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통계청(2023). 「장래인구추계」, 주요 연령 계층별 추계인구
- 김혜균(2018). 초고령 노인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대학원.
- 이현주(2020). 사회적 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독거 여부의 조절효과: 남녀노인 비교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 백지은(2020). 남성 노인과 여성 노인의 사회적 지지 경험이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5(3), 425-445.
- 최영(2008). 독거노인의 경제수준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24(4), 103-123.
- 이인정(2007). 남녀노인의 우울 삶의 만족에 대한 심리사회적 요인들의 영향의 차이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36, 161-182.
- Cohen, S., & Syme, S. L. (1985). Issues in the study and application of social support. In S.Cohen & S. L. Syme (Eds.), Social support and health (pp.3-22). Orlando, FL: Academic Press.
- Antonucci, T.(2001). Social relations. In J. E. Birren and K. W. Schaie (Eds.), Handbook of the psychology of aging (5th ed" pp.427-453). San Diego, CA: Academic Press.
- Shaw, B. A., and Krause, N.(2001). Exploring race variations in aging and personal control. Joitmals of (Gerontology: Social Sciences, 56B, SI 19-S124. https://doi.org/10.1093/geronb/56.2.S119
- Gonyea, J.(2010). The policy challenges of a larger and more diverse oldest old population (in press). In Hudson, R. B. (Ed.) The New Politics of Old Age Policy, 3rd edition. M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 함응진(2019).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초고령 노인들의 이용 경험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 이홍무(2008). 일본 후기고령자 의료보험의 혼란과 시사점. 손해보험, 476, 27-46.
- 이인정(2009). 초고령 노인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들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1(1), 359-382. https://doi.org/10.20970/KASW.2009.61.1.014
- 최흥권(2010). 老人의 정신건강이 삶의 質에 미치는 影響에 관한 硏究: 고령자 집단과 초고령자 집단을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조광근(2015). 독거노인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련성.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대학원.
- 김현순.김병석(2008). 자살생각과 그 관련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모형 검증. 한국 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2), 201-219.
- 전영자(2015). 노인의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24(2), 219-236.
- Lazarus, R. S. (1998). The stress and coping paradigm. Fifty years of the research and theory of RS Lazarus: An analysis of historical and perennial Issues, 182-220.
- 윤가현 (1991). 노년기의 고독감: 자녀와의 갈등에 대한 대처행동. 한국노년학, 12, 179-189.
- Folkman, S. (2013). Stress: Appraisal and coping. In Encyclopedia of behavioral medicine (pp. 1913-1915). Springer New York.
- 이신숙, 이경주 (2002). 노인의 일상적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심리적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2, 1-20.
- Whitehead, B. R., & Bergeman, C. S. (2011). Coping with daily stress: Differential role of spiritual experience on daily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67(4), 456-459. https://doi.org/10.1093/geronb/gbr136
- 백경숙.권용신(2005). 노인이 지각한 스트레스 대처 방법과 심리적 복지감의 관계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 한국노인복지학회지, 28, 379-402.
- 윤현희(1994). 남녀노인의 스트레스, 대처행동, 심리적 적응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윤정선(2014). 노인의 생활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 Menagham, E. G.(1983). Marriage stress and family transactions: A panel analysi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5(2), 371-385. https://doi.org/10.2307/351515
- Lazarus & Folkman(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 권유림(2007). 역부양이 여성노인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식,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동덕여자대학교 여성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혜정(2013). 조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 Lazarus, R. S. (1976). Patterns of adjustment, New York, McGraw-Hill.
- 전해숙(2010). 초고령 노인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안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47, 51-70.
- 윤여희(2015). 생활스트레스, 대처양식이 노년기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형기(2019). 독거노인에게 제공되는 돌봄기본서비스 질과 삶의 만족도 간 관계. 박사학위논문 한세대학교 대학원.
- 장주효(2011). 노인의 생활영역만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황춘익(2017). 노인의 삶의 만족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조영주(2015). 노인의 영성과 노년초월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Michalos, A.(1985). Multiple discrepancies theory. Social Indicators Research, 16(4), 347-416. https://doi.org/10.1007/BF00333288
- Andrews, F., and Withey, S.(1976). Social Indicators of Well-Being: Americans'Perceptions of Life Quality, New York: Plenum Press.
- Campbell, A., Converse, P., Rodgers, W.(1976).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Perceptions, Evaluations, and Satisfactions,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 Diener, E., Biswas-Diener, R.(2002). Will Money Increase Subjective Well-Being?. Social Indicators Research 57, 119-169 https://doi.org/10.1023/A:1014411319119
- 송기영(2018). 장애노인의 노후준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 박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 김원희(2019).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성격특성, 가족지지, 심리적 안녕감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동방문화대학원 대학교.
- Helgeson(2003).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Quality of Life Research, 12(1), 25-31. https://doi.org/10.1023/A:1023509117524
- 이신숙(2002). 문화적 규범, 가족 지지, 공적 지지와 기능손상 노인의 심리적 복지 간의 관계 연구.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 윤가현(1991). 노년기의 고독감: IV. 자녀와의 갈등에 대한 대처행동, 한국노년학, 11(2), 179-190.
- 이신숙.이경주(2002). 노인의 일상적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심리적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2(1), 1-20.
- 김미령(2012). 노인의 스트레스와 성인 자녀의 지지가 행복감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32, 1-27.
- 이수애.이경미(2002). 농촌지역 노인의 우울증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2(1), 209-226.
- 이인정(2007). 남녀노인의 우울, 삶의 만족에 대한 심리사회적 요인들의 영향의 차이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36(여름), 159-180.
- 김미혜.이금룡.정순둘(2000). 노년기 우울증 원인에 대한 경로분석. 한국노년학, 20(3), 211-226.
- 국민연금연구원(2015). 제5차 국민노후보장패널 User's Guide.
- Hayes, A. F. (2013).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Guilford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