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ume 21 Issue 3
-
We present HST NIC3 photometry of metal-rich globular clusters Palomar 6, Liller 1 and 47 Tuc (NGC 104). We discuss the interstellar reddening law for the HST NICMOS F110W/F160W photometric system which depends on the temperature of the source. The distance moduli and interstellar reddening values for Palomar 6 and Liller 1 are estimated by comparing the magnitudes and colors of RHB stars in the clusters with those of 47 Tuc. We obtain
$(m-M)_0=14.48$ mag and E(B-V)=1.34mag for Palomar 6 and$(m-M)_0=15.17$ mag and E(B-V)=2.50 mag for Liller 1. -
구성상단 M5의 역학적 세부구조를 BV영상에 대한 점광원 측광과 타원 맞추기 표면 측광에 의한 타원률과 위치각의 변화로부터 알아보았다. 전체적으로 M5는 성단의 중심부로부터 거리에 대한 타원률과 위치각이 일정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M5의 중심으로부터 반광도 밝기(
$r_h$ )의 약 3배에 이르기 까지, 타원률은$0.005\~0.25$ 의 변화를 보이며, 위치각은$75^{\circ}\~-75^{\circ}$ 의 변화를 나타낸다. 항성 종족 차이에 의한 역학적 세부구조의 변화에 있어서 M5의$\~r_h$ 바깥 영역은 거성들의 종족 차이에 의한 효과느? 거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0.5r_h$ 안쪽 영역에서는 매우 밝은 적색거성 또는 붉은 수평계열성들에 의한 역학적 세부구조의 변화가 나타나는데, 특히 매우 밝은 적색거성들에 의한$\~0.5r_h$ 안쪽 영역에서 구상성단 M5의 역학적 세부구조의 변화는 전체 종족을 포함하는 M5의 역학적 구조에 비하여, 타원률의 경우 최대 약 0.1, 그리고 위치각의 경우 최대 약$100^{\circ}$ 에 이르는 비교적 큰 변화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
Kim, Yong-gi;Andronov, Ivan L.;Jeon, Young-Beom 191
The accuracy of CCD observations obtained at the Korean 1.8m telescope has been studied. Seventeen comparison stars in the vicinity of the cataclysmic variable BG CMi have been measured. The 'artificial' star has been used instead of the 'control' star, what made possible to increase accuracy estimates by a factor of 1.3-2.1 times for 'good' and 'cloudy' nights, respectively. The algorithm of iterative determination of accuracy and weights of few comparison stars contributing to the artificial star, has been presented. The accuracy estimates for 13-mag stars are around$0.^m002$ mag for exposure times of 30 sec. -
Choi, Cheong-Rim;Lee, Dae-Young;Kim, Yong-Gi 201
In this paper we have examined the effect of dust charge density on nonlinear ion acoustic solitary wave which propagates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external magnetic field in a dusty plasma. For the dusty charge density below a critical value, the Sagdeev potential$\Psi1(n)$ has a singular point in the region n < 1, where n is the ion number density divided by its equilibrium number density. If there exists a dust charge density over the critical value, the Sagdeev potential becomes a finite function in the region n < 1, which means that there may exist the rarefactive ion acoustic solitary wave. By expanding the Sagdeev potential in the small amplitude limit up to on4 near n=1, we find the solution of ion acoustic solitary wave. Therefore we suggest that the dust charge densi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generating the rarefactive solitary wave. -
Lim, Hyung-Chul;Bang, Hyo-Choong;Park, Kwan-Dong;Lee, Woo-Kyoung 209
Some methods have been presented to get optimal formation trajectories in the step of configuration or reconfiguration, which subject to constraints of collision avoidance and final configuration. In this study, a method for optimal formation trajectory-planning is introduced in view of fuel/time minimization using parameter optimization technique which has not been applied to optimal trajectory-planning for satellite formation flying. New constraints of nonlinear equality are derived for final configuration and constraints of nonlinear inequality are used for collision avoidance. The final configuration constraints are that three or more satellites should be placed in an equilateral polygon of the circular horizontal plane orbit. Several examples are given to get optimal trajectories based on the parameter optimization problem which subjects to constraints of collision avoidance and final configuration. They show that the introduced method for trajectory-planning is well suited to trajectory design problems of formation flying missions. -
Lee, Woo-Kyoung;Lim, Hyung-Chul;Park, Pil-Ho;Youn, Jae-Hyuk;Yim, Hong-Suh;Moon, Hong-Kyu 221
TLE로부터 SGP4/SDP4 모델을 이용하여 인공위성의 가상의 위치 정보를 얻은 후 Gauss 방법을 사용하여 인공위성의 예비궤도를 결정해보았다. 예비궤도 결정에 필요한 임의의 세 점 사이의 시간간격을 변화시켜 얻은 결과를 위성의 위치 참값과 비교하여 최소의 차이를 가지는 관측 시간 간격을 찾아보았으며, Gauss 예비궤도 결정법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실제 인공위성 관측 결과와의 비교를 위해서 한국천문연구원의 광시야 망원경을 사용하여 GPS위성(PRN 26)과 무궁화 2호의 광학관측 데이터를 얻은 후 같은 방법으로 예비궤도를 결정해 보았다. 인공위성의 정밀궤도결정을 위하여 시뮬레이션에서 얻어진 가상의 광학관측 데이터를 가지고 정밀케도결정을 수행하였으며, 관측 데이터의 오차와 관측 시간 간격에 따라 정밀궤도결정을 수행하여 원하는 정밀도를 얻기 위한 관측 시스템의 조건에 대해서 알아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