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H{\beta}$ subunit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19초

흰쥐 뇌하수체 전엽세포에서 PKC나 cAMP에 의한 LH 분비 및 $LH{\beta}$ Subunit mRNA 증가에 미치는 $Ca^{++}$의 영향 (Effects of Extracellular $Ca^{++}$ on PKC or cAMP-stimulated Increases in LH Release and $LH{\beta}$ Subunit mRNA Levels in Rat Anterior Pituitary Cells)

  • 박덕배;김창미;천민석;유경자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47-355
    • /
    • 1996
  • 흰쥐 뇌하수체 전엽배양세포에서 PKC나 cAMP에 의한 LH 분비와 $LH{\beta}$subunit mRNA 증가과정에서 세포외 $Ca^{++}$의 역할을 검증하기 위하여 phorbol ester와 forskolin에 의해 촉진된 LH 분비와 $LH{\beta}$ subunit mRNA 수준에 미치는 EGTA와 verapamil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Forskolin에 의해 촉진된 LH 분비와 $LH{\beta}$ subunit mRNA 수준은 $Ca^{++}$ chelator인 EGTA나 $Ca^{++}$ 채널차단제인 verapamil의 처리로 세포외부로부터 $Ca^{++}$의 이동을 억제시켰을때 모두 감소하였다. PMA에 의해 유도된 LH 분비는 EGTA와 verapamil 처리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PMA에 의해 촉진된 $LH{\beta}$ subunit mRNA는 억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 의하면 PKC 활성화나 세포내 cAMP 농도 증가는 $LH{\beta}$ subunit mRNA 수준을 증가시키며 이러한 과정은 세포외 $Ca^{++}$ 의존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PKC 활성화나 cAMP 증가에 의한 세포외 $Ca^{++}$의 역할이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인다. PKC 활성화에 의한 LH 분비는 세포외 $Ca^{++}$에 비의존적이나 cAMP에 의해 촉진된 LH 분비는 세포외 $Ca^{++}$ 유입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난소제거된 흰쥐에서 난소호르몬에 의한 $LH{\beta}$ subunit의 유전자 발현조절 (Regulation of $LH{\beta}$ subunit mRNA by Ovarian Steroid in Ovariectomized Rats)

  • 김창미;박덕배;유경자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25-235
    • /
    • 1993
  • 난소호르몬에 의하여 황체형성호르몬(luteinizing hormone; LH) subunit의 유전자 발현이 어떻게 조절되는가를 조사하기 위하여 성숙한 흰쥐에서 난소를 제거하거나 또한 난소호르몬을 재 투여한 후 ${\alpha}$$LH{\beta}$ subunit mRNA의 수준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난소를 제거한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혈중 LH 농도 및 뇌하수체 LH 함량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또한 난소제거 후 14일 후부터 ${\alpha}$ subunit mRNA 수준이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LH{\beta}$ subunit mRNA 수준은 난소제거 후 1일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혈중 LH 농도와 같은 양상으로 증가하였다. 2. 난소제거 후 21일 경과후에 난소호르몬을 투여하였을때 난소제거로 증가된 혈중 LH 농도와 ${\alpha}$$LH{\beta}$ subunit mRNA 수준이 감소하였다. Estradiol을 1일간 투여하였을때 부터 혈중 LH 농도 및 ${\alpha}$$LH{\beta}$ subunit mRNA 수준이 감소하였으며, progesterone을 4일간 처리하였을때에 혈중 LH농도가 감소하였다. 3. Estrogen 길항제인 LY117018를 estradiol과 동시에 처리하거나, progesterone 길항제인 RU 456을 progesterone과 동시에 처리하였을때 estradiol과 porgesterone에 의하여 감소되었던 혈중 LH 농도 및 ${\alpha}$$LH{\beta}$ subunit mRNA 수준이 유의하게 회복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LH 분비에 있어서 $LH{\beta}$ subunit mRHA 수준의 변화가 속도결정단계 (rate limiting step)인 것으로 보이며, 난소홀몬은 ${\alpha}$$LH{\beta}$ subunit mRNA 수준을 조절하므로써 pretranslation 단계에서 LH 생합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흰쥐 뇌하수체전엽 배양세포에서 GnRH 및 난소호르몬에 의한 $LH{\beta}$ subunit 유전자 발현 조절에 관한 연구 (Regulation of Luteinizing Hormone Release and Subunit mRNA by GnRH and Ovarian Steroids in Cultured Anterior Pituitary Cells)

  • 김창미;박일선;유경자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9-28
    • /
    • 1994
  • 흰쥐의 뇌하수체 전엽배양세포에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을 처리하였을 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GnRH농도에 비례하여 luteinizing hormone(LH)의 분비가 증가하였으며, 2시간까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GnRH를 처리하였을때 ${\alpha}$ subunit mRNA의 농도는 증가하지 않았으나 $LH{\beta}$ subunit mRNA의 농도는 GnRH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GnRH 처리후 6시간 이후부터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특히 최종농도가 $2{\times}10^{-10}M$이 되도록 GnRH를 처리하였을 때 $LH{\beta}$ subunit mRNA 농도가 2.7배 정도 최대로 증가하였다. 또한 estradiol을 단독으로 또는 GnRH와 동시에 처리하였을때 LH분비가 증가하지 않았으나 progesterone을 GnRH와 동시에 처리하였을때 LH분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LH{\beta}$ subunit mRNA의 농도는 estradiol및 progesterone을 단독으로 또는 GnRH와 동시에 처리하였을때 난소호르몬 농도에 의존적으로 $LH{\beta}$ subunit mRNA의 농도가 증가하였다. Estradiol에 의한 $LH{\beta}$ subunit mRNA의 증가양상은 estrogen 길항제인 LY117018에 의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GnRH는 steady state $LH{\beta}$ subunit mRNA 농도에 영향을 미치므로써 LH분비 및 LH subunit 생합성을 조절하며 난소호르몬은 뇌하수체에 직접 작용하여 LH분비 및 LH subunit 생합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 PDF

말 태반과 뇌하수체에서 당단백질 호르몬의 특이적인 발현 (Differential Expression of Glycoprotein Hormones in Equine Placenta and Pituitary)

  • Min, Kwan-Sik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4권1호
    • /
    • pp.87-93
    • /
    • 2000
  • eCG는LH, FSH및 TSH와 같이 당단백질 호르몬에 속하고, 당쇄가 많이 첨가된 $\alpha$$\beta$-subunits의 비공유결합으로 구성되어 있고, 말에서 보다 다른 동물에서 FSH와 LH의 이중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아주 특이한 성선 자극 호르몬이다. eCG는 임신 40~130일 사이에 말의 자궁내막배의 영양막세포에서 합성ㆍ분비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eCG, eLH 및 eFSH의 각각 subunits mRNA발현을 태반과 뇌하수체에서 분석하였다. mRNA의 추출은 임신 70일의 태반과 27개월된 숫컷말의 뇌하수체에서 분리하였다. 말 태반을 이용한eCG mRNA발현의 Northern blotting분석결과 $\beta$ subunit가 $\alpha$ subunit보다 아주 많이 발현되었으며, 또한 뇌하수체에서 $\alpha$-, LH $\beta$-, FSH $\beta$-subunit의 분석결과 $\alpha$ subunit는 약 0.8 kb, FSH $\beta$ subunit는 1.8 kb의 크기로 발현되었는데, 이러한 FSH $\beta$ subunit는 cloning되어진 cDNA의 크기와 일치한다. 뇌하수체 전엽에서는 $\alpha$ subunit가 LH $\beta$ subunit와 FSH $\beta$ subunit보다 현저히 많이 발현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따라서, 태반과 뇌하수체에서 발현되는 각각 subunit의 mRNA는 독립적으로 조절되어 결과적으로 발현량에 차이가 나타난다고 시사되어진다.

  • PDF

흰쥐 난소에서의 Luteinizing Hormone (LH) Subunit 유전자 발현 (Expression of Luteinizing Hormone (LH) Subunit Genes in the Rat Ovary)

  • 이성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5권2호
    • /
    • pp.199-205
    • /
    • 1998
  • 흰쥐 난소에서의 Luteinizing hormonoe (LH) subunit 유전자 발현과 LH polypeptide의 존재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LH subunit들에 대한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 (RT-PCR)을 시행하고, 난소내 LH 함량을 방사면역측정법으로 정량하였다. 뇌하수체와 정소에서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LH-$\beta$ subunit$(LH-\beta})$의 exon에 해당되는 primer를 사용하여 RT-PCR을 시행한 결과 흰쥐 난소에서도 뇌하수체, 정소와 같이 306 bp band가 확인되었고, 정소특이적인 exon에 해당되는 primer를 사용한 결과 정소와 난소에서 예상대로 428 bp band가 검출되었다. 또한 LH, FSH, TSH 그리고 hCG에서 공통적으로 발현되는 common $\alpha$-subunit $(C_\alpha)$의 전사물질도 PCRdml 의해 증폭되었다. 방사면역측정법에서는 LH standard curve와 난소추출물을 사용한 curve가 동일하게 sigmoid 형태를 보임으로서 흰쥐 난소내에 immunoreactive LH가 존재함이 증명되었다. 인위적으로 성적인 성숙을 유도한 PMSG 주사 동물에서 혈중 LH 수준은 주사 후 48시간에 preovulatory LH surge와 유사한 최고 수준을 나타냈으나, 난소내 LH 함량의 경우 주사 24시간 후부터 급격히 감소하여 주사 48, 72시간군까지도 낮은 수준이 유지되었다. 이 결과는 흰쥐 난소의 LH가 생리적으로 조절되고 그 조절방식이 뇌하수체에서와는 다를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흰쥐의 난소에서 LH가 유전자가 발현됨을 최초로 보고한 것이며, LH의 경우 내분비적 경로 (endocrine; 뇌하수체로 부터의 LH)외에도 국부적 경로 (autocrine이나 paracrine; 난소내에서 합성되는 LH)를 통해 난소의 생리와 기능 조절을 담당함을 시사한다.

  • PDF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의 GTH$\beta$ 유전자 발현 및 성스테로이드 합성에 미치는 GnRHa의 효과 (Effects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Analogue (GnRHa) on Expression of the Gonadotropin Subunit Gene and on Synthesis of the Sex Steroids in Black porgy, Acanthopagrus schlegeli)

  • 최철명;민병화;장영진;박인석;조성환;안광욱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93-298
    • /
    • 2005
  • RT-PCR을 이용하여 감성돔의 뇌하수체에서 발현하는 FSH$\beta$와 LH$\beta$ cDNA를 각각 cloning하였다. GenBank를 이용하여 FSH$\beta$와 LH$\beta$ 아미노산 배열과 상동성을 비교한 결과, 감성돔 FSH$\beta$는 참돔 FSH$\beta$$83.3\%$, snakehead fish FSH$\beta$$79.2\%$ 및 striped bass FSH$\beta$$76.0\%$의 상동성이 나타났으며 , 감성돔 LH$\beta$는 yellowfin seabream LH$\beta$$97.7\%$, 참돔 LH$\beta$$96.2\%$의 높은 상동성을 보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1년생 수컷 감성돔에 GnRHa를 처리한 후, 뇌하수체에서 발현하는 GTH subunit mRNA의 농도와 혈중 T및 혈중 $E_2$ 농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GnRHa를 체중 g당 $0.2\;{\mu}g$으로 복강 주사한 후 0, 6, 12, 24 및 48시간제에 뇌하수체와 혈액을 샘플링한 결과, 호르몬 처리 후 6시간째에 FSH$\beta$ mRNA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LH$\beta$ mRNA 발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또한 혈중 T와 혈중 $E_2$ 농도는 GnRHa처리 후 24시간째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프로제스테론은 흰쥐 뇌하수체에서 LH$\beta$유전 발현을 에스트로젠과 상승작용으로 억제한다. (Progesterone Inhibits Luteinizins Hormone $\beta$ Subunit (LHP) Gene Expression in the Rat Pituitary in a Svnergic Manner)

  • 조병남;성재영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77-384
    • /
    • 1994
  •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inhibitow effect of progesterone (P) on luteinizing hormone $(LH)\beta$ subunit gene expression in anterior pituitary of ovariectomized, estradiol-treated adult rats. A single injection of P (1mg) further decreased the estradiol-Induced decrease in $LH\beta$ mRNA levels in ovariectomTzed rats in a time-dependent manner. p suppressed UIP mRNA levels at lower doses (0.1 and 1mg), but increased $LH\beta$ mRNA levels 81 a high dose (toms). The inhibitor action of P on $Uf\beta$ mRNA was restored when Ru486, a P receptor antagonist, was administered 1h before P treatment. These data clearly indicate that P inhibits gene expression of $LH\beta$ in the rift pituitary in a swersic manner with estrogen.

  • PDF

Expression of Luteinizing Hormone (LH) Subunit Genes in Mouse Testis

  • Kim, Hee Soo;Lee, Sung-Ho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1권3호
    • /
    • pp.327-333
    • /
    • 2017
  • Gonadotropins are heterodimers consisting an alpha chain ($Cg{\alpha}$) and a beta chain. Interestingly, presence of complicated $LH-{\beta}$ transcripts in rat testis was accidently found; testicular $LH-{\beta}$ transcripts were confined in seminiferous tubules to spermatids, and the translated products were localized in the elongated spermatids. We hypothesized that mouse testis has potential to produce the tissue specific $LH-{\beta}$ with similar structure to the rat testicular forms. To verify our hypothesis, we examined the adult mouse (ICR) testis using RT-PCR and immunohistochemistry. The PCR revealed the presence of the identical products in the reactions for three LH subunit types. The expected product sizes for mouse $Cg{\alpha}$ and $LH-{\beta}$ known as pituitary type were 224 bp and 503 bp, respectively. The testicular type $LH-{\beta}$ products were produced by a primer set based on the rat sequences, with unexpected size of 800 bp. Sequencing revealed that the proximal and distal parts (2-82 and 661- 773 bp, respectively) were homologous to rat testicular $LH-{\beta}$ cDNA, and middle part (83-660 bp) was a unique mouse-specific region. Both $Cg{\alpha}$ and $LH-{\beta}$ positive signals were in the round and elongated spermatids and mature sperms, and the $LH-{\beta}$ signals were more intense. In conclusion, our study demonstrated that the presence and localization of the LH subunits in mouse testis. Further studies will be needed to understand the precise structure and function of mouse testicular LH.

흰쥐 유선에서의 Luteinizing Hormone (LH)과 수용체 유전자 발현 (Expression of Luteinizing Hormone (LH) and Its Receptor Gene in Rat Mammary Gland)

  • 류종순;김재만;이성호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4권2호
    • /
    • pp.231-236
    • /
    • 2000
  •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과 그 수용체가 흰쥐의 난소, 정소, 자궁, 태 반 그리고 유선 등의 생식기관에서 발현됨이 알려져 있다. 더욱이, 뇌하수체 전엽에 작용하는 GnRH의 표적 산물로 알려진 luteinizing hormone (LH)이 흰쥐 생식소에서도 발현됨이 알려졌는데, 이는 생식소 내에 GnRH-LH로 이루어진 국부 회로 (local circuit)가 존재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LH와 그 수용체 유전자가 흰쥐 유선에서도 발현되는가를 규명한 것이다. 이를 위해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과 LH 방사면역측정법 (radioimmunoassay, RIA)을 사용하였다. RT-PCR을 시행한 결과 생식 주기중인 임신하지 않은 흰쥐 유선에서 뇌하수체 유형의 LH${\beta}$ 전사체 (exon 1-3)가 증폭되었으나 정소특이적 LH${\beta}$ exon 부분은 검출되지 않았다. 뇌하수체 glycoprotein hormone에서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alpha}$-subunit과 LH 수용체에 대한 전사체 역시 흰쥐 유선에 존재함이 확인되었다. 또한 기존의 보고에서 수유중인 흰쥐 유선에서만 발현된다고 알려진 GnRH가 임신하지 않은 흰쥐 유선에서도 발현됨을 확인하였다. LH 방사면역측정법을 시행한 결과 흰쥐 유선조직 추출물에서 immunoreactive LH분자들이 검출되었으며, LH standard curve와 parallelism을 보이므로 흰쥐 유선의 LH가 뇌하수체 형과 동일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흰쥐 유선에서 LH subunit들과 수용체 유전자가 발현됨을 최초로 보고한 것으로서, 흰쥐 유선이 LH의 생성처이면서 동시에 작용처이며 유선에서 합성된 GnRH의 조절하에 국부적인 인자로 작용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 PDF

인간의 자궁에서의 Luteinizing Hormone (LH) 유전자 발현 (Expression of Luteinizing Hormone(LH) Gene in Human Uterus)

  • 김성례;이성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6권3호
    • /
    • pp.377-381
    • /
    • 1999
  • Objectives: Recent studies, including our own, demonstrated that the novel expression of LH gene in rat gonads and uterus, indicating that the local production and action of the LH-like molecule.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human uterus also expresses the LH gene. Design: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mplified the cDNA fragments coding $LH_{\beta}$ polypeptide from human endometrium but not from myometrium. Presence of the transcripts for the ${\alpha}$-subunit in human endometrium was also confirmed by RT-PCR. Results: Transcripts for $LH_{\beta}$ subunit were detected in endometrial samples from women with endometriosis. The gene for LH/hCG receptor was expressed in both endometrium and myometrium, showing good agreement with previous studies. Increased level of $LH_{\beta}$ transcript was determined in the endometrium from follicular phase compared to that from luteal phase. Conclusion: Taken together, our findings demonstrated that 1) the genes for LH subunits and LH/hCG receptor are expressed in human uterus, 2) the uterine LH expression was changed during menstrual cycle, suggesting that the uterine LH may playa local role in the control of uterine physiology and func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