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디지털 기술이 농촌 교육을 가능하게 하는 딜레마와 그 최적화 경로-저장성 원청현을 예로 들어보자

The Dilemma and Its Optimization Paths for Digital Technology to Enable Rural Education-Example: Chengcheng, Zhejiang Province

  • 임연 (여수대학교) ;
  • 이준문 (여수대학교) ;
  • 장홍비 (여수대학교) ;
  • 황리나 (여수대학교)
  • LING YAN (Yeosu University) ;
  • LI JUNWEN (Yeosu University) ;
  • ZHANG HONGFEI (Yeosu University) ;
  • HUANG LINA (Yeosu University)
  • 투고 : 2024.07.15
  • 심사 : 2024.08.15
  • 발행 : 2024.08.31

초록

디지털 기술은 농촌 교육의 모습을 점차 변화시키고 전례 없는 발전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 기술이 농촌 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저장성 원청현을 사례로 디지털 자원의 사용 현황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초점은 농촌 교육에서 디지털 기술의 활용이 교육 균형 발전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기술적 발전이 직면하고 있는 주요 도전과 문제점을 밝히는 데 있다. 연구 후 원청현의 농촌 교육은 비효율적인 디지털 자원 활용, 취약한 디지털 기술 활용 능력, 불충분한 디지털 기술 혁신의 탐색과 같은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음이 밝혀졌다. 특히, 디지털 교육 자원의 중복 구매와 비효율적인 사용, 교사들의 디지털 기술에 대한 낮은 적응력 등이 주된 문제로 드러났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들이 제시되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농촌 교육의 디지털화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최적화 경로를 제시하며, 다른 지역에서도 적용 가능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igital technology is progressively transforming rural education and offering unprecedented opportunities for advancemen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digital technology on rural education, focusing on the usage of digital resources in Wencheng County, Zhejiang Province, as a case study.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how the application of digital technology contributes to balanced educational development in rural areas and to identify the key challenges and issues that accompany such technological advancements. The study revealed several significant issues in Wencheng County's rural education system, including inefficient use of digital resources, inadequate digital skills among educators, and insufficient exploration of digital innovation. In particular, the redundant purchasing of digital educational resources and the inefficient utilization of these resources, coupled with the low adaptability of teachers to digital technologies, emerged as major concerns. The study proposes strategies to address these issues. Ultimately, it presents an optimized pathway for successfully implementing digitalization in rural education and offers policy insights that could be applied in other regions to achieve similar improvem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도레이, 양심(2023). 시골 교육의 고품질 발전을 위한 디지털화 풍경 [J]. 서남 민족대학교 학보(인문사회과학판), 44(10): 197-205.
  2. 등량, 등칭칭(2024). 시골 교사 디지털 역량 향상을 위한 탐색과 사고[J]. 교육과 관리, 2024(07):26-30.
  3. 무숙, 주우기, 주덕청(2024). 디지털 변환 시각에서 시골 교육 서비스 체계 구조 연구[J]. 중국 교육 정보화, 30(02): 26-34.
  4. 부위동, 루춘화(2023). 교육 디지털화 전환 중 시골 교사의 불안의 형태, 원인 및 해소 방향[J]. 전자교육연구, 44(10): 32-39.
  5. 왕천평, 이진(2023). 시골 교육의 디지털화 전환 가치 지향과 실천 방향[J]. 중경 고등교육연구, 2023, 11(04): 14-22.
  6. 이건진, 이동명(2024). 디지털 기술이 도시와 시골 교육 통합 발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디지털 기술이 시골 교육의 고품질 발전을 촉진시킴[J]. 전자교육연구, 45(03): 39-45.
  7. 이수운, 손도(2024). 디지털화가 시골 교육의 고품질 발전을 촉진하는 방식: 가치와 현실적 도전, 그리고 추진 방안[J]. 중국 전자교육, 2024(01): 77-84.
  8. 장가실(2023). 디지털 경제가 도시와 시골 통합 발전을 위한 힘 연구[D]. 길림 대학교, 2023.
  9. 허건강, 곽종(2023). 디지털 배경 아래 "클라우드 학교" 건설의 가치 지향과 실천 방안一디지털 기술이 시골 교육의 고품질 발전을 촉진하는 연구[J]. 전자교육연구, 44(12): 48-54+72.
  10. 허소영, 이경(2023). 디지털 시대 시골 교육 통제의 현대화 실천적 어려움과 최적화 전략[J]. 중주학보, 2023(11): 93-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