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장무이묘 출토 명문전(銘文塼)의 고고학적 검토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을 중심으로

An Archaeological Review of the Inscribed Bricks Excavated from the Tomb of Jang Mui: A Focus on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 이나경 (국립중앙박물관 고고역사부)
  • Lee Nakyung (Archaeology and History Division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 투고 : 2024.03.27
  • 심사 : 2024.05.02
  • 발행 : 2024.06.20

초록

황해도 봉산군에 위치한 장무이묘에서는 피장자의 이름과 직책, 축조 연대를 추정할 수 있는 명문전이 출토되어 조사 초부터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전돌에 찍힌 '대방태수장무이(帶方太守張撫夷)'와 '무(戊)', '신(申)'과 같은 명문은 한강 지역에서 황해도 봉산군 일대로 대방군 치지가 옮겨 왔다는 이동설의 근거가 되었으며, 장무이묘는 지탑리 토성과 함께 조사 초기부터 대방군의 유적으로 소개되었다. 장무이묘 출토 명문전은 여러 지면을 통해 사진 및 탁본 자료가 공개되어 명문의 해석을 중심으로 축조 연대, 피장자의 성격에 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져 왔으나, 도쿄대학교 공학부 건축학과 소장품을 제외하고 실물 자료가 거의 공개되지 않아 명문전의 종류나 명문 내용에 대한 일관된 연구 성과를 기대하기 어려웠다. 이외에 장무이묘의 구조와 축조 재료 등을 재검토한 선행 연구 이후 장무이묘의 축조 시기를 대방군 멸망 이후인 348년이라고 보는 견해가 주를 이루게 되었지만, 출토 유물의 전부를 차지하는 전돌에 대한 충분한 검토는 아직까지 부족하다. 장무이묘를 포함한 대부분의 전실묘 출토 전돌은 명문전과 문양전만 수습되었으며, 이 중에서도 측면에 찍힌 명문과 문양만 자료화되어 전돌 자체에 대한 연구는 극히 미진한 상태이다. 이에 이 글에서는 장무이묘 출토 전돌 중에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 11종 61점을 중심으로 명문 내용을 재정리하고 형태를 중심으로 분류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성형과 건조, 소성에 이르는 제작기법을 검토하여 건축 부재로서의 장무이묘 전돌을 살펴보았다. 이 결과를 2~4세기에 걸친 낙랑군·대방군, 그리고 낙랑군·대방군 축출 이후 전실묘 전돌과 비교하는 구체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장무이묘 전돌에 대한 관찰 결과, 기본적인 제작기술은 낙랑 전돌 제작기술을 계승하고 있으나 크기나 석회 사용, 명문전의 수량 등에서는 4세기 중반 경 축조된 전실묘 혹은 전석혼축묘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요소가 확인되어 장무이묘 축조시기를 348년으로 본 기존의 견해가 타당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무이묘는 전실묘라는 기존의 묘제를 고수하고 있지만 천장은 석재를 사용하여 마무리하였고, 낙랑·대방군의 제작 기법을 이은 전돌을 사용하였지만 그 위를 석회로 덮어버리는 등 기존 낙랑·대방군의 전실묘 전통과 새로운 요소가 혼재되어 있다. 이러한 모습은 대방군 축출과 고구려의 진출이라는 당시 정치적 상황과도 맞물려 다양한 해석을 낳고 있다. 무덤의 구조나 재료, 무덤의 축조 위치와 같은 고고학적 자료로 보면 고구려와의 관련성이 높다. 그러나 명문전의 형태나 명문의 내용 등은 오히려 3~4세기대 강소성과 절강성 지역의 전실묘와 유사한 점이 많다. 향후 석회의 사용이 고구려의 영향인지 아니면 대방군 지역의 전통이 이어진 것인지에 대한 검토, 그리고 동시기 석개천장묘와의 비교 검토 등과 같은 추가 연구가 이어진다면 보다 선명하게 '장무이(張撫夷)'를 그려볼 수 있을 것이다.

The Tomb of Jang Mui located in Bongsan-gun, Hwanghae-do Province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since its first investigation due to the inscribed bricks found there that have allowed the guessing of the name and official title of its occupant and construction date. Inscriptions on these bricks, such as the "Prefect of Daebang Commandery Jang Mui" and the "Mu" (戊, the fifth sign of the Chinese calendar), and "Sin" (申, the ninth sign of the Chinese zodiac), have become the basis for believing the location of the government office of Daebang Commandery to be in Bongsangun, Hwanghae-do Province rather than somewhere in the Hangang River region. From the early days of its investigation, the tomb was suggested as historic remains of the Daebang Commandery along with the Earthen Fortress in Jitap-ri. Inscribed bricks excavated from the Tomb of Jang Mui were featured in several books and articles in the form of photographs and rubbings, leading to a vast body of studies on its construction period and the characteristics of its occupant that drew upon interpretations of the inscriptions. However, the inscribed bricks themselves were not publicly available outside those held in the collection of the University of Tokyo, making it difficult to expect consistent research findings on the types of inscribed bricks and their contents. Following previous studies re-examining the structure of the tomb and the materials used for its construction, most scholars dated the Tomb of Jang Mui to 348, a period after the collapse of Daebang Commandery.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of adequate examination of the bricks, which account for the majority of the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tomb. Among the bricks excavated from most brick chamber tombs, including the Tomb of Jang Mui, only those with inscriptions or designs have been collected. Moreover, among these, only those with inscriptions or designs on the stretcher faces have been documented. Accordingly, the bricks themselves have been notably understudied. This paper intends to reorganize the contents of the inscriptions on eleven types (out of sixty-one pieces) of bricks in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which make up the majority of the bricks excavated from the Tomb of Jang Mui. It also classified them according to their shapes. Furthermore, it examined the bricks from the Tomb of Jang Mui as architectural materials by focusing on their production techniques, including their forming, drying, and firing. Taking a more specific approach, it then compared the results to other bricks from the second century through the fourth century: those from the brick chamber tombs of the Nangnang and Daebang Commanderies and those from the brick chamber tombs built after Nangnang and Daebang Commanderies were ousted. The examination of bricks from the Tomb of Jang Mui has revealed that these bricks were basically produced using the brick manufacturing techniques of Nangnang, but they incorporated new elements found in bricks from brick chamber tombs or brick-and-stone chamber tombs constructed around the mid-fourth century in terms of their size, the use of lime, and the number of inscribed bricks. This supports the prevailing view that the date of the construction of the Tomb of Jang Mui is 348. The Tomb of Jang Mui sustained the existing brick chamber tomb burial tradition, but its ceiling was finished with stone. It demonstrates a blending of the brick chamber tomb practice of the Nangnang and Daebang Commanderies by using bricks produced based on related techniques, but with new elements such as the addition of a lime layer to the bricks. This fusion reflects the political circumstances of its time, such as the expulsion of the Daebang Commandery and the advance of the Goguryeo Kingdom, leading to diverse interpretations. Given archaeological evidence such as the structure, materials, and location of the tomb, the Tomb of Jang Mui appears to be highly related to the Goguryeo Kingdom. However, the forms of the inscribed bricks and the contents of the inscriptions share similarities with brick chamber tombs constructed during the third and fourth centuries in the Jiangsu and Zhejiang regions in China. Further studies on whether the use of lime was an influence from Goguryeo or a continuation of the Daebang tradition and a comparative examination with contemporaneous stone ceiling tombs will provide a more refined understanding of the Tomb of Jang Mui.

키워드

참고문헌

  1. 공석구, 1988, 「平安.黃海道地方出土 紀年銘塼에 대한 硏究」, 「震檀學報」 65, 진단학회
  2. 국립문화재연구원, 2005, 「일본 도쿄국립박물관 소장 오구라 컬렉션 한국문화재」, 해외소재문화재조사서 제12책
  3. 국외소재문화재재단, 2014, 「일본 와세다대학 아이즈야이치기념박물관 소장 한국문화재」, 국외한국문화재 5
  4. 국외소재문화재재단, 2020, 「일본 데즈카야마대학 부속박물관 소장 한국문화재」, 국외한국문화재 17
  5. 김근식.안정준.정화승, 2021 「樂浪.帶方郡 지역에서 출토된 年度가 기재된 銘文塼」, 「목간과 명문」 27, 한국목간학회
  6. 김미경, 1996, 「高句麗의 樂浪.帶方地域 進出과 그 支配形態」, 「學林」 17
  7. 김병준, 2023, 「동아시아에서 바라 본 장무이묘」, 「고고학으로 본 권력과 공간」, 제47회 한국고고학전국대회 발표자료집
  8. 金鍾太, 1977, 「樂浪時代의 銘文考-瓦塼.封泥.印章을 중심으로」, 「考古美術」 135
  9. 안정준, 2016, 「高句麗의 樂浪.帶方郡 故地 지배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안정준, 2017, 「4~5세기 樂浪.帶方郡 故地의 中國地名 官號 출현 배경」, 「韓國古代史硏究」 86, 한국고대사학회
  11. 안정준, 2023, 「장무이묘 출토 명문전 내용의 재검토」, 「고고학으로 본 권력과 공간」, 제47회 한국고고학전국대회 발표자료집
  12. 오영찬, 2018, 「식민지 박물관의 역사 만들기」, 「역사와 현실」 110
  13. 오영찬, 2022, 「4세기 서북한지역 명문자료의 다중적 메시지」, 「韓國古代史硏究」 106, 한국고대사학회
  14. 윤한나, 2014, 「百濟의 塼과 塼室墓에 대한 一考察」, 충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이병호, 2021, 「공주 송산리 고분군 출토 명문전의 재검토」, 「한국고대사연구」 104
  16. 李榮勳.金吉植.吳永贊.黃銀順, 2001, 「鳳山 養洞里 塼室墓」, 국립중앙박물관 일제강점기자료조사보고 2
  17. 이은진, 2023, 「유금와당박물관 소장 樂浪.帶方塼」, 「낙랑.대방 기와.전돌」, 유금와당박물관
  18. 林起煥, 1992, 「낙랑 및 중국계 금석문」, 「譯註韓國古代金石文(1)」,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 장병진, 2023, 「장무이묘 이전 서북한 지역의 명문-낙랑.대방군 지역 출토 기년명전을 중심으로-」, 「고고학으로 본 권력과 공간」, 제47회 한국고고학전국대회 발표자료집
  20. 정인성, 2008. 「장무이묘 출토유물」, 「일본에 있는 낙랑유물」, 학연문화사
  21. 정인성, 2010, 「대방태수 張撫夷墓의 재검토」, 「韓國上古史學報」 69, 한국상고사학회
  22. 정인성, 2016, 「백제 토기.와전 문화의 발달과 낙랑.대방」, 「백제의 성장과 낙랑.대방」, 백제학연구총서 쟁점백제사 9
  23. 정인성, 2021, 「한국고고학자가 다시 쓰는 「조선고적조사보고」-1911년과 1912년의 조사내용-」, (사)한국국외문화재연구원 학술연구총서 02
  24. 정인성, 2023, 「일제강점기 장무이묘의 발견과 조사」, 「고고학으로 본 권력과 공간」, 제47회 한국고고학전국대회 발표자료집
  25. 鄭昌熙, 2009, 「2~4세기 黃海道地域 古墳 分布 定型의 變化와 意味 」, 「嶺南考古學」 48
  26. 정치영, 2009, 「漢城期 百濟 塼 初考」, 「백제연구」 49,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7. 정치영, 2014, 「백제 한성기 와전문화와 낙랑」, 「낙랑고고학개론」, 중앙문화재연구원 학술총서 18
  28. 정치영, 2021, 「백제 한성기 瓦塼文化의 성립」, 「한국기와학보」 3
  29. 한인덕, 2003, 「로암리 돌천장전돌무덤에 대하여」, 「조선고고연구」 2003-3, 사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
  30. 黎旭主 編, 2020, 「中國磚銘全集」, 上海書画出版社
  31. 高久健二, 2005, 「樂浪 塼室墓의 硏究-塼室墓의 分類.編年 및 諸問題의 考察-」, 「낙랑의 고고학」, 제33회 한국상고사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자료집
  32. 高正龍, 1998, 「京都に将来された楽浪塼について」, 「京都市埋蔵文化財研究所 研究紀要」 4, 京都市
  33. 高正龍, 2007, 「樂浪塼室墓の硏究: 2005-2006年度 科學硏究費補助金(B)硏究成果報告書」
  34. 谷井濟一, 1914, 「黃海道鳳山郡二於ケル漢種族ノ遺蹟」, 「朝鮮古蹟調査略報告」, 朝鮮總督府
  35. 谷豊信, 1999, 「中国古代紀年銘」, 「東京国立博物館紀要」 34, 東京国立博物館
  36. 關野貞, 1914, 「朝鮮における樂浪帶方時代の遺蹟」, 「人類學雜誌」 29-10, 人類學會
  37. 榧本龜次郞.野守健, 1933, 「樂浪帶方郡時代紀年銘塼集錄」, 「昭和七年度古蹟調査報告」 第1冊 埼玉大學敎養學部 埋蔵文化財研究所
  38. 小川敬吉, 1927a, 「樂浪の塼(上)」, 「朝鮮と建築」 第6輯 第9号, 朝鮮建築会
  39. 小川敬吉, 1927b, 「樂浪の塼(下)」, 「朝鮮と建築」 第6輯 第10号, 朝鮮建築会
  40. 李銀眞.高正龍.朴辰一, 2007, 「樂浪.帶方塼の集成と法量的檢討」, 「朝鮮古代硏究」 8
  41. 朝鮮總督府, 1915, 「朝鮮古蹟圖譜 一」
  42. 朝鮮總督府, 1925, 「樂浪郡時代ノ遺蹟-下冊 圖版」
  43. 朝鮮總督府, 1933, 「昭和七年度古蹟調査報告 第一冊-永和九年在銘塼出土古墳調査報告」
  44. 竹谷俊夫, 2008, 「張撫夷墓塼の觀察所見」, 「王權と武器と信仰」, 同成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