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권중돈(2019).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이론과 실천. 서울: 학지사.
- 정옥분(2019). 발달심리학: 전생애 인간발달. 서울: 학지사.
- 서인균, 조혜정(2013). 노인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간의 관계에 대한 우울의 매개효과: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 비교연구. 노인복지연구, 61, 135-162.
- 남기민, 이정은(2012). 노인의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성공적 노화의 관계. 노인복지연구, 57, 85-112.
- 박정남(2013). 노인의 고독감, 생활스트레스,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사회활동 참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S. L. Dunn(2005). Hopelessness as a Response to Physical Illness. Journal of Scholarship, 37(2), 148-154. https://doi.org/10.1111/j.1547-5069.2005.00027.x
- P. Scocco, P. Marietta, M., Tonietto, M.,M. D. Buono, & D. D. Leo(2000). The role of psychopathology and suicidal intention in predicting risk: A longitudinal study. Psychopathology, 33(3), 143-150. https://doi.org/10.1159/000029136
- 강병진, 차지원(2010).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와 자긍심, 무력감, 고독감, 여가만족, 생활만족, 행복감 간의 인과관계. 한국운동재활학회지, 6(4), 39-51.
- 이경재, 남궁선(2011). 여가활동 참여 만족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서울지역 노인 여가시설 이용자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53, 61-82.
- 김명숙, 고종욱(2013). 노인 생활만족도 결정요인에 대한 통합적 접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6), 246-259. https://doi.org/10.5392/JKCA.2013.13.06.246
- 허정미(2021). 노인 여가활동의 참여 만족과 참여몰입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한신학대학원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신조황, 조현민(2011).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가 웰니스와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0(3), 877-887.
- 이신숙, 이경주(2002). 노인의 일상적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심리적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2(1). 1-20.
- R. S. Lazarus, & S. Folkman(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 이호선(2015). 노인상담. 서울: 학지사.
- N. M. Krause(1991). Stressful event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elderly men and women. Journal of Gerontology, 46(2), 84-92. https://doi.org/10.1093/geronj/46.2.S84
- 송영순(2018). 기혼 중년여성의 여가활동 참여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J. Murphy(1974). Concept of leisure: Philosophical implic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 서헌(2017). 여가의 개념에 대한 탐색적 고찰: 주요 개념의 제한점을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29(8), 367-377.
- A. S. Brooker, & I. Hyman(2010). Time use: A report of the Canadian Index of Wellbeing(CIW). Technical Report 1.0. Waterloo, ON: Canadian Index of. Wellbeing and University of Waterloo.
- 김선화(2011). 여가활동 참여 노인의 여가인지, 여가기술, 여가몰입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B. L. Neugarten, , R. J. Havinghurst, & S. S. Tobin(1961).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16, 134-143. https://doi.org/10.1093/geronj/16.2.134
- 박순미(2010). 노인의 생활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도시노인과 농촌노인의 특성비교. 노인복지연구, 47, 137-160.
- 임성숙(2012). 노인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 및 생활 만족도와의 관계.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L. George(1979). The happiness syndrome. The Gerontologist, 19(2), 210-231. https://doi.org/10.1093/geront/19.2.210
- 박혜영(2017). 시니어세대의 여가활동프로그램 참여가 생활만족도 및 정서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레저학회 학술발표, 332-339.
- 조민구(2015). 여가정책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여가활동 영향 요인의 실증적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봉진, 홍상욱(2012). 노인의 여가활동이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동북아관광연구, 8(2), 139-156.
- 배정이, 김희현, 양미경, 김해진, 김정희(2013). 한국노인의 스트레스와 관리방안. Crisisonomy, 9(3), 175-194.
- 김중환(2019). 농촌 노인의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여가활동 참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임영삼, 김재현, 이상덕(2013). 노년기 스포츠 여가활동 참여와 스트레스 및 주관적 삶의 질과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2(4), 37-50.
- 심남수(2010). 노인의 여가활동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와 사회적 지지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동현(2020). 노인의 여가활동에 대한 혈관상태와 스트레스 비교연구.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10(3), 53-61.
- 김정희(2010). 스트레스 다스리기. 서울: 학지사.
- 장명숙, 박경숙(2012).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보건사회연구, 32(2), 232-266. https://doi.org/10.15709/HSWR.2012.32.2.232
- 김동배, 정규형, 이은진(2012). 노인의 과거 노후 준비정도와 준비유형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58, 325-352.
- 최장원(2018). 노년기 경제적 스트레스가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발적 봉사활동 동기, 연령의 상호작용효과 검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1), 117-131. https://doi.org/10.5392/JKCA.2018.18.01.117
- 김은영(2017). 노인의 차이연령과 노화불안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향숙, 신원우(2016). 노인의 여가활동 유형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문화산업연구, 16(3), 157-165.
- 이규은, 엄영희, 한정희(2012). 노인의 건강 상태, 여가만족 및 외로움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지, 19(4), 482-492.
- 강종필(2018). 노인 여가의 제약요인과 동기요인이 노인 여가활동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최창현, 곽미정(2015). 노인의 여가만족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 관하여. GRI연구논총, 17(1), 133-155.
- 전규미(2018). 호텔기업 종사원의 여가만족, 인지적 및 행위적 몰입, 생활만족간의 관계 연구. 관광레저연구, 30(11), 401-419.
- 김수봉(2010). 노인의 생활만족도 개선을 위한 사회정책의 방향. 노인복지연구, 47(1), 95-111.
- 문보영, 이경희, 문혜영(2013). 노인의 여가활동, 여가만족도 및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관광레저연구, 25(5), 273-287.
- 신봉희(2020). 노인의 여가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을 매개변수로. 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이삼식, 최효진(2019). 고령자의 노인기준연령에 대한 인식이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30(2), 181-198.
- 최정자(2016). 노인의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회적 지지의 조절 및 매개효과 검증 중심으로. 성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강인(1989). 중년기 가족스트레스와 가족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미애(2021). 노인의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 및 스트레스 대처방안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주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P. A. Witt, & F. D. Eills(1987). The leisure diagnostic battery remediation guide. North Texas State University, Leisure diagnostic battery project.
- 원형중(1989). 여가활동 기능척도(국문판)의 번역개발을 위한 연구.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6, 101-106.
- 김영호(1995). 한국형 레저 진단도구의 모형개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T. K. Scanlan(1993). Social psychological aspects of competition for male youngth sports participation of enjoyment. Journal of Sport Psychology, 8, 25-35.
- 정용각(1997). 스포츠 참가자의 스포츠 참여동기, 각성추구, 정서적 요인이 스포츠 몰입행동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최성재(1986). 노인생활만족도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논총, 49, 233-258.
- A. F. Hayes(2013).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New York, NY: The Guilford Press.
- 허원무(2013). 매개효과 분석 방법의 최근 트렌드: 부트스트래핑을 이용한 단순, 다중, 이중 매개효과 분석방법. 한국비즈니스리뷰, 6(3), 43-59.
- 이영신(2021). 노인의 고독감이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 회복탄력성과 사회활동참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목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은정(2018). 독거노인의 고독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검증. 사회과학연구, 44(1), 171-198. https://doi.org/10.15820/KHJSS.2018.44.1.007
- 이현숙(2020). 독거노인의 고독감 대처과정에 관한 연구. 백석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허준수(2011). 노인들의 고독감에 대한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53, 101-131.
- 김봉금(2019). 스트레스가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와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6), 281-291. https://doi.org/10.5392/JKCA.2019.19.06.281
- H. Tinsley, S. Colbs, T. Teaff, & N. Kaufman(1987). The relationship of age, gender, health and economic status to the psychological benefits older persons report from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Leisure Sciences, 9, 53-65. https://doi.org/10.1080/01490408709512145
- 김세진, 강은나(2017). 도시지역 거주 노인의 여가시설 이용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여가시설 이용 노인을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7(3), 110-138. https://doi.org/10.15709/HSWR.2017.37.3.110
- 최정민(2014). 노인의 소득과 자살생각 간 관계: 신체건강, 우울감, 사회자본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방건(20230. 노인의 역활동이 생활만족도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관광활동의 조절효과. 신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박영준(2010). 농촌지역 독거노인의 스트레스, 여가만족 및 심리적 복지감과의 인과관계 연구. 농촌사회, 20(2), 233-263.
- 배점모(2015). 사회적 지지의 효과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자치행정학보, 29(4), 49-70. https://doi.org/10.18398/KJLGAS.2015.29.4.49
- 오세숙, 김종순, 전상우(2016). 여가활동 유형별 노인여가정책연구동향. 여가학연구, 14(1), 63-82. https://doi.org/10.22879/SLOS.2016.14.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