의 이행, 대기업 및 외국유통업의 참여, 정부의 유통산업 근대화 작업 등 소매업 환경의 변화와 함께 소매업이 크게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미래의 변화 예측과 바람직한 발 전 방향이 제시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다. 이에 광주시를 연구대 상지역으로 선정하여, 소매업의 입지와 그에 대한 주민의 이용 행태, 그리고 주민의 바람직 한 이용방안을 분석하였다. 이는 입지행태라는 순수한 학문적기여 뿐 아니라, 지역의 효율성 과 평등성의 실현이라는 응용면에서도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