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Harvest Stage, Wilting and Crushed Rice on the Forage Production and Silage Quality of Organic Whole Crop Barely

수확시기, 예건 및 싸라기 처리가 유기 청보리의 사초 생산성 및 사일리지 품질에 미치는 영향

  • Kim, Jong-Duk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Cheonan Yonam College) ;
  • Lee, Hyun-Jin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Cheonan Yonam College) ;
  • Jeon, Kyeong-Hup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Cheonan Yonam College) ;
  • Yang, Ga-Young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Cheonan Yonam College) ;
  • Kwon, Chan-Ho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Sung, Ha-Guyn (Central Research Institute, Daeho Co. LTD) ;
  • HwangBo, So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Jo, Ik-Hwan (Daegu University)
  • Received : 2010.02.08
  • Accepted : 2010.03.05
  • Published : 2010.03.31

Abstract

Although whole crop barley (Hordeum vulgare L.) is now widely grown as a silage crop in Korea, forage production and silage quality of that for organic farm have not been published. Therefore,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harvest stage on forage production and quality of organic barley, and effect of field wilting and crushed rice for shortening of harvest date and improvement of forage quality. The experiment was split-plot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Main plots were heading, milking and yellow stages, and sub-plot were field wilting for I day, crushed rice 10% (CR10%) and 15% (CR15%) treatments. The dry matter (DM) contents of heading, milking and yellow stages were 12.8%, 21.9% and 29.8%, respectively. The DM yields of heading, milking and yellow stages were 10,346, 15,819 and 18,336 kg/ha, respectively, and the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of these were 6,288, 9,550 and 10,178 kg/ha, respectively. The pH of milking stage showed low 4.00 pH values. The crude protein, ether extract, crude ash, non-fiber carbohydrate (NFC) and TDN contents were decreased as harvest stage progressed, while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nd acid detergent fiber (ADF) were increased. The crude ash (CA) of milking stage showed the lowest among harvest stages. Field wilting and crushed rice treatments decreased CA, NDF and ADF contents, and increased NFC and TDN contents.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decreased with progressed harvest stage, while field wilting and crushed rice treatments increased that of barley silage. Lactic acid and total organic acid contents of milking stage were the highest, and butyric acid of milking stage was the lowest among harvest stage. The good effect of field wilting and crushed rice was observed in heading stage. The experiment results indicate that optimum harvest stage of barley silage for organic was milking stage. The field wilting and crushed rice additive could be recommended as effective method for shortening harvest date and increasing forage quality of organic barley silage

최근에 청보리 사일리지는 국내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조사료이지만 유기축산을 위한 유기조사료의 생산과 품질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시험은 유기 청보리 사일리지의 적정 수확시기를 구명하고, 사일리지 품질 향상을 위하여 예건과 싸라기를 첨가하여 사일리지를 평가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12처리 3반복의 분할구 배치법으로 주구는 수확시기로 출수기, 유숙기 및 황숙기를 두었으며, 세구는 무처리, 예건, 싸라기 10%, 싸라기 15%를 두었다. 수확시 건물함량은 출수기, 유숙기 및 황숙기가 각각 12.8%, 21.9% 및 29.8%로 증가하였다. 청보리의 건물수량은 출수기, 유숙기 및 황숙기가 각각 10,346, 15,819 및 18,336 kg/ha였으며, TDN 수량은 6,288, 9,550 및 10,178 kg/ha였다. 유기 사일리지의 pH는 출수기, 유숙기 및 황숙기가 각각 4.70, 4.03 및 5.37로 유숙기가 가장 낮았다. 청보리의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조단백질, 조지방, NFC 및 TDN 함량은 감소하였으나, NDF 및 ADF 함량은 증가하였다. 그러나 조회분 함량은 유숙기가 가장 낮았다. 사일리지의 예건과 싸라기의 첨가는 조회분, NDF 및 ADF 함량을 감소시키고, NFC와 TDN 함량은 증가시켰다. 사일리지의 건물소화율은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예건과 싸라기 첨가에 의하여 건물소화율이 증가하였다. 유숙기가 다른 수확시기보다 젖산과 총유기산 함량은 높고 낙산 함량이 낮아 총유기산 중 젖산함량이 가장 높았다. 예건과 싸라기 첨가에 의한 젖산 함량 증가 효과는 출수기가 다른 수확기보다 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유기 청보리 사일리지 제조를 위한 수확적기는 유숙기 이었으며, 예건과 싸라기 첨가에 의하여 청보리 사일리지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영업. 2003. 사료용 맥류의 생장해석, 사료가치 분석 및 최적수확시기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김원호, 서성, 임영철, 신재순, 성병렬, 지희정, 이상진, 박태일. 2007. 호남지역 답리작에서 사료용 총체보리 우량품종 선발. 한초지 27(3):161-166 https://doi.org/10.5333/KGFS.2007.27.3.161
  3. 김정갑, 진현주, 신재순, 정의수, 한민수. 1996. 봄 재배 연맥의 silage 제조 이용시 예건 및 formic acid 처리에 의한 품질개선 효과. 한초지 16(2):155-160.
  4. 김종근. 1999. 수확시 숙기와 제조방법이 라운드 베일 호밀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김종근, 정의수, 서성, 함준상, 김맹중, 이종경. 2006. 예건기간이 라운드베얼 목초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26(1):39-44. https://doi.org/10.5333/KGFS.2006.26.1.039
  6. 김종덕, 권찬호, 김종근, 김찬현, 노환국, 윤영만, 이종경. 2009. 조사료 생산 및 이용. 신광종합출판인쇄.
  7. 남중현. 2000. 답리작 맥류를 도입한 사료 자급율 제고방안. 한국맥류연구회지 7(1):2-9.
  8. 송태화, 한옥규, 윤성근, 박태일, 김경훈, 김기종. 2009a. 청보리의 수확시기별 예건시간에 따른 수분과 사일리지 품질변화.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21(4):316-321.
  9. 송태화, 한옥규, 윤성근, 박태일, 서재환, 김경훈, 박기훈. 2009b. 사료맥류의 생육단계별 수량 및 품질 변화. 초지조사료지. 29(2):129-136. https://doi.org/10.5333/KGFS.2009.29.2.129
  10. 서 성. 2008. 국내 조사료자원의 개발 및 이용. 한국동물자원과학회 춘계 심포지엄. pp. 99-114.
  11. 서 성, 김원호, 김종근, 최기준. 2004. 권역별 답리작 사료작물 최대 생산을 위한 적작목 (품종) 선발. 1. 중부지방(수원)을 중심으로. 한초지 24(3):207-216. https://doi.org/10.5333/KGFS.2004.24.3.207
  12. 신정남, 윤익석, 1983. 예건이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3(2):92-99.
  13. 윤성근, 박태일, 서재환, 김경훈, 송태화, 박기훈, 한옥규. 2009. 청보리 품종의 적정 수확시기 및 사료가치 평가. 초지조사료지 29(2):121-128. https://doi.org/10.5333/KGFS.2009.29.2.121
  14. 이광녕, 김동암. 1997. 예건 및 첨가제가 호밀 사일리지의 발효특성과 사료가치 및 호기적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17(20):187-198.
  15. 이종경, 김종덕, 이현진, 전경협, 김종근, 서 성, 정민웅, 최진혁, 조남철, 박형수, 김원호, 임영철. 2009. 2008년도 사일리지 품질경연대회에 출품한 청보리의 품질 평가. 초지조사료지 29(4):345-354. https://doi.org/10.5333/KGFS.2009.29.4.345
  16. 임현진, 김종덕, 이현진, 전경협, 양가영, 권찬호, 윤세형. 2009. 예건이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 유기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기농업학회지 17(4):519-527.
  17. 지희정, 주정일, 이희봉. 2007. 유기물 함량이 총체보리 품종의 수량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27(4):263-268.
  18.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 농업전담2010(II). 경희정보인쇄.
  19. 황종진, 성별렬, 연규복, 안왼식, 이종호, 정규용, 김영상. 1985. 사료용 맥류 품종의 예취시가별 청예 및 건물수량과 영양가 비교. 한작지 30:301-309.
  20. AOAC 1990.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5th ed. Washington, DC.
  21. Edwards, R.A., E. Donaldson, and A.W. Mac-Gregor. 1968. Ensilage of whole-crop barley. I. Effect of variety and stage of growth. J. Sci. Food Agri. 19:656-660. https://doi.org/10.1002/jsfa.2740191110
  22. Goering, H.K., and P.J. Van Soest. 1970. Forage fiber analysis. Agic. Handbook 379, U. S. Gov. Print. Office, Washington, DC.
  23. Holland, C., W. Kezar, W.P. Kautz, E.J. Lazowski, W.C Mahanna and R. Reinhart. 1990.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Des Moines, IA.
  24. Kwon, C.H, J.D. Kim, S.G. Kim, and C.-H. Kim. 2006. Effect of com grain addition on forage quality and production cost of sorghum silage. Chinese J. of Grassl. Sci. 16(Suppl.):59-61.
  25. Manyawu, G.J., S. Sobanda, C. Mutisi, I.C. Chakoma and P.N. Ndiweni. 2003. Effect of prewilting and incorporation of maize meal on the fermentation of bana grass silage. Asian-Aust, J. Anim. Sci. 16(6):843-851. https://doi.org/10.5713/ajas.2003.843
  26. McCullough, M.E. and K.K. Bolsen, 1984. Silage management. Nat. Feed Ingred. Assoc., West Des Moines, Iowa.
  27. McDonald, P. 1981. The biochemical of silage. Grass Forage Sci. 36:1-10. https://doi.org/10.1111/j.1365-2494.1981.tb01532.x
  28. Moore, J.E. 1970. Procedure for the two-stage in vitro digestion of forage. Univ. of Florida, Depart. of Anim. Sci.
  29. Muck, R.E. and L. Jr. Kung, 2007. Silage production. In : R.F. Barnes, C.J. Nelson, K.J. Moore and M. ColIins, Forages Volume II(6th Ed.): The Science of Grassland Agriculture. Black Well Publishing, Ames, Iowa.
  30. Pitt, R.E. 1990. Silage and hay preservation. National, Agriculture and Engineering Service (NRAES). Cooperative Extension. Cornell University.
  31. SAS. 2000. Statistical Analysis System Ver., 8.01. SAS Institute Inc., Cary, NC.
  32. Seo, S., W.H. Kim and J.G. Kim. 2006. Production and utilization of whole crop barley and whole crop rice in Korea. Chinese J. of Grassl. Sci. 16 (Suppl.):274-279.
  33. Tilley, J.M.A. and R.A. Terry. 1963. A two-stage technique for the in vitro digestion of forage crops. J. Bri. Grassl. Soc. 18:104-111. https://doi.org/10.1111/j.1365-2494.1963.tb00335.x

Cited by

  1. Effect of Harvest Stage of Sorghum × Sorghum Hybrid (SSH) on the Quality of Round Baled SSH Silage vol.31, pp.2, 2011, https://doi.org/10.5333/KGFS.2011.31.2.143
  2. Effects of Harvest Stages and Ensiling Method on Nutritive Values and Quality of Sorghum × Sorghum Hybrid Silage vol.31, pp.3, 2011, https://doi.org/10.5333/KGFS.2011.31.3.295
  3. Study on Manufacture of Corn Silage Using Gunny Bag vol.31, pp.3, 2011, https://doi.org/10.5333/KGFS.2011.31.3.305
  4. Study on Quality of Corn AG-BAG Silage Manufactured with Corn Grown in Reclaimed Paddy Field vol.31, pp.4, 2011, https://doi.org/10.5333/KGFS.2011.31.4.423
  5. Nutritive Values and Quality of Sorghum-Sorghum Hybrid Bale and Trench Silage According to Those Parts vol.32, pp.3, 2012, https://doi.org/10.5333/KGFS.2012.32.3.221
  6. Effects of Ensiling Method on Nutritive Values and Quality of Sorghum × Sorghum Hybrid (SSH) Silage in Different Locations of SSH Silage vol.32, pp.3, 2012, https://doi.org/10.5333/KGFS.2012.32.3.245
  7. Study on Nutritive Values of Whole Crop Barley Varieties Grown in a Paddy Field vol.33, pp.1, 2013, https://doi.org/10.5333/KGFS.2013.33.1.30
  8. Mapp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IRG Growth Based on UAV vol.49, pp.5, 2016, https://doi.org/10.7745/KJSSF.2016.49.5.4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