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교육부 민주시민교육과. (2018.11). 민주시민교육 활성화를 위한 종합계획. https://www.korea.kr/briefing/policyBriefingView.do?newsId=156308661#policyBriefing (검색일: 2023.01.12.).
- 교육부 민주시민교육과-197. (2021.1.18.). 민주시민교육 시행계획. https://buseo.sen.go.kr > file > ND_fileDownload (검색일: 2023.01.10.).
- 김정인, 황은희, 정희연& 윤세병(2017). 민주화운동 관련 역사교과서 분석 및 서술방향 연구.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https://www.kdemo.or.kr/dn?type=book&src=file_20221227091453.pdf&filename (검색일: 2023.01.02.).
- 박상훈. (2020.12). 더 많은 입법이 우리 국회의 미래가 될 수 있을까. 국회미래연구원 연구보고서. https://www.nafi.re.kr/new/research.do?mode=download&articleNo=2505&attachNo=2830 (검색일: 2023.01.12.).
- 선거연수원. (2017.11). 민주시민이 미래다. 서울: 중앙선거관리위원회.
- 옥일남, 장원순, 이정우, 송선영, 이윤주&정은식. (2017). 학교 교육 과정을 통한 민주시민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교육부.
- 장근영. (201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아동.청소년의 민주시민역량 국제비교 및 지원체계개발 연구 총괄 보고서. https://lib.nypi.re.kr/pdfs/2011/35.pdf (검색일: 2023.01.12.).
- 장은주, 심성보&박재영. (2016). 민주주의 시민교육 활성화 방안. 경상남도 교육연구정보원. 2016-56.
- 허수미, 박상영, 임보아, 윤영채&김현우. (2022). 민주주의 관련 사회과 교과서 분석 및 서술 방향 연구.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 Biesta, Gert J. J. 박은주 역. (2022). 학습을 넘어: 인간의 미래를 위한 민주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 김육훈. (2019).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현대사 집필 지침 탐색. 역사와 교육 통권18호.
- 김정곤. (2020). 민주시민교육 제도화에 대한 심층적 이해: 제도화 추진주체의 관점에서. 연구방법논총 제5권제3호.
- 김형렬, 유가현&정진리. (2020), 중.고등학교 도덕과 교과서에 나타난 민주시민상의 변천: 제3차 교육 과정부터 2015개정 교육 과정까지. 도덕윤리과 교육 통권69호.
- 김혜미. (2014.7). 교육과 민주시민 기르기. 새가정.
- 김혜진. (2020).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교과서 비교연구: 2015 개정 도덕과와 사회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도덕윤리과교육 제67호.
- 김혜진&이슬기. (2022). 2015 개정 중학교 교육 과정의 민주시민교육 내용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2권9호.
- 문우진. (2011). 다당제에서의 당파 표결과 정당 충성도: 17대 및 18대 전반 국회분석. 의정연구 17집2호.
- 박구용. (2022). 민주시민교육으로서 세계시민교육.사회와 철학 제44집.
- 박상영. (2020).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정치학 : 보수.진보 진영의 학교 민주시민교육 정책 분석(2003-2020). 시민교육연구 제52권3호.
- 신두철. (2009).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체계와 제도화에 대한 고찰. 인문사회과학연구 통권25호.
- 신옥주. (2023.겨울). 포괄적 차별금지법의 제정을 위하여. 젠더 리뷰.
- 장은주. (2019). 한국의 민주시민교육: 사회적 합의의 방향과 제도화의 과제. 시민과 세계 통권 34호.
- 전진영. (2022). 제20대 국회 의원안의 입법성공 요인: 가결과 대안반영의 정치. 한국정당학회보 제21권제4호.
- 정경호. (2020). Public Opinion and Senate Treaty Ratification. 분석과 대안 제4권제2호.
- 정하윤. (2014).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제도화 과정과 쟁점. 미래정치연구 제4권제1호.
- 조상식. (2019). '보이텔스바흐(Beutelsbach) 협약'과 그 쟁점에 대한 교육 이론적 검토. 교육철학연구 제41권제3호.
- 조주현. (2013). 도덕과 교육에서 민주시민성의 위상과 과제. 도덕윤리과교육 제40호.
- 조찬래. (2012). 민주시민교육. 한국민주시민교육학회보 13권2호.
- 홍윤기. (2017). 한국에서 민주시민교육 기반구축의 가능성과 그 제약. 한국학논집 제67집.
- 서준원. (2002). 민주시민 교육 현황과 문제점. 제3차 한국민주시민교육학회.밝은정치시민연합 공동국제학술회의 자료집.
- 심성은. (2017). 프랑스 학교 민주시민교육. 한국민주시민교육학회 세미나 자료집.
- 전태국 (2018.12). 민주시민교육의 사회학.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 허영식. (2017). 독일 학교 민주시민교육. 한국민주시민교육학회 세미나 자료집.
- 한병규. (2022년11월22일). 민주적이지 않은 민주시민교육이 문제. 한국교육신문. https://www.hangyo.com/news/article.html?no=97664#google_vignette(검색일: 2023.01.12.).
- 닷 페이스. (2017년03월17일). "차별금지법 왜 지금 다시 이야기해야 하나" https://brunch.co.kr/@dotface/2 (검색일: 2023.01.12.).
- Dalton, Russell J. (2008). The Good Citizen: How a Younger Generation Is Reshaping American Politics. Washington D.C. : CQ Press.
- Faulks. Keith. (2000). Citizenship.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 Kerr, David. (2000). Citizenship Education : An International Comparison: Qualifications & Curriculum Authority.
- Westheimer, Joel. (2015). What kind of citizen? Educating Our Children for the Common Good. New York and London: Teachers College Press.
- Agbaria, Ayman. (2016). Human Rights Education in Israel: Four Types of Good Citizenship. Journal of Social Science Education 15(2).
- Banks. James A. (2008). Diversity, Group Identity, and Citizenship Education in a Global Age. Educational Researcher 37(3).
- Cohen, E. F. (2010). Jus tempus in the magna carta: the sovereignty of time in modern politics and Citizenship. Political Science & Politics 43(3).
- Hoskins, Bryony, Michaela Saisana&Cynthia M. H. Villalba. (2015). Civic Competence of Youth in Europe: Measuring Cross National Variation Through the Creation of a Composite Indicator. Social Indicators Research 123(2)
- Quinton, Mayne&Geissel, Brigitte. (2018). Don't Good Democracies Need "Good" Citizens? Citizen Dispositions and the Study of Democratic Quality. Politics and Governance 6(1).
- Sant, Edda. (2019). Democratic Education: A Theoretical Review(2006-2017).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89(5).
- EACEA(Education, Audiovisual and Culture Executive Agency). (2017). Citizenship Education at School in Europe. https://op.europa.eu/en/publication-detail/-/publication/6b50c5b0-d651-11e7-a506-01aa75ed71a1/language-en (검색일: 2023.01.05.).
- Schulz(eds), Wolfram. (2016). Becoming Citizens in a Changing World. IEA International Civic and Citizenship Education Study. 2016 International Report. https://link.springer.com/book/10.1007/978-3-319-73963-2. (검색일 2023.12.27.).
- Wolfram Schulz(et al.,) (2022). "Education for Citizenship in Times of Global Challenge." IEA International Civic and Citizenship Education Study 2022 International Report. https://research.acer.edu.au/civics/37/. (검색일 2023.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