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_2B$

검색결과 4,870건 처리시간 0.032초

Ku-band 지구국 중계기를 위한 12W SSPA에 관한 연구 (A study on 12W SSPA for earth station transmonder at ku-band)

  • 조창환;여인혁;홍의석
    • 전자공학회논문지A
    • /
    • 제33A권6호
    • /
    • pp.72-80
    • /
    • 1996
  • This paper presetns the development of a SSPA operating at KU-band(14~14.5 GHz) in order of replace TWTA used in the terrestria transponder of a satellite communication. The driving stage of SSPA uses internally matched 2W, 4W, 8W FET and the power stage is coupled with two internally matched 8W FET by branch-line cominer. The SSPA is fabricated with oth the RF circuit and the bias circuitry operating temperature compensation, regulation and sequence on aluminum housing. The SSPA testing resutls implemented in this way show 24.8$\pm$1dB small-signal gain, 41dBm P1dB power, a typical two tone C/IM3, -33dBc with single carrier backed off 6dB from p1dB, and gain stability over temeprature (-30~50)$\pm$1dB.

  • PDF

슈퍼 커패시터를 위한 WS2-W-WC가 내장된 탄소나노섬유 복합체의 제조 (Fabrication of WS2-W-WC Embedded Carbon Nanofiber Composites for Supercapacitors)

  • 이유진;안효진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6-121
    • /
    • 2015
  • $WS_2$-W-WC embedded carbon nanofiber composites were fabricated by using electrospinning method for use in high-performance supercapacitors. In order to obtain optimum electrochemical properties for supercapacitors, $WS_2$ nanoparticles were used as precursors and the amounts of $WS_2$ precursors were controlled to 4 wt% (sample A) and 8 wt% (sample B). The morphological, structur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all samples were investigated by means of field emission photoelectron spectroscop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X-ray diffraction, and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embedded phases of samples A and B were changed from $WS_2$ to $WS_2$-W-WC through carbothermal reaction during carbonization process. In particular, sample B presented high specific capacitance (~119.7 F/g at 5 mV/s), good high-rate capacitance (~60.5%), and superb cycleability. The enhance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sample B were explained by the synergistic effect of the using 1-D structure supports, increase of specific surface area, and improved conductivity from formation of W and WC phases.

Bacillus subtilis B0021가 생산하는 Gelatin 분해성 Proteolytic Enzyme 생산의 최적의 연구 (A Study on the Optimum Conditions of Gelatin-Degrading Proteolytic Enzyme Production from Bacillus subtilis B0021)

  • 백대헌;이항우복성해
    • KSBB Journal
    • /
    • 제10권4호
    • /
    • pp.374-385
    • /
    • 1995
  • Gelatin 분해성 proteolytic enzyme 생성균인 B. subtilis 80021가 생산하는 세포외 단백칠 분해효소 생산을 위한 영양 요구성과 배양조건을 검토한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영양요구성은 1.5%(w/v) glucose와 2.5% (w/v) yeast extract에서 효소활성도가 최고치를 나타내였고 metalion은 $Co^{2+}, Zn^{2+}$효소생성의 저해제로 작용한 반면 $Fe^{2+}와 Mn^{2+}$에서는 촉진제로 작용 하여 최고 3.5배 효소생산생이 증가하였다. 아미노산 첨가 영향에서는 대부분의 아미노산이 효소활생 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였다. 배지의 최적초기 pH는 7.0 부근이며 배양온도는 $35^{\circ}C$에서 효소에 따 라 다소 차이는 였었으나 배양시간 30시간 정도에서 최고의 효소생산성을 나다내었고 30°C에서는 42시간째에 효소활성도가 최고치를 나타내였다. Tannic acid 첨가에 대한 만백질 분해효소 생산에서는 발효 애지에 tannic acid 첨가시 완전한 효소생산 저해제로 작용하였으며 salicin을 탄소원으로 한 salicinase assay에서는 온도 빛 배양시간에 관계없이 효소활성 을 보이지 않았고 복합탄소원 이용에 대한 amylase assay에서는 $35^{\circ}C$, 36시간째에 최대의 효소활성을 나타내였고 Invertase assay에서는 $35^{\circ}C$, 30시간째 에 최대 효소활성도 2.5unit/ml을 나타내였다. 또한 gelatin 가수분해능에서는 45% (w/v)의 gelatin 용 액의 점도가 발효조효소액에 의해 96% (mPas)의 정도저하를 가져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가자미피(皮) 젤라틴 제조를 위한 전처리 방법의 검토 (Investigation of Pretreatment Method for Gelatin Preparation from Flounder Skin)

  • 강태중;전유진;김세권;송대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93-102
    • /
    • 1992
  • In order to reduce long preparating time for alkali pretreated B-type gelatin, enzyme pretreatment was tried on flounder(Limanda aspera) skin for I-type gelatin. The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of the B-type gelatin were 9 folds of added water with material(w/w), 3 hrs of extraction time, $60^{\circ}C$ of extraction temperature and pH 5. The maximum amount of I-type gelatin was extracted at $60^{\circ}C$ for 3 hrs using water controlled to pH 6.0(material : water= 1:9, w/w). The yields of the B- and E-type gelatin were $64.2\%\;and\;59.2\%,$ respectively. The B-type was superior to the B-type in physical properties such as jelly strength, viscosity and electric conductivity. Molecular weight of B-type was so far larger than that of the E-type due to different pretreatment method. Hydrolysis ratio of the E-typ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B-type because of its molecular weight. Results suggest that B-type product would be better than I-type as fish skin gelatin but E-type was desirable in hydrolyzate preparation.

  • PDF

MAPPING PRESERVING NUMERICAL RANGE OF OPERATOR PRODUCTS ON C*-ALGEBRAS

  • MABROUK, MOHAMED
    • 대한수학회보
    • /
    • 제52권6호
    • /
    • pp.1963-1971
    • /
    • 2015
  • Let $\mathcal{A}$ and $\mathcal{B}$ be two unital $C^*$-algebras. Denote by W(a) the numerical range of an element $a{\in}\mathcal{A}$. We show that the condition W(ax) = W(bx), ${\forall}x{\in}\mathcal{A}$ implies that a = b. Using this, among other results, it is proved that if ${\phi}$ : $\mathcal{A}{\rightarrow}\mathcal{B}$ is a surjective map such that $W({\phi}(a){\phi}(b){\phi}(c))=W(abc)$ for all a, b and $c{\in}\mathcal{A}$, then ${\phi}(1){\in}Z(B)$ and the map ${\psi}={\phi}(1)^2{\phi}$ is multiplicative.

WEIGHTED NORM ESTIMATES FOR THE DYADIC PARAPRODUCT WITH VMO FUNCTION

  • Chung, Daewon
    • 대한수학회보
    • /
    • 제58권1호
    • /
    • pp.205-215
    • /
    • 2021
  • In [1], Beznosova proved that the bound on the norm of the dyadic paraproduct with b ∈ BMO in the weighted Lebesgue space L2(w) depends linearly on the Ad2 characteristic of the weight w and extrapolated the result to the Lp(w) case. In this paper, we provide the weighted norm estimates of the dyadic paraproduct πb with b ∈ VMO and reduce the dependence of the Ad2 characteristic to 1/2 by using the property that for b ∈ VMO its mean oscillations are vanishing in certain cases. Using this result we also reduce the quadratic bound for the commutators of the Calderón-Zygmund operator [b, T] to 3/2.

조경용 차양시설과 수목에 의한 하절기 옥외공간의 자외선 차단율 비교 (The Comparison of the Ultra-Violet Radiation of Summer Outdoor Screened by the Landscaping Shade Facilities and Tree)

  • 이춘석;류남형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20-28
    • /
    • 2013
  • 우리나라의 공원과 옥외 공공 공간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조경용 차양시설과 녹음수가 하절기 옥외 공간에서 태양광의 자외선을 실질적으로 얼마나 차단하는가를 객관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대표적인 조경용 차양시설인 목재쉘터, 막구조물과 녹음수인 버드나무 하부의 자외선량을 현장에서 연속적으로 측정하여 태양광과 비교 분석하였다. 자외선 현장측정을 위하여 자외선 A와 B의 조사량을 지속적으로 측정 및 기록할 수 있는 자동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이를 각 시험구의 중앙부에 설치하여 지상 1.1m 위치의 연직방향 자외선량을 2012년 7월에서 9월의 오전 9시부터 17시까지 매 분 단위로 기록하였다. 기상조건과 계측자료의 유효성 등을 고려하여 총 17일 동안의 자외선량을 바탕으로 시험구별 특성을 해석하였는데, 대조구에서 관측된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의 총 648건의 10분 단위 평균데이타를 바탕으로 태양광 UVA+B와 UVB의 일중 시간대별 특성과 월별 특성을 비교하였다. 시설별 자외선량 비교에는 태양광의 자외선량이 현격하게 떨어지는 9월의 자료를 제외하고, 7월과 8월의 15일치 자료 중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총 2,052건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시험기간 동안 태양광의 UVA+B는 평균 $1,148{\mu}W/cm^2$로 측정되었는데, 이때 목재쉘터와 막구조물, 녹음수 하부에서 측정된 평균값은 각각 $39{\mu}W/cm^2$(3.4%), $74{\mu}W/cm^2$(6.4%), $87{\mu}W/cm^2$(7.6%)에 불과했다. 즉, 목재쉘터가 약 97%의 자외선 차단율을 보여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녹음수와 막구조물이 약 93%의 차단율을 보임으로서 세 시험구 모두 한낮동안의 자외선을 최소 약 93% 이상 차단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UVB의 경우, 태양광이 $207{\mu}W/cm^2$의 평균값을 보일 때 목재쉘터와 녹음수 및 막구조물이 각각 $12{\mu}W/cm^2$(5.8%), $17{\mu}W/cm^2$(8.2%), $26{\mu}W/cm^2$(13%)로 평균값이 분석되어, 막구조물의 차단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태양광의 자외선량과 상대적으로 비교했을 때, 태양의 남중고도가 높은 한낮 동안에는 시험구별로 측정된 자외선량에서 큰 차이가 있다고 보기는 어려웠다. 반면에, 차양시설과 수목의 형태적 특성에 의해 태양남중고도에 따라서 측면으로 조사되는 자외선이 이른 오전과 늦은 오후에 높은 수준으로 측정되는데, 이것이 하절기 인간의 옥외활동에 더 큰 장애요인이 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결론적으로 조경용 차양시설과 녹음수는 하절기 옥외공간의 태양광에 의한 자외선을 최소 93% 이상 차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양면의 재료와 특성에 따라서 차단율에 다소 차이는 발생하였지만, 전체적으로 비슷한 성능을 보인 것으로 해석되었다. 다만, 차양시설의 구조적 형태적 특성에 따라서 측면으로 유입되는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방안이 보완된다면, 옥외의 쾌적한 휴식공간으로 기능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65 nm CMOS 공정을 이용한 W-대역 전력증폭기 설계 (Design of a W-Band Power Amplifier Using 65 nm CMOS Technology)

  • 김준성;권오윤;송림;김병성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330-333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차량 충돌 방지 장거리 레이더(Long Range Radar: LRR)을 위한 77 GHz 전력증폭기를 65 nm CMOS 공정을 이용하여 설계하였다. 제안한 회로는 3단 차동 전력증폭기로 공통 소스 구조와 트랜스포머를 사용했다. 측정결과로 77 GHz에서 18.7 dB의 전압 이득과 13 GHz의 3 dB 대역폭을 얻었다. 측정된 최대 출력 전력은 10.2 dBm, 입력 $P_{1dB}$는 -12 dBm, 출력 $P_{1dB}$는 5.7 dBm이며, 측정된 최대 전력 효율은 7.2 %이다. 본 전력증폭기는 1.2 V의 공급전원으로부터 140.4 mW의 DC 전력을 소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