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김대은(2009). 사회체육시설의 접근성에 따른 공 간적 형평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 김대은, 김장환, 신홍범(2010). 대구광역시 공공체육시설의 공간적 분포 특성과 시설 접근성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15(5), 33-48.
- 김석란(2020).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한 문화시설의 입지모형, 박사학위 논문. 경북대학교 대학원.
- 김성희, 김용진(2017). 공공체육시설 수요특성 및 공간적접근성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7), 283-293. https://doi.org/10.5392/JKCA.2017.17.07.283
- 김현중, 이성우, 조덕호(2011). 농촌지역 공공보건시설의 공간적 형평성 및 입지 효율성 분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경제, 34(4), 1-24.
- 노승철, 김미옥(2021). GIS 공간분석을 활용한 공공체육시설 수요 분석 연구, 국민체육센터를 중심으로. Sports Science 2021, 39권, 99-108.
- 류윤지(2019). 공공스포츠시설 접근성의 공간적 형평성 평가 및 효과 검증 연구 : 서울시 공간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민영기(2017). 생활체육시설 이용권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 논문집, 2007-11 7(2), 73-78.
- 박정환(2018). 2SFCA 기반 응급의료서비스의 공간적 접근성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손정렬, 오수경(2007). GIS 공간분석기법을 이용한 서울시 노인주간 보호시설의 접근성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3(5), 576-594.
- 성은미, 민소영 (2015), 읍면동 통합의 전달체계 변화 전략에 따른 서비스 접근성의 탐색.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지 vol. 0 No. 53
- 엄상근 외(2008). 입지배분모형을 이용한 수도권 녹지총량 산정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국토연구, 56, 61-78.
- 이상일(2012). 공간적 상호작용론의 본질과 연구영역 : 인문지리학에 대한 통섭적 접근. 한국지리학회지, 1(1), 137-151.
- 임은선, 차미숙, 이영주(2012). 공생발전을 위한 협력적 입지모형 개발과 활용방안연구. 국토연구원. 26.
- 조대헌 외(2010). 농촌지역 공공 보건서비스에 대한 공간적 접근성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6(2), 137-153.
- 장근영 (2016), 고용접근성 지수를 이용한 주택가격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 황경수(2007). 도시녹지의 분포특성에 기초한 녹지총량산정에 관한 연구 : 수도권지역을 사례로. 국토연구원, 국가정책연구포털(NKIS)
- 홍현미라(2008). 사회복지시설의 공간접근성에 관한 실증연구 -거리측정과 시간거리측정에 대한 비교분석-. 사회복지연구, 37, 35-36
- 허우긍(2004). 교통지리정보시스템(GIS-T)에 기반한 접근성 분석.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지리학논총, 43, 1-31.
- Farina, A. (2000). Principles and Methods in Landscape Ecology. Kluwer Academic Publishers. Dordrecht. Netherlands.
- Geertman, S.C.M.,Van Eck, J.R.R. (1995). "GIS and models of accessibility potential: an application in planning". Int. J. Geogr. Inf. Sci. 9 : 67-80. https://doi.org/10.1080/02693799508902025
- Guagliardo, M.F., (2004), Spatial accessibility of primary care: concepts, methods, and challenges,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Geographics, 3(3).
- Higgs, G. (2004). A literature review of the use of GIS-based measures of access to health care services, Health Services & Outcomes Research Methodology 5, 119-139. https://doi.org/10.1007/s10742-005-4304-7
- Karusisi, N., Thomas, F., Meline, J., & Chaix, B. (2013). Spatial accessibility to specific sport facilities and corresponding sport practice: the RECORD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Nutriton and Physical Activity, 10(1), 48.
- Kwan, M.P. and Weber, J., (2003). Individual accessibility revisited: Implications for geographical analysis in the twenty-first century, Geographycal Analysis, 35(4).
- Luo, W. Wang, F., & Douglass, C. (2004). Temporal chnages of access to primary health care in Illinois (1990-2000) and policy implication. Jounal of Medical Systems, 28(3), 287-299 https://doi.org/10.1023/B:JOMS.0000032845.90730.84
- Panter, J. R., & Jones, A. P. (2008). Associations between physical activity, perceptions of the neighbourhood environment and access to facilities in an English city. Social science & medicine, 67(11) 1917-1923. https://doi.org/10.1016/j.socscimed.2008.09.001
- Stewart, J.Q., Warntz, W. (1968). Physics of population distribution. J. Regional Sci. 1 : pp99-123. https://doi.org/10.1111/j.1467-9787.1958.tb01366.x
- Wicker, P., Hallmann, K., & Breuer, C. (2013). Analyzing the impact of sport in frastructure on sport participation using geocoded data: Evidence from multi - level models. Sport Management Review, 16(1), 54-67. https://doi.org/10.1016/j.smr.2012.05.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