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aCO_3$

검색결과 2,196건 처리시간 0.028초

한강의 오염도 (Han River Pollution Studies)

  • 최상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4-45
    • /
    • 1972
  • The Han River is an important water source in Seoul and neighbouring districts, for public and industrial supply, and for agriculture and fishery. Nowadays, more than six million inhabitants are supplied withe water from this river. The total length of the river is 470km, and has 17 10$\^$9/㎥ an average annual flow. The hydrographic characteristics at Seoul are 653㎥/sec in an average flow, 4,608㎥/sec in the maximum average flow, and 201㎥/sec in the minimum average flow. These are influenced in some degree by snowmelt in early spring, and greatly by the flood during summer. For the pollution problems, the periods of low flow are critical ones. As a rule they occur around the months November through June. Nowadays, most of the sewage from towns and industries is discharged untreated. Apart from domestic and industrial sewages, there are some discharges of mineral matter by mines in the upriver region. In general, water quality of the Han River is kept very clean and healthy until Kwangnaru of the upper region of Seoul. A large pollution, however, is received in the downstream by the domestic and industrial sewages of Seoul. It can be seen that dissolved oxygen, COD and BOD$\sub$5/ diminish markedly, and the intensity of almost every water parameter of the river continues to increase. Comparison of the figures for 1971 derived from a sampling point 40km downstream of Kwangnaru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hardness, Ca and Mg were no changed; alkalinity, Si and soluble- Fe were slightly increased; CO$\sub$2/, acidity, Cl, NO$\sub$2/-N, Cu, Zn and Al were increased in 2 and 3 times; total residue, total ignitious residue, COD, BOD$\sub$5/, NH$\sub$4/-N, PO$\sub$4/-P, Mn, Pb and total-Fe were increased in 4 to 7 times; and SO$\sub$4/, particulate-Fe and Cd were increased in 10 to 11 times. On the other hand, coliforms were increased in 650 times; fecal coliforms in 365 times; enterococci and total plate counts in 30 times, respectively. In view points of water quality standards, the down Han River water is now leveling out in Cd, coliforms and fecal coliforms for the agricultural use; in dissolved oxygen and some trace elements (Cu, Zn, Pb and Cd) for the fishery use; in ammonia, COD, BOD$\sub$5/, and Cd for the drinking use.

  • PDF

석회암 유래 토양의 토양유기탄소 분석법 연구 (Soil Organic Carbon Determination for Calcareous Soils)

  • 정원교;김유학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396-402
    • /
    • 2006
  • 토양 유기탄소는 토양의 질 및 토양 비옥도의 평가 또는 시비량의 결정 등에 주요한 요인으로 고려되어 왔으며 온실가스의 방출 및 지구 온난화에 영향을 주고 있다. 따라서 토양 유기탄소의 적절한 관리는 토양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온실가스원을 관리하는 차원에서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압력센서를 이용한 무기탄소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토양중 무기탄소량을 측정하고 건식연소법과 습식연소법을 이용하여 석회암에서 유래된 토양의 유기탄소을 분석 비교 하고자 하였다. 건식연소법으로 측정된 총탄소의 값에서 무기탄소 측정장치를 통해 얻어진 무기탄소값을 뺀 값을 유기탄소량으로 계산하였다. 탄산석회 ($CaCO_3$)를 이용한 무기탄소 표준시료의 양과 개발된 무기탄소 측정장치 출력 값 간에 매우 유의한 직선의 관계가 얻어졌다. 충청북도 및 강원도 일대 석회암 지역에서 채취한 토양시료를 이용하여 건식연소법과 무기탄소 분석 장치를 이용하여 탄소함량을 분석한 결과 총 탄소 중량대비 약 22-28%의 무기탄소가 관측되었다. 습식연소법과 건식연소법으로 측정한 토양의 유기탄소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개발된 토양무기탄소 분석장치는 토양 중 무기탄소의 간편한 측정을 통하여 석회암등에서 유래된 토양의 유기탄소를 효과적으로 분석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The Usefulness of a Wearable Device in Daily Physical Activity Monitoring for the Hospitalized Patients Undergoing Lumbar Surgery

  • Kim, Dong Hwan;Nam, Kyoung Hyup;Choi, Byung Kwan;Han, In Ho;Jeon, Tae Jin;Park, Se Young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2권5호
    • /
    • pp.561-566
    • /
    • 2019
  • Objective : Functional outcomes have traditionally been evaluated and compared using subjective surveys, such as visual analog scores (VAS),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and Short Form-36 (SF-36), to assess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However, these surveys are limited by their subjective natures and inherent bias caused by differences in patient perceptions of symptoms. The Fitbit $Charge^{(R)}$ (Fitbit Inc., San Francisco, CA, USA) provides accurate and objective measures of physical activity. The use of this device in patients after laminectomy would provide objective physical measures that define ambulatory function, activity level, and degree of recovery. Therefor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relationships between the number of steps taken by patients per day and VAS pain scores, prognoses, and postoperative functional outcomes. Methods : We prospectively investigated 22 consecutive patients that underwent laminectomy for spinal stenosis or a herniated lumbar disc between June 2015 and April 2016 by the same surgeon. When patients were admitted for surgery and first visited after surgery,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functional scores were recorded using VAS scores, ODI scores, and SF-36. The VAS scores and physical activities were recorded daily from postoperative day (POD) 1 to POD 7.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VAS scores and daily physical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by simple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ean number of steps taken and ODI scores after surgery was subjected to simple regression analysis. In addition, Wilcoxon's signed-rank test was used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of pre-to-postoperative differences in VAS, ODI, and SF-36 scores. Results : Pre-to-postoperative VAS (p<0.001), ODI (p<0.001), SF-36 mental composite scores (p=0.009), and SF-36 physical composite scores (p<0.001) scor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Numbers of steps taken from POD 1 to POD 7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daily VAS scores (r=-0.981, p<0.001). In addition, the mean number of steps from POD 3 to POD 7 and the decrease in ODI conducted one month after surger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29). Conclusion : Wearable devices are not only being used increasingly by consumers as lifestyle devices, but are also progressively being used in the medical area. This is the first study to demonstrate the usefulness of a wearable device for checking patient physical activity and predicting pain and prognosis after laminectomy. Based on our experience, the wearable device used to provide measures of physical activity in the present study has the potential to provide objective information on pain severity and prognosis.

자동핵종분리장치를 이용한 액체시료 중 89Sr, 90Sr 동시분석법 연구 (Simultaneous analysis method of 89Sr and 90Sr in liquid sample using automated separation system)

  • 김희원;이용진;김선하;이진홍;임종명;김현철
    • 분석과학
    • /
    • 제33권6호
    • /
    • pp.274-284
    • /
    • 2020
  • 액체시료 중 89Sr와 90Sr을 자동핵종분리장치를 이용하여 Sr-resin으로 분리-정제하고, 액체섬광계수기(LSC)로 동시 분석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액체시료 0.5 kg 중 방사성스트론튬을 탄산염 형태로 농축하고, Sr-resin 2 mL (Bed volume)으로 분리하였다. 유량이 최대 1 mL min-1까지 가능한 중력법과, 유량 2 mL min-1, 4 mL min-1 조건에서, Sr과 방해이온들의 거동을 평가하였다. LSC를 이용해 섬광용액을 혼합하지 않은 Cerenkov mode와, 섬광용액을 혼합한 Scintillation mode에서 측정한 결과를 이용해 정제된 89Sr와 90Sr의 방사능을 동시에 분석하였다. 표준선원을 이용해 90Sr/89Sr의 방사능 비가 1:1, 1:2, 1:5 되도록 탈염수를 이용해 모의시료를 준비하였고, 89Sr 방사능은 0.5~10 Bq kg-1, 90Sr 방사능은 0.5~50 Bq kg-1의 범위이다. Sr의 회수율은 68~94 %이고, 89Sr의 상대편의는 -5~20 %, 90Sr 방사능의 상대편의는 -10~10 %로 나타났다.

Comparison of retentive force and wear pattern of Locator® and ADD-TOC attachments combined with CAD-CAM milled bar

  • Chae, Sung-Ki;Cho, Won-Tak;Choi, Jae-Won;Bae, Eun-Bin;Bae, Ji-Hyeon;Bae, Gang-Ho;Huh, Jung-Bo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4권1호
    • /
    • pp.12-21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in retention and wear pattern of Locator® and ADD-TOC attachments on a digital milled bar by performing chewing simulation and repeated insertion/removal of prostheses in fully edentulous models. MATERIALS AND METHODS. Locator (Locator®; Zest Anchors Inc., Escondido, CA, USA) was selected as the control group and ADD-TOC (ADD-TOC; PNUAdd Co., Ltd., Busan, Republic of Korea) as the experimental group. A CAD-CAM milled bar was mounted on a master model and 3 threaded holes for connecting a bar attachment was formed using a tap. Locator and ADD-TOC attachments were then attached to the milled bar. Simulated mastication and repeated insertion/removal were performed over 400,000 cyclic loadings and 1,080 insertions/removals, respectively. Wear patterns on deformed attachment were investigated by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RESULTS. For the ADD-TOC attachments, chewing simulation and repeated insertion/removal resulted in a mean initial retentive force of 24.43 ± 4.89 N, which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Locator attachment, 34.33 ± 8.25 N (P < .05). Amounts of retention loss relative to baseline for the Locator and ADD-TOC attachments were 21.74 ± 7.07 and 8.98 ± 5.76 N (P < .05). CONCLUSION. CAD-CAM milled bar with the ADD-TOC attachment had a lower initial retentive force than the Locator attachment. However, the ADD-TOC attachment might be suitable for long-term use as it showed less deformation and had a higher retentive force after simulated mastication and insertion/removal repetitions.

제주 해안지역 모래의 압축 특성 (Compression Characteristics of Jeju Island Beach Sands)

  • 남정만;조성환;김태형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6호
    • /
    • pp.103-114
    • /
    • 2007
  • 제주도 해안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모래는 화산암류가 풍화되어 형성된 모래와 조개 등의 어패류가 풍화되어 탄산염 $(CaCO_3)$ 함유량이 많은 모래, 그리고 이들 두 가지 특징이 혼재한 모래로 분류할 수 있었다. 분류된 모래들 중 삼양, 김녕, 제주외항 지역의 모래에 압축 특성을 알고자 압축시험을 수행한 결과, 삼양인 경우 초기압축이 다른 모래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김녕, 제주외항 모래인 경우 초기압축외의 추가적인 압축도 상당히 발생하였으며, 이는 압축시험 전·후의 모래의 입도분포 분석 결과 입자의 파쇄와 재배열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 제주외항 항만시설 축조공사에 따른 지반의 침하특성을 분석한 결과 초기 압축 외에도 모래의 파쇄성과 재배열에 의해 상당시간동안 압축이 일어난 것을 알 수 있으며, 파쇄성과 재배열이 고려되지 않은 기존 탄성침하량 산정법을 이용한 침하량과 기존의 침하시간 산정 시 과소평가 될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완전제어형 식물 생산 시스템에서 배양액, 광도 및 재식거리에 따른 Common Ice Plant의 생육 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Common Ice Plant (Mesembryanthemum crystallinum L.) on Nutrient Solution, Light Intensity and Planting Distance in Closed-type Plant Production System)

  • 차미경;박경섭;조영열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89-94
    • /
    • 2016
  • 본 연구는 인공광 이용형 식물공장에서 common ice plant를 재배하였을 때 생육에 대한 적합한 배양액 조성, 배양액 산도, 급액 간격, 광도 및 재식거리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식물공장 유형은 완전제어형 식물공장형태로 인공광원은 삼파장 형광등을 사용하였으며, 광주기는 12시간 일장주기였다. 수경재배시스템은 3단으로 구성된 박막수경시스템이었다. 식물공장내 온도, 상대습도와 이산화탄소 농도는 ON/OFF 제어하였다. 배양액은 일본원예시험장액과 식물체 분석으로 개발 배양액을 가지고 비교 실험 하였다. 배양액의 산도와 급액 간격 실험은 pH 6.0과 7.0 그리고, 5분 간격과 10분 간격으로 순환 할 경우 생육 차이를 알아보았다. 광도는 90과 $180{\mu}mol{\cdot}m^{-2}{\cdot}s^{-1}$ 2처리 하였다. 재식거리는 열간 간격을 15cm로 고정한 후, 열내 간격 10cm, 15cm, 20cm와 25cm 4처리로 처리하였다. 적당한 배양액의 조성은 N 7.65, P 0.65, K 4.0, Ca 1.6과 Mg $1.0mM{\cdot}L^{-1}$이었다.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은 pH 6과 7 그리고 5분 간격과 10분 간격 처리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은 광도 $180{\mu}mol{\cdot}m^{-2}{\cdot}s^{-1}$에서 높았다. 재식거리가 증가할수록, 단위면적당 생체중과 건물중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식물 생산 시스템에서 common ice plant 생육에 적합한 배양액 관리(조성, pH와 급액간격)와 재배관리(광도와 재식밀도)를 알아본 결과, 생육에 적합한 배양액 조성으로 pH 6.0-7.0로, 급액 10분 간격으로 공급해 주는 것이 좋으며, 광도 $180{\mu}mol{\cdot}m^{-2}{\cdot}s^{-1}$와 재식밀도 $15{\times}15cm$로 재배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확시기, 예건 및 싸라기 처리가 유기 청보리의 사초 생산성 및 사일리지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arvest Stage, Wilting and Crushed Rice on the Forage Production and Silage Quality of Organic Whole Crop Barely)

  • 김종덕;이현진;전경협;양가영;권찬호;성하균;황보순;조익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5-34
    • /
    • 2010
  • 최근에 청보리 사일리지는 국내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조사료이지만 유기축산을 위한 유기조사료의 생산과 품질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시험은 유기 청보리 사일리지의 적정 수확시기를 구명하고, 사일리지 품질 향상을 위하여 예건과 싸라기를 첨가하여 사일리지를 평가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12처리 3반복의 분할구 배치법으로 주구는 수확시기로 출수기, 유숙기 및 황숙기를 두었으며, 세구는 무처리, 예건, 싸라기 10%, 싸라기 15%를 두었다. 수확시 건물함량은 출수기, 유숙기 및 황숙기가 각각 12.8%, 21.9% 및 29.8%로 증가하였다. 청보리의 건물수량은 출수기, 유숙기 및 황숙기가 각각 10,346, 15,819 및 18,336 kg/ha였으며, TDN 수량은 6,288, 9,550 및 10,178 kg/ha였다. 유기 사일리지의 pH는 출수기, 유숙기 및 황숙기가 각각 4.70, 4.03 및 5.37로 유숙기가 가장 낮았다. 청보리의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조단백질, 조지방, NFC 및 TDN 함량은 감소하였으나, NDF 및 ADF 함량은 증가하였다. 그러나 조회분 함량은 유숙기가 가장 낮았다. 사일리지의 예건과 싸라기의 첨가는 조회분, NDF 및 ADF 함량을 감소시키고, NFC와 TDN 함량은 증가시켰다. 사일리지의 건물소화율은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예건과 싸라기 첨가에 의하여 건물소화율이 증가하였다. 유숙기가 다른 수확시기보다 젖산과 총유기산 함량은 높고 낙산 함량이 낮아 총유기산 중 젖산함량이 가장 높았다. 예건과 싸라기 첨가에 의한 젖산 함량 증가 효과는 출수기가 다른 수확기보다 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유기 청보리 사일리지 제조를 위한 수확적기는 유숙기 이었으며, 예건과 싸라기 첨가에 의하여 청보리 사일리지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수산화칼슘 처리된 Porphyromonas endodontalis Lipopolysaccharide가 다형핵백혈구의 IL-1과 TNF-α 생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IL-1 AND TNF-α RELEASE IN HUMAN POLYMORPHONUCLEAR LEUKOCYTES AFTER EXPOSURE TO CALCIUM HYDROXIDE TREATED Porphyromonas endodontalis LIPOPOLYSACCHARIDE)

  • 박찬제;박동성;유현미;오태석;임성삼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7권5호
    • /
    • pp.463-472
    • /
    • 2002
  • Bacterial lipopolysaccharide (LPS) plays a major role in stimulating the synthesis and release of the principal osteoclast-activating cytokines, namely, interleukin 1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from immune cells. Although rnonocytes/macrophages are the main producers of these cytokines, recent evidence has indicated that polymorphonuclear leukocytes (PMN) have the ability to release IL-1 and TNF-$\alpha$. Calcium hydroxide has been shown to be an effective medicament in root canal infections, reducing the microbial titre within the canal. It has been proposed that the therapeutic effect of Ca(OH)$_2$ may also be the result of direct inactivation of LP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reatment of Porphyromonas endodontalis LPS with calcium hydroxide alters its biological action as measured by human PMN secretion of IL-1 and TNF-$\alpha$, and it was compared with Escherichia coli LPS. P. endodontalis ATCC 35406 was cultured in anaerobic condition, and LPS was extracted using the hot-phenol water extraction method and purified. Purchased E. coli LPS was also purified. 100 $\mu\textrm{g}$/ml of each LPS in pyrogen free water were incubated with 25mg/ml Ca(OH)$_2$ at 37$^{\circ}C$ for 7 days. The supernatants were subjected to ultrafiltration, and the isolates were lyophilized and weighed. PMNs were obtained from peripheral blood by centrifugation layered over Lymphoprep. The cells were resuspended (4$\times$10$^6$ cells/ml) in RPMI 1640 followed by treatment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LPS (0, 0.1, 1, 10$\mu\textrm{g}$/ml) for 24 hours at 37$^{\circ}C$ in 5% $CO_2$ incubator. The supernatants of cells were collected and the levels of IL-1$\alpha$, IL=1$\beta$ and TNF-$\alpha$ were measur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levels of IL-1$\alpha$, IL-1$\beta$, TNF-$\alpha$ from PMN treated with each L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released from unstimulated PMN of the control group (p<0.05). 2. The levels of all three cytokines released from PMN stimulated with each calcium hydroxide treated L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released from PMN stimulated with each untreated LPS (p<0.05), while the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released from unstimulated PMN of the control group (p>0.05) 3. The levels of secretion for all three cytokines were affected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PMN stimulated with each LPS (p<0.05), but not in PMN stimulated with each calcium hydroxide treated LPS (p>0.05). 4. The levels of all three cytokines released from PMN stimulated with p. endodontalis L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released from PMN stimulated with E coli LPS (p<0.05).

이태리 포플러의 화학적 전처리 공정을 통한 효소가수분해 영향 인자 분석 (Study on Affecting Variables Appearing through Chemical Pretreatments of Poplar Wood (Populus euramericana) to Enzymatic Hydrolysis)

  • 구본욱;박나현;여환명;김훈;최인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7권3호
    • /
    • pp.255-264
    • /
    • 2009
  • 본 연구는 화학적 전처리 공정이 목질계 바이오매스의 효소 가수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할 목적으로 이태리포플러 분말을 1% 황산과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각각 $150^{\circ}C$$160^{\circ}C$에서 한 시간 동안 전처리를 실시하였다. 전처리된 시료는 건조과정을 거친 시료와 건조과정을 거치치 않은 시료로 각각 구분하여 화학적, 물리적 성상 및 효소 당화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황산 전처리에 의한 바이오매스의 분해율은 약 24.5%로 수산화나트륨 전처리에 의한 분해율(18.6%)보다 약 6% 이상 높게 측정되었다. 반면, 탈리그닌화는 수산화나트륨이 우수하여 황산을 이용한 전처리보다 약 2% 가량 높게 나타났다. 결정화도는 미처리 시료와 비교하였을 때 황산과 수산화나트륨으로 전처리한 시료 모두 다소 높은 값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전처리 과정에서 비결정성 셀룰로오스가 결정영역보다 선택적으로 분해됨으로서 나타난 결과로 예측되었다. 주사전자현미경에 의한 표면 미세구조 관찰 결과, 황산, 수산화나트륨 전처리 모두 구성 성분들을 분해함으로써 목질바이오매스의 표면을 미처리 시료보다 거칠게 만들고 부분적인 균열을 발생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황산 전처리-건조 시료에서는 이러한 표면 거칠음이 대조구와 유사하게 다시 변화하였음을 관찰하였다. 시료 표면의 기공분포는 두가지 전처리 과정 모두를 통해 크게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수산화나트륨에 의해 전처리된 시료는 건조과정을 거친 경우에도 기공분포가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황산으로 전처리한 시료는 건조과정을 거치면서 전처리에 의해 증가한 기공 분포가 다시 급격히 감소하여 미처리 시료와 유사한 기공분포를 나타내었다. 황산 전처리 후 건조과정을 거친 시료와 미건조 시료는 효소가수분해에 의한 소화율이 각각 7.0%와 26.9%로 측정된 반면, 수산화나트륨 전처리 후 건조된 시료와 미건조시료는 각각 39.7%와 45.8%로 나타나 알칼리에 의한 전처리가 산 전처리보다 소화율 향상을 위해 더 우수하였으며, 이러한 높은 소화율은 당화 효율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아울러 전처리된 바이오매스의 건조는 소화율 및 당화 수율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