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완, 나귀수, 백석윤, 이경화(2013). 초등수학 교수 단위 사전. 경문사.
- 강향임, 최은아(2015). 비와 비율에 관한 학생의 오류와 어려움 해결을 위해 필요한 교사지식. 학교수학, 17(4), 613-632.
- 교육부(2015). 수학 6-1 교과서. 천재교육.
- 교육부(2020).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20-236호 [별책 8]. 교육부.
- 교육부(2022).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별책 8]. 교육부.
- 구나영(2024). 중등 예비교사의 삼각형의 외심 과제 설계 사례 분석: 정당화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7(3), 453-472.
- 구나영, 이경화(2020). 중학교 수학 교사의 기하 단원교육과정 자료 사용 연구: 한 교사공동체의 사례. 학교수학, 22(2), 251-275.
- 권미선, 김은경(2024). 초등학교 5~ 6학년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문제해결 차시의 문제와 발문 및 권고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8(2), 203-224.
- 권미숙, 김남균(2009).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교과서 비례 문제 해결과 비례 추론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3(2), 211-229.
- 김경선, 박영희(2007). 초등학생의 비례적 추론 지도에 관한 연구. 학교수학, 9(4), 447-466.
- 김경탁, 류성림(2013). 5, 6학년 수학교재의 문제만들기 내용 및 6학년 학생들의 문제만들기에서의 오류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7(2), 321-350.
- 김선희, 이승미(2017). 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초.중학교 수학교육 실태 분석. 수학교육 논문집, 31(2), 167-185.
- 김성여 외(2023). 수학 6-1 교과서. 아이스크림 미디어.
- 김하림, 이경화(2016). 중등 수학 예비교사의 미분계수 과제 변형. 학교수학, 18(3), 711-731.
- 남승인, 류성림, 이종학(2014).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를 위한 수학 문제해결 교수 학습법. 경문사
- 박경미 외(2015). 2015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 시안 개발 정책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 박선영, 이광호(2018). 초등 수학 교과서 비와 비율단원의 모델 비교 분석-비례에 대한 곱셈적 사고 및 비례 상황의 구조를 중심으로. 초등수학교육, 21(2), 237-260.
- 박슬아, 오영열(2017). 비와 비율 지도에 대한 교사의 PCK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1(1), 215-241.
- 박지연, 김성준(2016).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비례 추론 능력 분석-'비교'상황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1), 105-129.
- 박진형(2021). 초등 수학 교과서의 문제 만들기 과제 분석: 5, 6학년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5(4), 465-488.
- 방정숙, 이지영, 서은미(2016). 문제 해결에 관한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및 교과용도서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6(3), 583-605.
- 소경희, 최유리(2018). 학교 중심 교육 개혁 맥락에서 교사의 실천 이해: '교사 행위주체성' 개념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6(1), 91-112.
- 송동현, 박영희(2022).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비례추론 과제의 분석. 초등수학교육, 25(1), 57-79.
- 안병곤(2018). 초등 수학 교과서에서 문제해결 지도의 개선점과 개선 방향-Polya 의 문제해결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2(4), 405-425.
- 여승현, 서희주, 한선영, 김진호(2021). 초등 수학교과서의 문제해결 역량 및 과제 유형 분석: 수와 연산영역의 도전/생각 수학과 탐구 수학을 중심으로. 수학교육, 60(4), 431-449.
- 우정호, 정영옥, 박경미, 이경화, 김남희, 나귀수, 임재훈(2006). 수학교육학 연구방법론. 경문사.
- 이수은, 정영옥(2017).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백분율 이해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1(2), 309-341.
- 이종학, 류성림(2014). 수학 문제해결 전략 학습법. 경문사.
- 이지영, 서은미(2022). 비와 비율에 대한 한국과 싱가포르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비교 분석. 수학교육, 61(3), 499-519.
- 장혜원, 임미인, 유미경, 박혜민, 김주숙, 이화영.(2017). 비와 비율에 대한 초등 수학 교과서 비교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1(1), 135-160.
- 정영옥(2015). 초등학교에서 비례 추론 지도에 관한 논의. 수학교육학연구, 25(1), 21-58.
- 정영옥(2016). 초등학교에서 백분율 지도에 관한 논의.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1), 71-104.
- 정영옥, 정유경(2016). 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의 비례 추론 능력 분석. 학교수학, 18(4), 819-838.
- Choppin, J. (2011). Learned adaptations: Teachers' understanding and use of curriculum resources.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14, 331-353.
- Dole, S. (2000). Promoting percent as a proportion in eighth-grade mathematic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0(7), 380-389.
- Gonzalez-Martin, A. S., Nardi, E., & Biza, I. (2018). From resource to document: Scaffolding content and organising student learning in teachers' documentation work on the teaching of serie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98, 231-252.
- Polya, G. (2014). How to solve it: A new aspect of mathematical method (Vol. 34). Princeton university press.
- Reys, R. E., Lindquist, M. M., Lamdin, D. V., & Smith, N. L. (2012). 초등교사를 위한 수학과 교수법. 박성선, 김민경, 방정숙, 권점례 역. 경문사. (영어 원작은 2009년 출판)
- Shield, M., & Dole, S. (2013). Assessing the potential of mathematics textbooks to promote deep learning.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82, 183-199.
- Yin, R. K. (2009).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 (4th edition). 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