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선분, 직선, 반직선에 대한 초등학교 3학년의 이해 분석

Analysis of third graders' understanding of line segments, straight lines, and rays

  • 정순원 (동탄목동초등학교)
  • Jung, Soonwon (Dongtan Mokdong Elementary School)
  • 투고 : 2024.09.12
  • 심사 : 2024.10.29
  • 발행 : 2024.10.31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선분, 직선, 반직선에 대한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이해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20명의 학생들에게 선분, 직선, 반직선이 각각 어떠한 선인지 설명하도록 요구하는 문항을 제시하고 학생들의 응답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의 곧음, 즉 직선성에 대해 적절히 표현한 비율은 선분이 46.5%, 직선이 24.5%, 반직선이 17.7%로 나타났다. 둘째, 선분의 유한성(끝이 있음)에 대해서는 전체 학생의 74%가 적절하게 표현한 반면, 직선과 반직선의 무한성(끝없이 이어짐)에 대해서는 각각 33.5%와 43.8%의 학생들이 적절한 표현을 사용하였다. 셋째, '직선은 두 점을 넘는 선', '직선은 두 점이 모두 안에 있다'와 같이 개념 이미지가 선의 표상에 국한되는 경우는 직선과 반직선에서 각각 약 32%를 차지하였다. 이 외에도 한 선을 다른 선을 이용하여 모호하게 표현하거나 오류가 있는 유형, 개념 이미지가 가로 방향의 선에 국한되는 유형, 선을 줄로 인식하는 유형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선분, 직선, 반직선의 교수학습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mprehension of third-grade students regarding the concepts of line segments, straight lines, and rays. To accomplish this, 220 students were asked to describe what each of these lines is, and the responses were subsequently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ly, the proportion of students who accurately described the straightness of a line was 46.5% for line segments, 24.5% for straight lines, and 17.7% for rays. Secondly, 74% of all students correctly described the finiteness of line segments, whereas 33.5% and 43.8% of students accurately described the concept of infinity for straight lines and rays, respectively. Thirdly, concept images that were limited to representations of lines, such as 'straight line is a line that passes through two points' or 'straight line is a line that contains both points,' accounted for 32% of responses regarding both straight lines and rays. Additionally, other observed concept images included ambiguous representations of one line in relation to another, representations that were limited to horizontal lines, and perceptions of lines as strings. In light of these findings, I discuss the implications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line segments, straight lines, and rays.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진아(2009). 초등수학 도형영역에 제시된 정의에 관한 학생의 인식.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교육부(2018). 초등학교 수학 3-1. 천재교육.
  3. 교육부(2023. 06. 08.). AI 디지털교과서 추진방안[보도자료]. Retrieved from https://eiec.kdi.re.kr/policy/materialView.do?num=239513&pg=&pp=20&topic=O
  4. 김상미(2018).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각의 개념과 도입 방법 분석. 초등수학교육, 21(2), 209-221.
  5. 김상미(2023). 선분, 직선, 반직선의 학습 내용과 학습계열 분석. 수학교육 논문집, 37(4), 635-652.
  6. 김지영(2020). 2009 개정 및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 교과서의 정의 비교.분석: 초등학교 도형 관련 주제 중심으로. 진주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도종훈(2008). 직선의 대수적 표현과 직선성(直線性)으로서의 기울기. 수학교육 논문집, 22(3), 337-347.
  8. 도종훈(2011). 교수요목기 초급중학교 수학교과서의 내용 구성과 전개 방식 분석-'직선'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한국수학사학회지, 24(3), 95-108.
  9. 박성선 외 16인(2022). 초등학교 수학 3-1. 와이비엠.
  10. 백대현(2010).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용어 사용과 표현의 적절성 고찰. 학교수학, 12(1), 61-77.
  11. 신항균 외 13인(2022). 초등학교 수학 3-1. 비상교육.
  12. 이규희(2021). '점'과 '선'에 관한 수학적 분석과 교과서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4(1), 39-57.
  13. 장혜원 외 13인(2022). 초등학교 수학 3-1. 미래엔.
  14. 정순원(2023). 직선, 선분, 반직선에 대한 두 관점과 점의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한대희 외 16인(2022). 초등학교 수학 3-1. 천재교과서.
  16. 홍진곤(2008). 무한 개념의 이해에 관하여. 수학교육학연구, 18(4), 469-482.
  17. Altieri, M. B., Balka, D. S., Day, R., Gonsalves, P. D., Grace, E. C., Krulik, S., Malloy, C. E., Molix-Bailey, R. J., Moseley, L. G., & Mowry, B. (2008). California mathematics: Concepts, skills, and problem solving 4. McGraw-Hill. Retrieved from https://fliphtml5.com/otndx/flrz/California-Mathematics-Grade-4/
  18. Fischbein, E. (2001). Tacit models and infinity.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48(2), 309-329.
  19. Fischbein, E., Tirosh, D., & Hess, P. (1979). The intuition of infinity.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10, 3-40.
  20. Hannula, M. S., Pehkonen, E., Maijala, H., & Soro, R. (2006). Levels of students' understanding on infinity. Teaching Mathematics and Computer Science, 4(2), 317-337.
  21. Harcourt, H. M. (2015). Go math! Florida grade 3. Houghton Mifflin Harcourt. Retrieved from https://fliphtml5.com/xhxtd/mftn/Florida_Go_Math_Grade_3/
  22. Heath, T. L. (1956). The thirteen books of Euclid's Elements (Vol. 1). Dover Publications.
  23. Jirotkova, D. (1998). Pojem nekonecno v geometrickych predstavach studentu primarni pedagogiky PedF UK. Pokroky Matematiky, Fyziky a Astronomie, 43(4), 326-335.
  24. Kratka, M., Eisenmann, P., & Cihlar, J. (2022). Four conceptions of infinity. International Journal of Mathematical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53(10), 2661-2685.
  25. LeTourneau, C. D., Posamentier, A. S., & Ford, E. R. (2009). Progress in mathematics: Grade 4. William H. Sadlier. Retrieved from https://fliphtml5.com/gzgvn/xhfi/Progress_in_Mathematics_Grade_4/
  26. Monaghan, J. (2001). Young peoples' ideas of infinity.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48, 239-257.
  27. Moravcova, V., & Hromadova, J. (2020). Straight line or line segment? Students' concepts and their thought processes. Teaching Mathematics and Computer Science, 18(4), 327-336.
  28. Singer, F. M., & Voica, C. (2008). Between perception and intuition: Learning about infinity. The 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 27(3), 188-205.
  29. Tall, D. (2001). Natural and formal infinitie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48(2), 199-238.
  30. Tall, D., & Vinner, S. (1981). Concept image and concept definition in mathematic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limits and continuity.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12(2), 151-169.
  31. Youkap, P. T. (2021). Student comprehension of the concept of a geometrical figure: The case of straight lines and parallel line. Journal of Mathematics Education, 6(2), 149-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