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parate compulsory subjects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6초

중. 고등학교에 있어서 독서교육 (Reading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 변우열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14권
    • /
    • pp.181-215
    • /
    • 1987
  • Reading education is very important in order to promote the refinement, cultivate the emotion and complete the character to the secondary school students. This thesis deals with the establishment of reading education as a formal course in secondary schools, responsibility of teaching and problems related to recommended reading lists. Reading education must separate from the national language education because of literature centered education in reading education. If reading education was separated from the national language education, students can a n.0, pproach to the other cultural boundary besides other own and exchange their information and ideas. So, reading education must be included to the elective subjects in a independent course or become a compulsory subject in secondary school curriculum. The teacher of reading education must become the teacher librarian who has a firm faith and an intellectual accomplishment. But, teacher-librarian has much disadvantages such as the problems of promotion, the division of qualification between elementary school and secondary school, and a short-term training courses for teacher-librarian. Hence, theses problems music be solved in national administrative level. Recommended reading lists must be provided to the student in order to prevent confusion of the sense of value, to estimate their own reading ability by themselves and to establish life long reading plan. Therefore, both Korean Library Association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should re-examine and develop recommended reading lists. Finally, problems of a juvenile delinquency in the post industrial society have to be solved through reading education. To solve the juvenile delinquency problems, adolescents should cultivate their moral character and possesses abundant knowledge through reading education. Then, young adults will grow as sound citizen in the society.

  • PDF

공통과학 교사양성 교육과정 운영과 임용의 실태 및 과학교육계열 교수들이 제안한 개선 방안 (Current Status of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and Recruitment of General Science Teachers and Ways to Improve Them as Suggested by Professors from the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 양찬호;곽영순;한재영;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345-358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전국 사범대학의 공통과학 교사양성 교육과정 운영 및 공통과학 교사의 임용 실태를 조사하였다. 또한, 과학교육계열 교수들의 공통과학 교사양성 교육과정 및 교사임용의 개선방안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대부분의 학과에서는 공통과학 복수 전공이 필수가 아니었고, 학과별로 공통과학 교육과정 이수인원 비율에 큰 차이가 있었다. 심화과학 전공 교사자격증만 취득할 때 다른 전공의 과학 과목의 이수가 필수인 학과는 없었으며, 일부 학과만이 과학사와 융합교육, 과학창의성과 융합교육, 통합과학교육의 실제 등과 같은 통합과학적 성격의 과목을 개설하고 있었다. 공통과학 교사양성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교수들은 공통과학 복수전공 의무화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통합과학 관련 과목을 선택과목으로 개설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다. 공통과학 전공 교사임용과 관련하여 교수들은 공통과학 교사자격증의 필요성은 공감하지만, 공통과학 전공의 임용이 따로 필요하지는 않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화전공 교사자격증만 취득하는 경우에는 다른 전공의 과학 과목을 이수할 필요가 있다는 인식이 높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공통과학 교사양성 교육과정 및 교사임용의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민주시민교육 관련 법안의 입법 실패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causing legislative failure of bills related to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 정상호
    • 분석과 대안
    • /
    • 제8권1호
    • /
    • pp.137-167
    • /
    • 2024
  • 본 연구는 시민교육법안이 무려 13차례나 걸쳐 입법에 실패하게 된 원인을 해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발견한 사실은 첫째, 쟁점 법안에 대한 원내 소수파의 입법 전략 부재이다. 시민교육법안은 이념적 충돌 여지가 큰 쟁점 법안이었는데, 19대 이후 특정 정당의 원내 소수파만으로 추진되었다. 민주당의 발의 의원들은 이 법안이 당론으로 채택될 수 있도록 당내 영향력을 발휘하거나, 총선과 대선의 주요 공약으로 발전시키는 등의 적극적 입법 전략을 구사하지 않았다. 둘째, 불리한 여론 지형 속에서 법안 서명 의원들은 물론이고 시민단체의 일관된 소극적 대응이다. 입법 과정에서는 좌파이념의 확산에 대한 우려, 예산과 조직의 낭비, 교육의 중립성·공정성 침해 등 반대 의견이 압도하였다. 또한, 시민교육의 담당 주체이어야 할 현장 교사와 시민단체의 방관적 자세 또한 입법 실패의 배경으로 작용하였다. 셋째, 이해관계자 사이에서 최근의 이론적 연구 및 세계의 정책 흐름 등에 대한 신뢰할만한 정보의 공유가 부족하여 여야 합의를 통한 입법화에 실패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