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한국의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 결정 모형 탐색: 통합적 순환 모형 개발

Exploring the Policy Decision Model for Curriculum Autonomy in Korea: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Circular Model

  • 이상수 (잠실고등학교)
  • Sang-soo Lee (Jamsil High School)
  • 투고 : 2024.07.15
  • 심사 : 2024.08.15
  • 발행 : 2024.08.31

초록

이 연구는 한국의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이 결정되고 학교 현장에 적용되는 교육과정 자율화 현상을 설명하는 모형으로서 '통합적 순환모형'을 제외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첫째, 교육과정 자율화의 의의와 한국의 교육과정 자율화에 대한 특징을 살펴보았다. 둘째, 정책결정 모형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토대로 대안적 교육과정 정책결정 모형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셋째, 통합적 순환 모형에 대해 탐색하였다. 여기서는 모형 정립의 조건 탐색과 모형의 기본 방향에 대해 제시하고 통합적 순환 모형을 구안하였다. 통합적 순환 모형은 거시 모형과 미시 모형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이들을 통합한 모형으로 제시하였다. 논의 결과 우리나라 상황에 적합한 교육과정 정책 모형의 필요, 국가에서 부여한 자율성으로 인한 교육현장의 국가에 대한 자율 요청 행위의 촉진, 외적 개입의 배제와 내적 통제가 확립된 자율성의 개념화가 필요하였다. 이들 논의를 통해 모형 적용의 일반화, 교육과정 질 관리, 검증을 통한 보완 등의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an 'integrated circular model' as a model to explain the phenomenon of curriculum autonomy applied to the school field after Korea's curriculum autonomy policy is determined. To this end, first, the significance of curriculum autonomy and the characteristics of curriculum autonomy in Korea were examined. Second, the necessity of an alternative curriculum policy-making model was discussed based on the critical analysis of the policy-making model. Third, the integrated circular model was explored. Here, the condition search for model establishment and the basic direction of the model were presented, and an integrated circular model was devised. The integrated circular model was divided into a macro model and a micro model, examined, and presented as an integrated model. As a result of the discussion, it was necessary to conceptualize the autonomy in which the self-requesting behavior of the curriculum to the state was promoted due to the autonomy granted by the state, and the exclusion and internal control of the curriculum were established. Through these discussions, suggestions such as generalization of model application, curriculum quality management, and supplementation through verification were made.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과학기술부(2009). 학교단위 책임경영을 위한 학교 자율화 추진방안(시안).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 강현석(2018). 미래교육을 대비한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 역량 제고 방안: 세종: 교육부.
  3. 국가교육회의(2021). 국민참여 국가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사회적 협의 백서. 대통령직속 국가교육회의.
  4. 김대현(2020). 2020년도 국가 교육과정 포럼(3차) 자료집. 세종.부산: 교육부.부산광역시교육청.부산대학교.
  5. 김선영.소경희(2014). 교사들이 기대하는 '교육과정 자율권' 탐색. 아시아교육연구, 15(4), 55-79.
  6. 김지원(2021).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대응하는 '사회통합형 정책결정모형' 의 탐색. 한국 정책학회보, 제30호, 127-157.
  7. 김현구(2013). 한국 행정학의 한국화론: 보편성과 특수성의 조화. 파주: 법문사
  8. 남정걸(2015).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서울: 교육과학사
  9. 박종구(2019). 의사 결정과 문제해결. 서울: 박영사.
  10. 박창언(2017). 현대교육과정학. 서울: 학지사.
  11. 박창언(2021). 교육과정행정. 서울: 동문사.
  12. 박희경(2015). 교과 교육과정 교육 내용 구성 방안의 쟁점과 개발 과정의 개선 과제 분석. 박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3. 유기홍(2020).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왜 필요한가?. 2020년 국정감사 정책자료집.
  14. 이승미(2009). 총론에 나타난 자율성 규정의 변화에 관한 연구. 교육과정연구, 27(2), 83-112.
  15. 정영근.이근호.조규판.박지만.강미란(2010).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 운영실태 및 지원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6. 조난심(2019). 국가교육위원회 설립 이후 국가 수준 교육과정체제 탐색. 2019 국가교육과정포럼 미래교육포럼 운영 보고서. 265-282.
  17. 허경철.이근님.박순경.나귀수.이광우이미숙.손민호.이희영(2003). 국가수준 교육과정 개정 방식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RRC 2003-1
  18. Anderson, J. E.(1979). Public policy-making. New York: Holt, Reinhart and Winston. 박홍식(역), 공공정책론, 서울: 대명사, 1983.
  19. Goodson, F. Е. & Morgan, G. A.(1976). "Evaluation of theory" In Melvin H. Marx & Felix E. Goodson (eds.), Theories in Contemporary Psychology, 2nd ed., 286-299.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
  20. Marx, M. H.(1976). "Fomal Theory" In Melvin H. Marx & Felix E. Goodson (eds.), Theories in Contemporary Psychology, 2nd ed., 234-260.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
  21. Simon, H. A. (1945). Administrative Behavior. New York: Macmillan Inc. 이시언 역, 관리행동론, 부산: 금정,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