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_gB_2$

검색결과 3,509건 처리시간 0.033초

낙동강하구 을숙도 새섬매자기(Bolboschoenus planiculmis) 군락 변화 연구 (Annual Changes in the Distribution of Bolboschoenus planiculmis in the Eulsuk-Island, Nakdong River Estuary)

  • 박희순;주기재;이원호;김지윤;김구연
    • 생태와환경
    • /
    • 제56권3호
    • /
    • pp.259-267
    • /
    • 2023
  •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ion of Bolboschoenus planiculmis which is main food source of swans (national monument species) with environmental factors, discharge, rainfall, and salinity in Eulsuk-do from 2020 to 2023. The distribution area of B. planiculmis in Eulsuk tidal flat was 103,672m2 in 2020, 95,240 m2 in 2021, 88,163 m2 in 2022, and 110,879 m2 in 2023, and represents a sharp decrease compared to the 400,925 m2 area recorded in 2004. From 2020 to 2023, the growth densities of B. planiculmis were 243.6±12.5 m-2, 135.45±7.38 m-2, 51.10±2.54 m-2, and 238.20±16.36 m-2, respectively, and the biomass was 199.89±28.01 gDW m-2, 18.57±5.12 gDW m-2, 6.55±1.12 gDW m-2, and 153.53±25.43 gDW m-2 in 2020, 2023, 2021, and 2022, respectively. Based on discharge during May~July, which affects plant growth, the left gate discharge of the estuary barrage from 2020 to 2023 was 62,322 m3 sec-1, 33,329 m3 sec-1, 6,810 m3 sec-1, and 93,641 m3 sec-1, respectively; rainfall was 1,136 mm, 799 mm, 297 mm, and 993 mm, respectively; and average salinity was 14.7±9.4 psu, 21.1±4.7 psu, 26.1±2.7 psu, and 14.5±11.1 psu, respectively. In 2022, cumulative rainfall (978 mm, about 70% of the 30-year average) and discharge (43,226 m3 sec-1) decreased sharply, resulting in the highest mean salinity (25.46 psu), and the distribution area, density, and biomass of the B. planiculmis decreased sharply. In 2023, there was a rise in discharge with an increase in rainfall, leading to a decrease in salinity. Consequently, this environmental change facilitated the recovery of B. planiculmis growth.

식중독균에 대한 신갈나무 잎 추출물과 유기산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of Quercus mongolica Leaf Ethanol Extract and Organic Acids against Food-borne microorganisms)

  • 공영준;박부길;오덕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78-183
    • /
    • 2001
  • 신갈나무 잎 추출물의 항균력은 추출 온도별로는 $60^{\circ}C$에서 추출시 $30^{\circ}C$$90^{\circ}C$에 추출하는 것보다 약간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추출 용매별로는 에탄올로 추출한 경우가 물 또는 메탄올 추출물보다 대체로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신갈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은 그람양성균인 B. cereus, S. aureus 그리고 L. monocytogenes균에 대하여 $62.5{\sim}125\;{\mu}g/mL$ 범위에서 최소저해농도를 나타내었으나 그람음성균인 S. typhimurium과 P. aeruginosa 균은 $250\;{\mu}g/mL$, E. coli O157:H7 균에 대하여는 $500\;{\mu}g/mL$ 이상에서 최소저해농도를 나타내었다. B. subtilis ATCC 6633균과 L. monocytogenes ATCC 19111균에 대한 젖산, 구연산, 초산 및 신갈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는 두균모두 각각 2,500, 5,000, 1,250 및 $125\;{\mu}g/mL$이었으며 이들의 병용처리시 B. subtilis ATCC 6633균에는 효과가 없었으나 L. monocytogenes ATCC 19111균에 대하여는 상승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각각의 sub-lethal 농도에서 E. coli O157:H7 0019균에 대한 신갈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과 유기산들과의 병용처리시 두 물질간에는 상승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Modulation of Antibody Responses against Gnathostoma spinigerum in Mice Immunized with Crude Antigen Formulated in CpG Oligonucleotide and Montanide ISA720

  • Intapan, Pewpan M.;Hirunpetcharat, Chakrit;Kularbkaew, Churairat;Yutanawiboonchai, Wiboonchai;Janwan, Penchom;Maleewong, Wanchai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1권6호
    • /
    • pp.637-644
    • /
    • 2013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ntibody responses in mice immunized with Gnathostoma spinigerum crude antigen (GsAg) incorporated with the combined adjuvant, a synthetic oligonucleotide containing unmethylated CpG motif (CpG ODN 1826) and a stable water in oil emulsion (Montanide ISA720). Mice immunized with GsAg and combined adjuvant produced all antibody classes and subclasses to GsAg except IgA. IgG2a/2b/3 but not IgG1 subclasses were enhanced by immunization with CpG ODN 1826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s immunized with non-CpG ODN and Montanide ISA or only with Montanide ISA, suggesting a biased induction of a Th1-type response by CpG ODN. After challenge infection with live G. spinigerum larvae, the levels of IgG2a/2b/3 antibody subclasses decreased immediately and continuously, while the IgG1 subclass remained at high levels. This also corresponded to a continuous decrease of the IgG2a/IgG1 ratio after infection. Only IgM and IgG1 antibodies, but not IgG2a/2b/3, were significantly produced in adjuvant control groups after infec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G. spinigerum infection potently induces a Th2-type biased response.

SOME RESULTS OF EXPONENTIALLY BIHARMONIC MAPS INTO A NON-POSITIVELY CURVED MANIFOLD

  • Han, Yingbo
    • 대한수학회보
    • /
    • 제53권6호
    • /
    • pp.1651-1670
    • /
    • 2016
  •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exponentially biharmonic maps u : (M, g) ${\rightarrow}$ (N, h) from a Riemannian manifold into a Riemannian manifold with non-positive sectional curvature. We obtain that if $\int_{M}e^{\frac{p{\mid}r(u){\mid}^2}{2}{\mid}{\tau}(u){\mid}^pdv_g$ < ${\infty}$ ($p{\geq}2$), $\int_{M}{\mid}{\tau}(u){\mid}^2dv_g$ < ${\infty}$ and $\int_{M}{\mid}d(u){\mid}^2dv_g$ < ${\infty}$, then u is harmonic. When u is an isometric immersion, we get that if $\int_{M}e^{\frac{pm^2{\mid}H{\mid}^2}{2}}{\mid}H{\mid}^qdv_g$ < ${\infty}$ for 2 ${\leq}$ p < ${\infty}$ and 0 < q ${\leq}$ p < ${\infty}$, then u is minimal. We also obtain that any weakly convex exponentially biharmonic hypersurface in space form N(c) with $c{\leq}0$ is minimal. These results give affirmative partial answer to conjecture 3 (generalized Chen's conjecture for exponentially biharmonic submanifolds).

다양한 용매에 의해 추출된 오미자의 항산화능과 항유전독성 효과 (Antioxidative and Antigenotoxic Effect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 Extracted with Various Solvents)

  • 김민정;박은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487-493
    • /
    • 2010
  • 오미자 5 g에 100 mL의 세 가지 용매(아세톤, 에탄올, 메탄올)를 각각 가하여 추출하여 농축한 다음, DMSO 용매에 녹여 항산화활성과 항유전독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총페놀 함량에서 메탄올 추출물이 1183.3 mg/100 g으로 가장 높았다. 항산화활성을 50, 100, 250, 500, $1000\;{\mu}g/mL$ 농도에서 측정하였을 때 DPPH radical 소거능과 SOD 유사활성은 각각 농도에 의존하여 결과 값이 향상되었으며, DPPH radical 소거능에서 높은 $IC_{50}$값을 나타낸 것은 에탄올 추출물로 $1411.1\;{\mu}g/mL$을 나타내었고, SOD 유사활성에서 $IC_{50}$값은 오미자 메탄올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이 $905.7\;{\mu}g/mL$, $970.3\;{\mu}g/mL$ 순으로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comet assay에서는 오미자 추출물을 1, 5, 10, $50\;{\mu}g/mL$의 농도로 백혈구에 처리한 후 $H_2O_2\;200\;{\mu}M$의 농도로 처리하여 DNA 손상을 유도한 결과 손상된 $50\;{\mu}g/mL$ 농도에서 DNA tail 부분의 DNA 함량을 측정한 % tail DNA inhibition이 각각 AE(73.1%), ME(63.7%), EE(62.8%)로 $H_2O_2$ 처리 양성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오미자에 함유되어 있는 페놀 화합물 외에 lignan 화합물을 포함한 여러 가지 다른 생리활성 물질들의 항산화력으로 인해 DPPH radical 소거능과 SOD 유사활성, 항유전독성 활성이 상호 의존적이 지 않음을 나타내고 있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오미자의 항산화 활성과 항유전독성의 메카니즘적 상호관계를 규명하는 연구가 향후 수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이상의 결과에서 오미자의 용매에 따른 추출물들은 각각 항산화 활성과 항 유전독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오미자의 천연 생리활성 물질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규명할 수 있었다.

화장품소재로서의 인삼복합물의 항염증 및 미백효능 검증 (Anti-inflammatory and whitening effects of ginseng complex as a cosmetic material)

  • 장영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25-335
    • /
    • 2018
  • 본 연구는 화장품 소재로서 인삼복합물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는 인삼복합물 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하여 항염증, 미백 효과에 대한 생물학적 활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시료는 인삼(A), 상황(B), 리기다소나무(C)를 각 70% 에탄올로 추출한 후 (A)1 : (B)1 : (C)0.5의 비율로 혼합한 시료를 사용하였다. 대식세포(RAW 264.7 cells)내에서 시료의 항염증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MTT assay를 이용한 샘플의 독성평가와 nitric oxide 생성 저해 활성 및 염증관련 단백질 및 유전자의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시료의 미백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멜라노마(B16F10 cell)를 이용해 MTT assay를 통한 샘플의 독성평가, cellular tyrosinase 저해율 측정 및 멜라닌 생합성량을 측정하였다. LPS로 유도된 RAW 264.7 세포내에서 시료의 nitric oxide 저해 활성 결과는 $25{\mu}g/mL$ 농도에서 71.2%의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었으며 western blot 실험결과 iNOS, COX-2 단백질의 발현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Tyrosinase 활성 억제 실험에서 인삼복합물의 농도 $50{\mu}g/mL$에서 36.8%의 감소를 나타냈으며 멜라닌 생합성 억제 평가 결과에서 농도 $50{\mu}g/mL$에서 47.8%의 감소를 나타냈다. 상기 실험 결과로부터 인삼복합물의 우수한 항염증, 미백 효능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안전한 천연 화장품 원료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DEFORMATION SPACES OF CONVEX REAL-PROJECTIVE STRUCTURES AND HYPERBOLIC AFFINE STRUCTURES

  • Darvishzadeh, Mehdi-Reza;William M.Goldman
    • 대한수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625-639
    • /
    • 1996
  • A convex $RP^n$-structure on a smooth anifold M is a representation of M as a quotient of a convex domain $\Omega \subset RP^n$ by a discrete group $\Gamma$ of collineations of $RP^n$ acting properly on $\Omega$. When M is a closed surface of genus g > 1, then the equivalence classes of such structures form a moduli space $B(M)$ homeomorphic to an open cell of dimension 16(g-1) (Goldman [2]). This cell contains the Teichmuller space $T(M)$ of M and it is of interest to know what of the rich geometric structure extends to $B(M)$. In [3], a symplectic structure on $B(M)$ is defined, which extends the symplectic structure on $T(M)$ defined by the Weil-Petersson Kahler form.

  • PDF

탐라오가피의 Eleutheroside B, E 및 β-Glucan 함량 분석 및 분석법 검증 (Method Validation for the Determination of Eleutherosides and β-Glucan in Acanthopanax koreanum)

  • 김영현;배다빈;박선옥;이상종;조옥현;이옥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9호
    • /
    • pp.1419-1425
    • /
    • 2013
  • 탐라오가피를 이용하여 건강기능식품 개발 시 원료의 표준화를 위한 eleutheroside B, E 및 ${\beta}$-glucan의 함량 및 분석법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법 검증결과, HPLC를 이용한 분석방법에서 표준용액의 피크유지시간과 탐라오가피 뿌리 및 줄기 추출물의 피크유지시간이 일치하였으며 동일한 spectrum을 나타내는 것으로 특이성을 확인하였다. Eleutheroside B와 E의 검량선은 각각 0.9997, 0.9999로 1에 가까운 높은 직선성을 보여주어 분석에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Eleutheroside B와 E의 검출한계는 각각 $0.050{\mu}g/mL$, $0.025{\mu}g/mL$이었고 정량한계는 $0.250{\mu}g/mL$로 eleutheroside B와 E가 동일한 값으로 설정되었다. Eleutheroside B의 함량은 탐라오가피 뿌리 및 줄기에서 각각 $525.7{\pm}16.8$, $525.1{\pm}21.1{\mu}g/g$으로 큰 차이가 없었으며 eleutheroside E의 함량은 뿌리 및 줄기에서 각각 $1,315.3{\pm}22.7$, $1,037.5{\pm}22.2{\mu}g/g$으로 뿌리에 더 많은 eleutheroside E가 함유되어 있었다. 정밀도(RSD) 측정 결과, eleutheroside B와 E는 일간 정밀도에서 각각 1.4~5.0, 1.1~2.5%의 정밀도를 보여주었으며 일내 정밀도에서는 각각 2.8~2.9, 0.4~1.1%로 일간 정밀도보다 높은 정밀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eleutheroside B는 100.66~110.04%, eleutheroside E는 94.26~111.62% 범위의 회수율을 보여주어 실험방법에 대한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beta}$-Glucan 분석법 검증 결과, 100.03%의 회수율을 보였으며 분석오차는 2.33%로 높은 정확도를 보여주었고, 일간(inter-day) 정밀도는 1.32~5.67%이었으며 일내(intra-day) 정밀도는 8.01~11.76%의 정밀성을 나타내었다. 탐라오가피 줄기, 잎 및 열매의 ${\beta}$-glucan 함량은 각각 $5.32{\pm}0.38$, $4.34{\pm}0.32$, $3.71{\pm}0.22%$(w/w)로 줄기에 가장 많은 ${\beta}$-glucan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 지표성분인 eleutheroside B와 E의 HPLC를 이용한 동시분석 방법과 ${\beta}$-glucan 분석방법이 적합한 분석방법임이 검증되었다.

자외선 B파 조사가 표고버섯의 비타민 D$_2$ 함량, 색도 및 향기패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UV-B Irradiation on the content of vitamin D$_2$, color and flavor pattern in Lentinus edodes)

  • 이진실;윤갑희;신원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21-126
    • /
    • 2003
  • 자외선 B파 조사가 톱밥배지에서 재배되고 있는 표고버섯의 비타민, 색도, 향기패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외선 B파 조사에 따른 표고버섯의 비타민 D$_2$ 함량 변화. 자외선 B파를 자실체에 각각 0(대조군), 25, 50KJ/$m^2$ 조사한 결과 대조군의 비타민 D$_2$ 함량은 25.36$\mu\textrm{g}$/g인 반면, 25, 50KJ/$m^2$의 자외선 조사로 비타민 D$_2$ 함량은 각각 39.73, 52.35$\mu\textrm{g}$/g로 증가하였다. 2. 자외선 B파 조사량에 따른 색도 변화. 색도 측정 결과 명도를 나타내는 L$^{*}$ 값은 대조군이 94.84로 25(92.19), 50KJ/$m^2$(92.26)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적색을 나타내는 a$^{*}$ 값은 각 시험군 간에 차이는 없었으나 황색을 나타내는 b$^{*}$ 값은 대조군이 -1.35로 25(-1.06), 50KJ/$m^2$(-0.80)보다 낮은 치수를 보였다. 3. 자외선 B파 조사량에 따른 표고버섯의 향기패턴 분석. GC-SAW 전자코를 통해 분석된 향기 패턴은 대조군의 경우 peak가 10개가 감지되었으나 25, 50KJ/$m^2$군의 경우는 14개의 peak들이 감지되었다. 자외선 조사로 표고버섯의 향기 패턴의 변화가 생긴 것을 알 수 있었다.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Properties of CO2 Activated Carbon Black Filled Polymer Coating Materials

  • Hu, Quanli;Kim, Myung-Soo
    • Carbon letters
    • /
    • 제9권4호
    • /
    • pp.298-302
    • /
    • 2008
  • Carbon blacks could be used as the filler for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shielding. The poly vinyl alcohol (PVA) and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were used as the matrix for the carbon black fillers. Porous carbon blacks were prepared by $CO_2$ activation. The activation was performed by treating the carbon blacks in $CO_2$ to different degrees of burnoff. During the activation, the enlargement of pore diameters, and development of microporous and mesoporous structures were introduced in the carbon blacks, resulting in an increase of extremely large specific surface areas. The porosity of carbon blacks was an increasing function of the degree of burn-off. The surface area increased from $80\;m^2/g$ to $1142\;m^2/g$ and the total pore volume increased from $0.14073\;cc{\cdot}g^{-1}$ to $0.9343\;cc{\cdot}g^{-1}$. Also, the C=O functional group characterized by aldehydes, ketones, carboxylic acids and esters was enhanced during the activation process. The EMI shielding effectiveness (SE) of raw N330 carbon blacks filled with PVA was about 1 dB and those of the activated carbon blacks increased to the values between 6 and 9 dB. The EMI SE of raw N330 carbon blacks filled with PVDF was about 7 dB and the EMI SE increased to the range from 11 to 15 dB by the activ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