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O_2$ nanoparticle

검색결과 151건 처리시간 0.025초

아토마이저를 이용한 PET 직물의 TiO2-Ag 나노입자 코팅 연구 (Study on the TiO2-Ag Nanoparticle Coated PET Fabric with an Atomizer)

  • 이현우;홍태민;손한글;임성찬;신원규;이승구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99-105
    • /
    • 2014
  • In this study, $TiO_2$ and Ag powders were deposited on the PET fabric using an atomizer in order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le deposited fabric. To improve the particle deposition, the surface of the fabric was pre-treated with an electron beam and its effect was studied with the deposition of those elements on the fabric. The SEM was used to observe the morphology of the deposition fabric and through the EDS analysis, the deposition of $TiO_2$ and Ag was confirmed. Also, the absorbance of the particle deposited fabric was measured using the Methylene Blue to verify the photolysis nature of $TiO_2$. Moreover, the antibiotic nature of Ag on the surface of the PET fabric was identified through the antibiosis test.

다양한 씨앗의 발아 및 발아지수에 근거한 나노입자 생물학적 독성평가 (Bioassessment of Nanoparticle Toxicity based on Seed Germination and Germination Index of Various Seeds)

  • 구본우;이민경;석우도;공인철
    • 청정기술
    • /
    • 제21권1호
    • /
    • pp.39-4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다섯 종의 씨앗(춘채, 아욱, 양배추, 배추, 당근)을 이용하여 금속산화물 나노입자(CuO, NiO, Fe2O3, Co3O4, TiO2, ZnO)들이 씨앗발아와 발아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CuO, ZnO, NiO 나노입자는 씨앗 활성에 뚜렷한 독성 영향을 나타내었으며, 나노입자종류에 따라 상이한 민감도를 나타내었다. 각 나노입자에 대한 독성순서(EC50 범위)는 다음과 같다: CuO 6~27 mg/L > ZnO 16~86 mg/L > NiO 48~112 mg/L. 나머지 조사 대상 나노입자인 Co3O4, TiO2, Fe2O3은 최대 1,000 mg/L 높은 농도 노출에도 뚜렷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씨앗별 상이한 민감도를 나타내었으며, 가장 민감한 종인 아욱의 씨앗발아 EC50은 CuO 5.5 mg/L ZnO 16.4 mg/L, NiO 53.4 mg/L로 조사되었다. 씨앗별 나노입자에 대한 독성 영향은 CuO > ZnO > NiO > Fe2O3 ≈ Co3O4 ≈ TiO2 나타났으나, 당근씨앗은 NiO [EC50 80.4(71.41~90.54) mg/L]와 ZnO [EC50 85.8(69.31~106.29) mg/L]가 유사한 독성을 나타내었다.

이산화티탄 나노입자 필러가 PET와 PLA 나노복합체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iO2 Nanoparticle Filler on the Properties of PET and PLA Nanocomposites)

  • Farhoodi, Mehdi;Dadashi, Saeed;Mousavi, Seyed Mohammad Ali;Sotudeh-Gharebagh, Rahmat;Emam-Djomeh, Zahra;Oromiehie, Abdolrasul;Hemmati, Farkhondeh
    • 폴리머
    • /
    • 제36권6호
    • /
    • pp.745-755
    • /
    • 2012
  • Two types of polymers were tested in this study;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s a synthetic example and poly(lactic acid) (PLA) as a natural polymer. DSC analyses showed that the use of nanofiller increased the degree of crystallinity ($X_c$) of both PET and PLA polymers, but the effect was more noticeable on PET nanocomposites. The crystallization of PLA and PET nanocomposites occurred at higher temperatures in comparison to neat polymers. According to dynamic mechanical-thermal analysis (DMTA), the damping factor of PET/$TiO_2$ nanoparticles decreased compared to the neat matrix, but for PLA nanocomposites the opposite trend was observed. Results of the mechanical test showed that for both PET and PLA nanocomposites, the most successful toughening effect was observed at 3 wt% loading of $TiO_2$ nanoparticles. SEM micrographs revealed uniform distribution of $TiO_2$ nanoparticles at 1 and 3 wt% loading levels. The results of WAXD spectra explained that the polymorphs of PLA and PET was not affected by $TiO_2$ nanoparticles. UV-visible spectra showed that $TiO_2$ nanocomposite films had high ultraviolet shielding compared to neat polymer, but there was significant reduction in transparency.

$TiO_2$ sol-gel 합성에 의한 아라미드 섬유의 내광성 증진 (Improving the photo-stability of ${\rho}$-aramid fiber by $TiO_2$ nanoparticle)

  • 심지현;박성민;김명순;권일준;권서윤;이승구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12년도 제46차 학술발표회
    • /
    • pp.109-109
    • /
    • 2012
  • 아라미드 섬유는 태양광의 직사광선에 계속 노출될 경우 120주 경과 후에는 강도가 3분의 1로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나노 크기의 금속산화물인 $TiO_2$ 졸-겔 나노합성법을 이용하여 나노졸을 제조하고 이를 직물에 함침하는 공정을 통하여 아라미드 섬유의 내광성 증진에 대해 연구하였다. TTIP, TEOS 등의 금속전구체를 이용하여 구형의 나노졸 합성에 의한 $TiO_2$ 나노졸을 수분산형태의 졸로서 섬유가공 공정상에 접목하였다. 제조된 나노크기의 $TiO_2$ 입자분포와 크기, 미세구조 및 결정상을 알아보기 위해 입도분포분석기, TEM, XRD를 이용하였다. $TiO_2$ 나노졸을 함침한 아라미드 직물은 내광성은 24, 48, 96시간 동안 Xenon-arc 광조사한 후, 물성변화를 분석하였다. 나노졸 합성시 반응물의 농도 및 용액의 pH 조건에 따른 나노졸의 미세구조를 TEM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반응물의 농도에 따라 평균입도는 313.7nm, 500.5nm, 840.3nm, 1002nm로 커졌다. 하지만, 반응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입자들이 층 분리 현상이 관찰되었으며, 단분산된 나노졸 입자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TTIP의 투입량을 0.67mole(200ml)로 유지하였다. 또한 이를 아라미드 직물에 함침하여 광조사 시간에 따른 아라미드 섬유의 물리적 특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 PDF

염료감응 나노입자 $TiO_2$ 태양전지의 광전류와 그 안정성 향상 (Photocurrent and Its Stability Enhancement of Dye-sensitized Nanoparticle $TiO_2$ Solar Cells)

  • 채원석;강태식;김강진
    • 전기화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232-236
    • /
    • 1999
  •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전극 물질로 금속산화물인 이산화티타늄$(TiO_2)$를 사용하고, 감응제로 malachite green oxalate, basic blue3, rhodamine B, bromocresol purple 염료를 사용할 때 광전환 효율을 높이고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갖추어야될 염료의 전기화학적 특성과 분광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기준전극에 대한 염료의 산화전위와 흡수파장을 전자볼트 단위로 환산한 값을 더하여 들뜬 상태를 얻었다. $TiO_2$전극의 평활전위$(E_{fb})$를 결정하여 전도띠 끝 준위$(E_{c,s})$를 계산하였으며, 이를 염료의 들뜬 상태와 비교함으로써 합선 전류$(J_{sc})$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염료가 갖추어야 할 특성을 알아내었다. 또한 폴리피롤 전도성 고분자를 입혀 $TiO_2$의 결함자리에서 전도띠에 있는 전자가 산화된 염료와 재결합하는 것과 $TiO_2$필름의 균열에 의한 염료의 전극반응을 방지함으로써 광전류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결과를 얻었다.

나노입자가 포함된 촉진수송 분리막에서의 메조기공 티타늄산화물의 영향 (Effect of Mesoporous TiO2 in Facilitated Olefin Transport Membranes Containing Ag Nanoparticles)

  • 김상진;정정표;김동준;김종학
    • 멤브레인
    • /
    • 제25권5호
    • /
    • pp.398-405
    • /
    • 2015
  • 용액-확산 메커니즘에 의해 결정되는 기존의 고분자에서와는 달리, 촉진수송은 투과도와 선택도를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이다. 본 연구에서는 은 나노입자, 폴리비닐피롤리돈, 7,7,8,8-테트라시야노퀴노디메탄으로 구성된 촉진수송 올레핀 분리막에 있어서, 메조기공 티타늄산화물($m-TiO_2$)에 대한 영향을 연구하였다. 특히 메조기공 티타늄산화물은 폴리비닐클로라이드-g-폴리옥시에틸렌 메타크릴레이트 가지형 공중합체를 템플레이트로 하여 쉽고 대량 생산이 가능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엑스레이 회절분석에 따르면, 제조된 메조기공 티타늄산화물은 아나타제와 루타일 상의 혼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결정의 크기가 약 16 nm 정도 되었다. 메조기공 티타늄산화물을 첨가하였을 때, 분리막의 확산도가 증가하여 혼합기체 투과도가 1.6에서 16 GPU로 증가하였고 선택도는 45에서 37로 약간 감소하였다. 메조기공 티타늄산화물이 첨가되지 않은 분리막은 장시간 성능이 유지되었으나, 메조기공 티타늄산화물이 첨가된 분리막의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투과도와 선택도가 감소하였다. 이는 티타늄산화물과 은 사이의 화학적 상호작용으로 은 나노입자의 올레핀 운반체로써의 활성을 감소시키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Ag가 코팅된 ZnO nanorod 구조의 광학적 특성 연구

  • 고영환;이동훈;유재수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0년도 제39회 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209-209
    • /
    • 2010
  • 금(Au) 또는 은(Ag) 금속 나노입자의 모양, 크기, 분포 상태를 조절하여 가시광선과 적외선, 자외선 영역에서 강한 표면 플라즈몬 효과을 이용할 수 있는데, 최근 이러한 금속 나노입자의 표면플라즈몬 효과를 이용하여 태양광 소자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연구가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높은 효율과 낮은 제작비용 그리고 간단한 공정과정의 장점을 갖고 있어서 크게 주목 받고 있는 염료감응태양전지에서도 금(Au) 또는 은(Ag) 금속 나노입자을 이용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 예로, Au가 코팅된 $TiO_2$ 기반의 염료감응태양전지구조를 제작하여, 입사된 빛이 표면플라즈몬 효과를 통해, Au에서 여기된 전자들이 Au/$TiO_2$ 사에의 schottky 장벽을 통과하여 $TiO_2$의 전도대 전자들의 밀도가 증가하여, charge carrier generating rate을 높여 소자의 광변환 효율의 향상을 증명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TiO_2$보다 높은 전자 이동도(mobility)와 직선통로(direct path way)의 장점을 갖고 있는 ZnO nanorod에서의 charge carrier generating rate을 높일 수 있도록,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Ag nanoparticle을 코팅하였다. ZnO nanorod 제작은 낮은 온도에서 간단하게 성장시킬 수 있는 hydrothermal 방법을 이용하였다. 기판위에 RF magnetron 스퍼터를 이용하여 AZO seed layer를 증착한 후, zinc nitrate $Zn(NO_3)_2{\cdot}6H_2O$과 hexamethylentetramines (HMT)으로 혼합된 용액을 사용해 ZnO nanorods를 성장시켰다. 이 후, Ag를 형성할 수 있도록 열증기증착법을 이용하여 코팅하였다. Ag의 증착시간에 따른 ZnO nanorods에서의 코팅된 구조와 형태를 관찰하기 위해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결정성을 조사하기 위해 X-ray diffraction (XRD)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입사된 빛에 의해, 여기된 ZnO 전도대 전자들이 다시 재결합을 통해 방출되는 photoluminescence 양을 scanning PL 장비를 통해 측정하여 Ag가 코팅된 ZnO nanorod의 광특성을 분석하였다.

  • PDF

GZO/ZTO 투명전극을 이용한 DSSC의 광전 변환 효율 특성 (Sputtered ZTO as a blocking layer at conducting glass and $TiO_2$ Interfaces in Dye-Sensitized Solar Cells)

  • 박재호;이경주;송상우;조슬기;문병무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53.2-53.2
    • /
    • 2011
  • Dye-sensitized solar cells(DSSCs) have been recognized as an alternative to the conventional p-n junction solar cells because of their simple fabrication process, low production cost, and transparency. A typical DSSC consists of a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 electrode, a dye-sensitized oxide semiconductor nanoparticle layer, liquid redox electrolyte, and a Pt-counter electrode. In dye-sensitized solar cells, charge recombination processes at interfaces between coducting glass, $TiO_2$, dye, and electrolyte play an important role in limiting the photon-to-electron conversion efficiency. A layer of ZTO thin film less than ~200nm in thickness, as a blocking layer, was deposited by DC magnetron sputtering method directly onto the anode electrode to be isolated from the electrolyte in dye-sensitized solar cells(DSCs). This is to prevent the electrons from back-transferring from the electrode to the electrolyte ($I^-/I_3^-$). The presented DSCs were fabricated with working electrode of Ga-doped ZnO glass coated with blocking ZTO layer, dye-attached nanoporous $TiO_2$ layer, gel electrolyte and counter electrode of Pt-deposited GZO glass. The effects of blocking layer were studied with respect to impedance and conversion efficiency of the cells.

  • PDF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TiO2, Cu2O and Al2O3 Aerosol Nanoparticles Produced by the Multi-Spark Discharge Generator

  • Efimov, Alexey;Lizunova, Anna;Sukharev, Valentin;Ivanov, Victor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23-129
    • /
    • 2016
  • The morphology, crystal structure and size of aerosol nanoparticles generated by erosion of electrode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titanium, copper and aluminum) in a multi-spark discharge generator were investigated. The aerosol nanoparticle synthesis was carried out in air atmosphere at a capacitor stored energy of 6 J, a repetition rate of discharge of 0.5 Hz and a gas flow velocity of 5.4 m/s. The aerosol nanoparticles were generated in the form of oxides and had various morphologies: agglomerates of primary particles of $TiO_2$ and $Al_2O_3$ or aggregates of primary particles of $Cu_2O$. The average size of the primary nanoparticles ranged between 6.3 and 7.4 nm for the three substances studied. The average size of the agglomerates and aggregates varied in a wide interval from 24.6 nm for $Cu_2O$ to 46.1 nm for $Al_2O_3$.

Preparation and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CNT Electrode with Deposited Titanium Dioxide for Electrochemical Capacitor

  • Kim, Hong-Il;Kim, Han-Joo;Morita, Masayuki;Park, Soo-Gil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1권2호
    • /
    • pp.423-428
    • /
    • 2010
  • To reduce polarization of electrochemical capacitor based on carbon nanotube, titanium oxide nanoparticles were deposited by ultrasound. The pore distribution of $TiO_2$/CNT nanoparticle exhibited surface area of $341\;m^2g^{-1}$ when $TiO_2$ content was 4 wt %, which was better than that of pristine CNT with surface area of $188\;m^2g^{-1}$. The analyses indicated that titanium oxide (particle diameter < 20 nm) was deposited on the CNT surface.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was evaluated by using cyclic voltammetry (CV), impedance measurement, and constant-current charge/discharge cycling techniques. The $TiO_2$/CNT composite electrode showed relatively better electrochemical behaviors than CNT electrode by increasing the specific capacitance from $22\;Fg^{-1}$ to $37\;Fg^{-1}$ in 1 M $H_2SO_4$ solution. A symmetric cell assembled with the composite electrodes showed the specific capacitance value of $11\;Fg^{-1}$ at a current loading of $0.5\;mAcm^{-2}$ during initial cyc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