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ta}-sitosterol(2)$

검색결과 244건 처리시간 0.025초

Phytochemical Constituents of Bitter Melon (Momordica charantia)

  • Kim, Hyun Young;Mok, So-Youn;Kwon, Su Hyeong;Lee, Dong Gu;Cho, Eun Ju;Lee, Sanghyu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9권4호
    • /
    • pp.286-289
    • /
    • 2013
  • Phytochemical constituents were isolated from bitter melon (the fruits of Momordica charantia) through open column chromatography. Their structures were identified as ${\beta}$-sitosterol (1), (23E)-$5{\beta}$,19-epoxycucurbita-6,23-diene-$3{\beta}$,25-diol (2), daucosterol (3), uracil (4), and allantoin (5) by interpretation of spectroscopic analysis including MS and $^1H$- & $^{13}C$-NMR. Among them, allantoin (5) was isolated from this plant for the first time.

Sterols and Sterol Glycosides from Cuscuta Reflexa

  • Anis, E.;Mustafa, G.;Ahmed, S.;Nisarullah, Nisarullah;Malik, A.;Afza, N.;Badar, Y.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5권3호
    • /
    • pp.124-126
    • /
    • 1999
  • A new natural product $stigmast-5-en-3-O-{\beta}-D-glucopyranoside$ tetraacetate (1) along with known compounds $stigmast-5-en-3-O-{\beta}-D-glucopyranoside$ (2), stigmast-5-en-3-yl-cetate (3) and ${\beta}-sitosterol$ (4) have been isolated from the stems of Cuscuta reflexa. Their structures were elucidated on the basis of chemical and spectroscopic evidence.

  • PDF

만병초의 세포독성 성분 (Cytotoxic Constituents of Rhododendron brachycarpum)

  • 장기욱;최상운;이강노
    • 약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44-248
    • /
    • 2005
  • From the methanol extract of Rhododendron brachycarpum four triterpenes, three phenylpropanes and a diterpene alkaloid were isolated. Their structures were identified as glutinol (1), 3$\beta$-hydroxyurs-12-ene (2), $\beta$-sitosterol (3), (E)-P-hydrox-ycinnamic acid hexadecylester (4), (-)-rhododendrol (5), (+)-rhododendrol (6), 3$\beta$-hydroxyurs-12-en-28-oic acid (7) and gray-anotoxin I (8) by spectroscopic methods. Compound 8 showed moderate cytotoxicity against five cultured human tumor cell lines with $ED_{50}$ values of $3.21\~4.05 {\mu}g/ml$. The other compounds were of marginal activity against the tested cell lines.

재조합 효모를 이용한 호박씨 추출물의 에스트로겐 활성 평가 (Evaluation of Estrogenic Activity of Pumpkin Seed Extract using Recombinant Yeast Assay)

  • 탁홍민;이복희;노숙령;김천수;정지윤;최창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24-127
    • /
    • 2009
  • 기능성 식품 소재로 주목을 받고 있는 호박종자추출물의 에스트로겐 활성을 재조합 효모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양성대조물질로 사용된 $17{\beta}-Estradiol$은 강력한 에스트로겐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농도의존적인 반응을 나타내었다. 초임계추출법에 의하여 얻어진 호박종자추출물 분말을 에탄올로 재추출하여 시험에 사용한 결과 에스트로겐 활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호박종자추출물이 건강기능식품 제조에 사용될 때 에스트로겐 활성으로 인한 부작용은 없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팝나무(Chionanthus retusus Lindl. & Paxton) 꽃으로부터 Triterpenoid 및 Sterol 화합물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riterpenoids and Sterols from the Flowers of Chionanthus retusus Lindl. & Paxton)

  • 정재우;서경화;오은지;이대영;백남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8권3호
    • /
    • pp.237-240
    • /
    • 2015
  • 이팝나무(Chionanthus retusus Lindl. & Paxton) 꽃은 실온에서 80% MeOH 수용액으로 추출하고 이 추출물을 EtOAC 분획, n-BuOH 분획, $H_2O$ 분획으로 나누었다. EtOAc 분획에 대하여 silica gel 및 ODS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 실시하여 4종의 화합물을 분리 및 정제하였다. nuclear magnetic resonance, infrared, 및 Electronic ionization mass spectrometer 등을 해석하여, ursolic acid (1), corosolic acid (2), ${\beta}$-sitosterol (3), 그리고 daucosterol (4)로 구조동정 하였다. 분리한 4종의 화합물은 이팝나무 꽃으로부터 이번 실험에서 처음 분리 되었다.

당분취의 식물화학적 성분연구 (Phytochemical Constituents of Saussurea nutans Nakai)

  • 최상진;민용득;이성옥;양민철;남정환;이규하;장기욱;이종화;이강노
    • 생약학회지
    • /
    • 제35권1호통권136호
    • /
    • pp.35-40
    • /
    • 2004
  • Seven terpenoids, trans-phytol (1), ${\alpha}-spinasterol$ (2),${\beta}-sitosterol$ (3), oleanolic acid (4), traxasterol (5), ${\alpha}-spinasterol\;3-O-{\beta}-D-glucopyranoside$ (8), ${\beta}-spinasterol\;3-O-{\beta}-D-glucopyranoside$ (9), and three glycerides, 3-O-(9Z, 12Z, 15Z-octadecatrienoyl) glycerol (6), 3-O-(9Z, 12Z-octadecadienoyl) glycerol (7), 1, 2-O-(9Z, 12Z, 15Z-dioctadecatrienoyl)-3-O-${\beta}$- D-galactopyranosyl glycerol (10) were isolated from n-hexane fraction of the aerial parts of Saussurea nutans which was used as Korean traditional medicine to σeat rheumatic arthritis and dysmenorrhea. Their structures were established by chemical and spectroscopic methods.

여러 종류 콩의 일반 및 기능성 성분 분석 (Analysis of the General and Functional Components of Various Soybeans)

  • 이솔;이윤복;김향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8호
    • /
    • pp.1255-1262
    • /
    • 2013
  • 본 연구는 검정콩 2호, 대원콩, 선흑콩, 소명콩, 신팔달콩 2호, 진품콩 2호, 태광콩, 푸른콩에 대해 이화학적 특성과 기능성 성분에 대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일반성분 분석 결과, 수분함량은 5.50~6.16% 범위였고, 조단백 함량은 40% 내외로 시료 간 큰 차이는 없었다. 조지방 함량은 푸른콩, 대원콩, 소명콩 및 검정콩 2호가 20% 내외로 비교적 높은 편이었고, 진품, 선흑, 신팔달콩 2호, 태광콩는 15% 내외로 비교적 낮은 편이었다. 회분 함량은 4.89~5.86%로 나타내어 품종 간의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탄수화물 함량은 26.20~35.45%로 분포하였다. 무기질의 함량에서 콩나물용 칼슘 함량은 소명콩이 406.36 mg/100 g으로 가장 높았고, 마그네슘 함량은 신팔달 2호가 247.79 mg/100 g으로 가장 높았다. 이에 반해 진품콩은 칼슘이 199.51 mg/100 g으로 가장 낮았고, 선흑콩은 가장 낮은 마그네슘 함량(90.03 mg/100 g)을 나타냈다. 총 이소플라본 함량은 97.54~402.00 mg/100 g으로 품종 간 차이를 보였다. 시료 중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낸 것은 콩나물용 소명콩이었고,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낸 것은 밥밑용 선흑콩이었다. 총 올리고당 함량은 5.84~9.35 mg/100 g이었다. 총 올리고당 중 sucrose의 함량이 약 50% 정도로 나타났다. Raffinose는 0.52~0.81 mg/100 g으로 함량이 나타났고, stachyose의 함량은 2.05~3.45 mg/100 g으로 나타났다. Bracassisterol, campesterol, stigmasterol, ${\beta}$-sitosterol을 분석한 것으로 ${\beta}$-sitosterol이 평균적으로 식물성 sterol의 50%를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 campesterol, stigmasterol 순서였으며 bracassisterol은 소량이 분석되었다. Phytic acid 함량은 신팔달콩 2호와 진품콩 2호가 0.86%, 1.65%로 이를 제외한 시료들은 약 2% 정도를 함유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식이섬유소 함량은 24.20~29.20% 범위로 나타났다.

좀가시 오갈피나무의 성분연구 (Phytochemical Studies on the Barks of Acanthopanax senticosus forma intermis)

  • 육창수;김선창;김창종;한덕룡
    • 약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47-153
    • /
    • 1991
  • Chemical constituents of fruits, leaves and barks of Acanthopanax senticosus forma inermis were studied. Their fruits have higher contents of crude ash, crude protein, crude fat, fructose and glucose than those of other Acanthopanax species, and contained larger amount of glutamic acid and malic acid among amino acid and organic acid, respectively. The compounds identified from their barks and leaves, were $\beta$-sitosterol and stigmasterol, sesamin, savinin, syringaresinol diglucoside, oleanolic acid, chiisanoside and polyacetytene ($C_9H_{10}O_2$, mp. 62~63).

  • PDF

Phytophthora capsici의 균사체(菌絲體)로부터 원형질체(原形質體) 형성(形成)과 재생(再生) (Protoplast Formation and Regeneration from Mycelia of Phytophthora capsici)

  • 이승연;김영진;황병국
    • 한국균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8
    • /
    • 1993
  • Phytophthora capsici에서 원형질체를 형성, 재생 시키는데 관여하는 요인에 대해 조사연구하였다. 삼투압조절제로서 0.35 M $CaCl_2$가 첨가된 Novozym 234를 6-9시간 처리하면 균사체에서 원형질체가 양호하게 나출되었다. 24시간 배양한 어린 균사체에서 가장 많이 원형질체를 나출시킬 수 있었으며, 또한 Novozym 234의 농도가 진할수록 효과적으로 원형질체가 나출되었다. 원형질체를 재생시키는데는 0.4 M mannitol과 0.1 M $CaCl_2$를 혼합한 것이 삼투압 조절제이었다. 원형질체의 재생률은 모든 영양소가 첨가된 Henninger 합성배지에서 가장 높았다. 아미노산이나 ${\beta}-sitosterol$은 원형질체의 재생에 영향을 미쳐 두 영양소가 빠지면 원형질체의 재생이 억제되었다. 특히 아미노산 중 L-aspartic acid와 L-glutamic acid는 원형질체의 재생을 촉진시켰다. 그러나, 미량원소는 원형질체의 재생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 PDF

시중 참기름에 혼입된 이종기름에 관하여 (Determination of the Adulteration of Sesame Oils Sold in Markets by Gas Chromatography)

  • 유영찬;박유신;정희선;정진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9-36
    • /
    • 1992
  • 근래 외국에서 참기름이 들어오고 있어 산지에 따른 성분조성을 밝히고자 sterolfb와 지방산류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일본, 중국, 대만 등에서 수입되고 있는 참깨에서 얻은 참기름과 우리 나라 산의 참기름의 성분조성을 비교할 때 유사하여, sterol 류중 campesterol은 1.00~1.29 mg/g이었으며, ${\beta}-sitosterol$의 camp.에 대한 비율은 2.39~2.99%이고, sesamin의 camp.에 대한 비율은 3032~5.46이었으며, 지방산은 palmitic acid 8.37~10.09%, stearic acid 4.61~5.50%, oleic acid 35.24~39.97%, linoleic acid 43.04~49.76%, linolenic acid 0.21~0.31% 그리고 arachidic acid 0.40~0.69% 이었다. 그러나 일부 일본제 상품에서 sesamin이 아주 적게 함유되어 있고 linoleic acid, linolenic acid가 많이 함유되어 있는 반면 oleic acid와 stearic acid가 적게 함유되어 있으므로 콩기름을 함유한 것으로 추정되는 상품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들이 동일 상품에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불법으로 제조된 상품으로 사료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