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B_{18}$

검색결과 7,608건 처리시간 0.043초

시판 건포류에서 B. cereus 관련 균주 분리와 항생제 감수성 (Bacillus spp. & B. cereus Isolated in Dried Marine Products)

  • 함희진;김무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59-163
    • /
    • 2006
  • 건포류 86건에 대한 시험 결과, 37건(43.0%=37/86)에서 Bacillus spp가 18건(20.9%=18/86)에서 B. cereus가 분리되었다. 분리 동정된 37주는 B. cereus 48.6%(18/37), B. mycoides 13.5%(5/37), B. coagulus 5.4%(2/37). B. firmus 5.4%(2/37), B. circulus 2.7%(1/37), B. stearothermophilus 2.7%(1/37), B. pumilus 2.7%(1/37), E. spp. 8.1%(3/37), 그리고 Brebacillus brevis 10.8%(4/37) 등으로 나타나 식중독균의 일종인 B. cereus가 가장 많이 나타나 주의를 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고추역병 길항미생물 Bacillus subtilis AH18과 Bacillus licheniformis K11의 토양미생물 생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ytophthora Blight-antagonistic Microorganisms Bacillus subtilis AH18 and Bacillus licheniformis K11 on the Soil Microbial Community)

  • 박기춘;임종희;김상달;이영근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2권3호
    • /
    • pp.121-125
    • /
    • 2009
  • 고추역병에 대한 길항미생물로 선발된 Bacillus subtilis AH18과 Bacillus licheniformis K11의 토양미생물 생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이들 미생물을 단독 또는 복합으로 토양에 처리한 후 토양미생물상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토양미생물 생태의 변화는 토양에서 인지질 지방산을 추출한 후 전체 지방산과 지표 지방산의 상대적 비율로 분석하였다. 전체적 인지질 지방산 구성과 각 지표 지방산 분석에 의해서 B. subtilis AH18 처리구는 무처리 대조구와 완전히 구분되었다. 전체 토양미생물상을 B. subtilis AH18 처리가 바꾸었고 세균 비율을 감소시켰으며, 곰팡이세균 비율을 높였으며, 그램음성균/그램양성균의 비율을 낮추었으며, 혐기성균/호기성균의 비율은 증가시켰다. 또한 불량환경 적응성을 의미하는 cy19:0/18:$1{\omega}7c$ 지방산비율과 단불포화지방산/포화지방산 비율도 B. subtilis AH18 처리구가 증가시켰다. 이에 반하여 B. licheniformis K11 처리나 두 미생물의 동시 처리는 전술한 토양미생물 지표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지방산 분석을 토양미생물상 분석에서 B. subtilis AH18의 단용처리는 미생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하여 토양미생물상을 뚜렷이 바꾸었지만, B. subtilis AH18가 B. licheniformis K11와 혼용되었을 때는 토양미생물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적었다. 따라서 이들 두 미생물을 동시에 처리할 경우 고추역병 방제와 토양미생물 생태 보존의 두 목적을 동시에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ynthesis and Photodynamic Activities of Pyrazolyl and Cyclopropyl Derivatives of Purpurin-18 Methyl Ester and Purpurin-18-N-butylimide

  • Yoon, Il;Park, Ho-Sung;Cui, Bing Cun;Kim, Jung-Hwa;Shim, Young-Key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2권1호
    • /
    • pp.169-174
    • /
    • 2011
  • The synthesis of new pyrazolyl and cyclopropyl derivatives of purpurin-18 methyl ester and purpurin-18-N-butylimide 1a, 1b, 2a, 2b and 8 is described. The new compounds were characterized by NMR, UV-vis spectroscopy and mass spectrometry. UV-vis spectra of the new compounds showed long wavelength absorption of ranges 692 - 708 nm ($\lambda_{max}$). Photodynamic effects of the chlorin derivatives 1a, 1b, 2a and 2b were investigated by WST-1 assay in A549 cells, and showed good photodynamic activities with high photocytotoxicity and low cytotoxicity in the dark. In comparison between pyrazolyl and cyclopropyl derivatives, purpurin-18 methyl ester compounds 1a and 1b showed comparable photocytotoxicity result of the cell viabilities, otherwise, pyrazolyl derivative of purpurin-18-N-butylimide 2a showed better cell viabilities than those of cyclopropyl derivative 2b. And cyclopropyl derivative of purpurin-18-N-butylimide 2b showed higher dark cytotoxicity than that of others.

메밀 속성장 유래 효소활성 우수 저영양성 균주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Oligotrophic Strains with High Enzyme Activity from Buckwheat Sokseongjang)

  • 이성영;김지연;백성열;여수환;구본성;박혜영;최혜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735-741
    • /
    • 2011
  • 메밀 속성장 유래 세포외효소(protease, amylase, cellulase, lipase, xylanase) 분비능이 우수한 균주를 분리하여 혈전 용해능, 항균 활성 및 내염성을 분석하였다. 선발된 균주 중 HJ0-3을 비롯한 13개 균주는 표준 균주 B. subtilis KACC 10114보다 우수한 protease 활성을 보였다. Amylase 분비능의 경우, HJ18-4을 포함한 10개 균주는 표준 균주 B. subtilis KACC 10114보다 우수한 효소 활성을 보였다. HJ11-19 등 5균주는 표준 균주 B. subtilis KACC 10114보다 cellulase 분비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선별된 23개 균주 중에서 HJ5-21(21.12%), HJ18-4(86.11%), HJ18-9(31.16%), HJ18-13(63.80%)가 높은 혈전 용해능을 보였다. 선별된 23개 균주 중, 5개 균주(HJ18-4, HJ18-9, HJ18-13, HJ25-6, HJ25-11)는 3개 이상의 병원성 균에 대해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고, 특히 HJ18-4는 모든 병원성 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나 표준 균주 B. subtilis KACC 10114는 항균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메밀 속성장 유래 분리 균주 중 세포외효소 활성 및 혈전 용해능, 항균 활성이 우수한 균주 HJ18-4(AB601598)는 API kit 분석결과 B. subtilis(89.6%), 16S rDNA 염기서열 분석으로는 B. subtilis(99%)로 동정되었다. HJ18-4는 표준 균주 B. subtilis KACC 10114와 마찬가지로 NaCl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생육이 억제되나 5%와 10%의 NaCl 농도에서 표준 균주 B. subtilis KACC 10114 보다 HJ18-4가 우수한 생육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HJ18-4가 염 농도 5-10%에서 우수한 생육특성을 가짐으로써 저염 및 고염 장류 제조에 있어서 starter로 사용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0.18 μm CMOS 기반 인덕터를 사용하지 않는 6~18 GHz 7-Bit 28 dB 가변 신호 감쇠기 (Inductor-less 6~18 GHz 7-Bit 28 dB Variable Attenuator Using 0.18 μm CMOS Technology)

  • 나윤식;이상훈;김재덕;이왕용;이창훈;이성호;서문교;이성철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7권1호
    • /
    • pp.60-68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6~18 GHz 대역 7-bit 28 dB 가변 신호 감쇠기의 설계 및 측정결과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기존의 switched-T 감쇠기에 칩 사이즈를 최소화하기 위해 인덕터를 사용하지 않았고, 보상용 병렬 커패시터를 추가하여 참조 상태 (reference state)와 감쇠 상태간의 위상 변화를 최소화하였다. 설계된 감쇠기는 $0.18{\mu}m$ CMOS 공정을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측정된 감쇠기의 해상도와 전체 감쇠 범위는 각각 0.22 dB 및 28 dB이다. 6~18 GHz의 동작 주파수에서 RMS 감쇠 오차는 0.26 dB 이하, 위상 오차는 $3.2^{\circ}$ 이하로 측정되었으며, 참조상태 손실은 12.4 dB 이하이다. 전체 주파수 범위와 감쇠상태에서 입출력 반사손실은 9.4 dB 이상이다. 패드를 포함하지 않은 칩 면적은 $0.11mm^2$이다.

6-18 GHz MMIC Drive and Power Amplifiers

  • Kim, Hong-Teuk;Jeon, Moon-Suk;Chung, Ki-Woong;Youngwoo Kwon
    • JSTS: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 /
    • 제2권2호
    • /
    • pp.125-131
    • /
    • 2002
  • This paper presents MMIC drive and power amplifiers covering 6-18 ㎓. For simple wideband impedance matching and less sensitivity to fabrication variation, modified distributed topologies are employed in the both amplifiers. Cascade amplifiers with a self-biasing circuit through feedback resistors are used as unit gain blocks in the drive amplifier, resulting in high gain, high stability, and compact chip size. Self impedance matching and high-pass, low-pass impedance matching networks are used in the power amplifier. In measured results, the drive amplifier showed good return losses ($S_11,{\;}S_{22}{\;}<{\;}-10.5{\;}dB$), gain flatness ($S_{21}={\;}16{\;}{\pm}0.6{\;}dB$), and $P_{1dB}{\;}>{\;}22{\;}dBm$ over 6-18 GHz. The power amplifier showed $P_{1dB}{\;}>{\;}28.8{\;}dBm$ and $P_{sat}{\;}{\approx}{\;}30.0{\;}dBm$ with good small signal characteristics ($S_{11}<-10{\;}dB,{\;}S_{22}{\;}<{\;}-6{\;}dB,{\;}and{\;}S_{21}={\;}18.5{\;}{\pm}{\;}1.25{\;}dB$) over 6-18 GHz.

레진전색제의 마모저항성에 대한 평가 (EVALUATION ON THE ABRASION RESISTANCE OF A SURFACE SEALANT)

  • 김수미;한세희;조영곤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3호
    • /
    • pp.180-190
    • /
    • 2007
  • 이 연구는 강화형 미세입자 복합레진인 Micronew에 Biscover 레진전색제를 적용한 후 칫솔마모시험을 시행하여 복합레진 표면의 조도와 현미경적 변화를 비교함으로써 레진전색제를 복합레진 표면에 재적용할 시기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리 가능한 알루미늄 판과 복합레진을 이용하여 $8\times3\times2mm$ 크기의 복합레진 시편 200개를 제작하였다. 복합레진 시편의 양쪽표면을 Sof-Lex disc로 거친 입자에서 중간 입자까지 마무리한 후 실온의 증류수에 24시간 동안 보관하였다. 시편은 disc로 마무리만 시행한 F군 (n = 10)과 마무리 후 레진전색제인 Biscover를 적용한 B군 (n = 190)으로 분류하였다. B군은 다시 칫솔질을 가하지 않은 B-IM군 (n = 10)과 칫솔질을 가한 군 (n = 180, B-1군에서 B-18 군)으로 분류하였다. 칫솔질을 가한 군은 칫솔마모검사기의 수조에 페리오 치약과 증류수를 무게 비 50 : 50으로 혼합하여 부은 다음, 홈이 파진 알루미늄 블록에 각 군의 시편을 위치시키고 칫솔을 고정장치에 부착하여 전, 후 왕복운동을 가하여 칫솔질을 가하였다. 칫솔질은 B-1 군에서 B-18군 까지 각각 900회씩 증가시켜 16,200회 까지 시행하였다 표면조도측정기를 사용하여 각 군의 복합레진 표면의 평균 표면조도 값 (Ra)을 산출한 후 통계적으로 분석하였고, 주사전자현미경하에서 각 군의 대표적인 시편 1개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F군의 Ra는 $0.898{\pm}0.145{\mu}m$, B-IM군의 Ra는 $0.289{\pm}0.142{\mu}m$를 나타냈으며, B-1 군에서 B-18 군까지의 Ra는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B-1 군에서 $0.299{\pm}0.48{\mu}m$, B-18 군에서 $0.642{\pm}0.313{\mu}m$까지 나타났다. 2. Ra 최종 군집중심은 군집 1 $(B-IM\simB-7)$에서 $0.361{\mu}m$, 군집 2 $(B-8\simB-14)$에서 $0.511{\mu}m$, 군집 3 $(B-15\simB-18)$에서 $0.624{\mu}m$를 나타내어 각 군집의 Ra 최종 군집중심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F = 49.705, p = 0.000) 3. B-IM군의 Ra 증감율은 F 군에 비해 210.72%감소되었으며, B-8 군과 B-15군의 Ra 증감율은 B-IM군에 비해 각각 35.49%와 51.35% 증가되었다. 4. FE-SEM 관찰에서 B-IM 군은 매우 평활한 복합레진 표면을 나타내었고, B-8 군은 전체적으로 평활한 복합레진 표면을 보였지만 표면에 수직으로 아주 얕은 흠집을 나타내었다. B-15 군은 복합레진 표면의 중앙에서 B-8군보다 더 넓고 불규칙한 수직의 흠집을 나타내었고, B-18군은 복합레진 표면 전체에 넓은 흠집을 나타내었다.

국산 버터 중의 유리지방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Free Fatty Acids of Domestic Butter)

  • 송근섭;권용주;양희천;이태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26-529
    • /
    • 1990
  • 국내에서 생산되고 있는 버터의 유리지방산 조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 방법을 이용하여 버터로부터 직접 유리지방산을 분리 용출시켜 농축한 후 GLC로 분석하였다. 국산 버터 2종류 제품을 분석한 결과, 버터 A의 유리지방산 조성에 있어서는 $C_{18}$ 유리지방산$(C_{18_0},\;C_{18:1},\;C_{18:2}\;및\;C_{18:3})$ 함량이 52.83%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palmitic acid가 29.39%, myristic acid가 11.85% 함유되어 있었으며, 버터 B의 경우에는 $C_{18}$ 유리지방산이 47.50%, palmitic acid가 30.52%, myristic acid가 13.76% 함유되어 있었고, 그 외의 유리지방산은 소량씩 함유되어 있었다. 한편 함량면에서는 적지만 버터의 풍미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butyric, caproic, capric 및 lauric acid의 농도를 분석한 결과, 버터 A에서는 각각 35, 10, 48, 60ppm, 버터 B에서는 각각 56, 11, 70, 126ppm이었다.

  • PDF

2.45 GHz 전자기파 조사하에서 Aluminum Borate Whisker의 성장 거동 (Growth Behavior of Aluminum Borate Whisker under 2.45 GHz Electromagnetic Irradiation)

  • 김성완;이상근;김지경;이창희;안진모;신준식;박성수;박희찬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0권10호
    • /
    • pp.998-1004
    • /
    • 2003
  • 두 종류의 출발물질인 $Al_2$(S $O_4$)$_3$+x$Na_2$B$_4$ $O_{7}$$.$10$H_2O$(몰비;x=0.1, 0.7)와 ${\gamma}$-Al$_2$ $O_3$+x$Na_2$B$_4$ $O_{7}$$.$10$H_2O$(몰비; x=0.1, 0.7) 혼합시료로부터 재래식 및 마이크로파 열처리를 행하여 휘스커형 $Al_{18}$B$_4$ $O_{33}$ 입자들을 합성하였다. 휘스커형 $Al_{18}$B$_4$ $O_{33}$ 입자들의 성장에 마이크로파, flux양 및 온도의 영향을 X-선 회절장치 및 주사형 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재래식 및 마이크로파 열처리된 두 종류의 혼합시료는 각각 온도 및 flux양이 증가할수록 휘스커형 $Al_{18}$B$_4$ $O_{33}$ 입자의 크기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한편, 재래식 열처리된 시료에 비하여 마이크로파 열처리된 시료에서 휘스커형 $Al_{18}$B$_4$ $O_{33}$ 입자들이 잘 발달되었다.자들이 잘 발달되었다.

플라즈마 전해 산화 처리한 AZ31 및 Al18B4O33w/AZ31 마그네슘 복합재료 피막의 미세구조 및 부식특성 (Microstructure and Corrosion Properties of Plasma Electrolytic Oxide Coatings on AZ31 Magnesium Matrix Composite)

  • 천진호;박용호;박익민
    • 대한금속재료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70-274
    • /
    • 2011
  • Plasma electrolytic oxidation (PEO) treatment was performed on squeeze cast AZ31 alloy and $Al_{18}B_4O_{33}w/AZ31$ composit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was employed to characterize the surface morphology and cross-section microstructure of the coating. The phase structures of the PEO coating were analyzed by X-ray diffraction (XRD). The corrosion resistance of the PEO coating was evaluated by electrochemical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l_{18}B_4O_{33}$ whisker on the surface of the composite was decomposed and $MgAl_2O_4$ was formed in the PEO coating layer of $Al_{18}B_4O_{33}w/AZ31$ composite during PEO treatment. As a result, the electrochemical corrosion potential of the PEO coated $Al_{18}B_4O_{33}w/AZ31$ composite was in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AZ31 allo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