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Qualitative Study of School Counselors'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in Student Mental Health Promotion Enhancement Project Plan-Support Project for School Visits by Mental Health Experts

학교상담교사의 정신건강전문가 학교방문지원사업 참여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 Hyangsook Kang (Department of Child Welfare, Namseoul University) ;
  • Hyungui Baik (Department of Addiction Rehabilitation and Social Welfare, Eulji University) ;
  • Juyong Lee (Counseling Team, Wholesome Day Counseling and Research Center) ;
  • Yunjae Shin (Suicide Prevention Action Forum LIFE)
  • 강향숙 (남서울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 백형의 (을지대학교 중독재활복지학과) ;
  • 이주용 (온전한 하루 상담교육연구소 ) ;
  • 신윤재 (자살행동포럼라이프 )
  • Received : 2024.07.30
  • Accepted : 2024.08.12
  • Published : 2024.08.31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school counselors' experiences with the Support Project for School Visits by Mental Health Experts. Methods: Focus Group Interview were conducted with 13 school counselor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Support Project for School Visits by Mental Health Experts. Reseult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ject were identified as "Changing school and parental perceptions and attitudes", "Strengthening the capacity of school counselors", "Improving school mental health response capabilities". The facilitating factors and barriers to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ere identified. And the following improvements were suggested. Conclusion: Based on this, suggestions were made for differentiating the mental health professional school visitation support project and the role of mental health professionals in revitalizing the project.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건강전문가 학교방문지원 사업에 대한 학교 상담교사의 경험을 살펴보는 것이다. 방법: 학교 상담교사 13명을 대상으로 정신건강전문가 학교방문지원 사업 경험 탐색을 위해 FGI를 실시하였다. 결과: 사업의 효과는 '학교 및 학부모의 인식과 태도 변화', '학교 상담사의 역량 강화', '학교 정신건강 대응 역량 향상'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이러한 사업효과의 촉진 요인과 장애 요인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연구참여자들이 제안한 사업 개선 사항이 정리되었다. 결론: 이를 바탕으로 정신건강전문가 학교방문지원 사업의 차별화 방안과 사업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정신건강센터. (2022). 2022년 정신건강실태 조사 보고서-소아 청소년. 보건복지부 국립정신건강센터 
  2. 강은정. (2007). 한국 아동 정신건강 현황과 정책 과제. 보건복지포럼, 128, 60-72. 
  3. 김진아, 하경희, 홍현주, 김희영. (2015). 2013 학생 정신건강 지역협력 모델 구축지원 사업. 소아청소년정신의학, 26(2), 94-103. 
  4. 박진우, 허민숙. (2021).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 현황. 지원제도 및 개선방향. 서울:국회입법조사처.
  5. 신경림. (2004). 질적연구방법론. 서울:이화여자대 학교 출판부.
  6. 심서연, 박시하, 이미현, 이명수. (2015). 학교기반의 정신건강증진 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연구:사회성증진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정신건강연구집, 6, 41-47. 
  7. 오인수, 노은희. (2018). 2017 정신건강전문가 학교방문지원사업 효과성 평가연구. 경기:한림대학교 자살과 학생정신건강연구소.
  8. 오인수, 임이랑. (2017). 정신건강 전문가 학교방문 지원 사업 효과성 평가 연구. 경기:한림대학교 자살과 학생정신건강연구소.
  9. 이영선, 김래선, 조은희, 이현숙 (2013).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인식연구-중고생 이용자의 FGI를 중심으로-. 청소년상담연구, 21(1), 43-66.  https://doi.org/10.35151/KYCI.2013.21.1.003
  10. 정민정, 한성심. (2008).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의 정책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 한국아동복지학회, 6(3), 71-98. 
  11. 진영란, 강미경, 이윤정. (2018). 학생정신건강사업 현황 및 관련 교육 요구도: 초중고 보건교사와 상담교사 대상. 한국학교보건학회지, 31(2), 117-126.  https://doi.org/10.15434/KSSH.2018.31.2.117
  12. 하경희, 김진아, 김우식, 홍현주, 김선연.(2016), 학생 정신건강 지역협력모델이 학교 정신건강 인식에 미치는 영향. 소아청소년정신의학, 27(2). 100-108. 
  13. 학생 정신건강 증진 강화 사업 계획 - 정신건강 전문가 학교방문지원사업. (2024). Retrieved from https://www.smhrc.kr/web/index 
  14. 홍현주, 하경희, 김진아, 김우식, 오은지.(2016). 한국에서의 학교기반 정신건강사업의 효과적 요인에 대한 연구; 학생 정신건강지역협력모델 구축-지원사업을 중심으로.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44(2), 140-166. 
  15. Braun, V. & Clarke. V.(2006). Using thematic analysis in psychology. Qualitive Research in Psychology, 3(2), 77-101.  https://doi.org/10.1191/1478088706qp063oa
  16. Creswell, J. W.(2015),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 3rd. Edition,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역, 질적연구방법론-다섯가지 접근, 서울: 학지사.
  17. Green, J. G., McLaughlin, K. A., Alegria, M., Costello, E. J., Gruber, M. J., Hoagwood, K., and Kessler, R. C.(2013). School Mental Health Resources and Adolescent Mental Health Service Use.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52(5), 501-510.  https://doi.org/10.1016/j.jaac.2013.03.002
  18. Kleiber, P. B. (2003). Focus groups: More than a method of qualitative inquiry. In deMarrais, K. B & Lapan, S. D. Eds. Foundations for research: Methods of inquiry in education and the social sciences (pp.87-102). Mahwah, NW: Erlbaum. 
  19. Morgan, D. L. (1996). Focus groups. Annual review of sociology, 22(1), 129-152.  https://doi.org/10.1146/annurev.soc.22.1.129
  20. Nabors, L. A. & Reynolds, M. W.(2000). Program Evaluation Activities: Outcomes Related to Treatment for Adolescents Receiving School-Based Mental Health Services. Children's Services: Social Policy, Research and Practice, 3(3), 175-189. https://doi.org/10.1207/S15326918CS0303_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