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Technology Anxiety and Innovativeness on Consumer's Continuance Intention toward Kiosks: Focused on Z Generation

고객들의 기술 우려감과 혁신성이 키오스크 지속 사용 의지에 미치는 영향: Z세대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23.02.15
  • Accepted : 2023.03.27
  • Published : 2023.06.30

Abstract

With the spread of COVID-19 and the preference for untact services, kiosks, which is one of self-service technologies, have been expanding into various service fields. Kiosks have some advantages of reducing labor costs and increasing work efficiency, but they often cause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using kiosks. In this vein, this study examines the key antecedents affecting consumer's continuance intention toward kiosks by integrating technology anxiety and innovativeness into the expanded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 The research model was verified for the MZ generation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MZ generation about Kiosks. This is because if the MZ generation feels technical anxiety or difficualty about using kiosks, customers of other generations can expect to feel even more uncomfortabl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echnical anxiety has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consumer's continuance intention toward kiosks. However, among the characteristic factors of customers, innovativeness did not significantly consumer's continuance intention toward kiosks. Based on our findings, it is expected that service companie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forming consumer's continuance intention toward kiosks and pursuit several management activities for successfully adopting kiosks.

최근 코로나 19 확산과 언택드 서비스의 선호로 셀프 서비스 기술을 활용한 키오스크가 다양한 서비스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키오스크는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고,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고객들은 키오스크 사용 과정에서 불편함이나 어려움을 느끼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확장된 기대 일치 모형에 기술 우려감과 혁신성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키오스크 지속 사용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IT에 익숙한 젊은 층들의 키오스크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Z 세대를 대상으로 연구 모형을 검증하였다. Z 세대들이 키오스크 사용에 대해 기술적 어려움이나 불편한 점을 느끼고 있다면, 다른 세대들의 고객들도 큰 불편함을 느낄 것으로 예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 분석 결과, 기술 우려감은 지속 사용 의지 형성에 부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고객의 특성 요인 가운데 혁신성은 지속 사용 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서비스 업체들은 키오스크에 대한 고객들의 지속 사용 의지 형성 과정을 이해하고, 성공적으로 키오스크를 도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연구는 2022년도 영남대학교 학술연구조성비에 의한 것임

References

  1. 고유미, 이인재 (2022). 로봇카페의 지각된 품질과 지각된 위험이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소비자 혁신성을 조절변수로. 호텔경영학연구, 31(5), 75-93. 
  2. 권선희 (2022). 디지털 정보격차에 대한 취약계층의 계층별 분석. 지식경영연구, 23(4), 1-19.  https://doi.org/10.15813/KMR.2022.23.4.001
  3. 김동범, 남궁영 (2020). 패스트 푸드점 키오스크 이용 소비자의 이용행동 연구: 혁신확산이론을 적용. 호텔경영학연구, 29(4), 63-82. 
  4. 김민정, 이수범 (2017). 배달 어플리케이션 이용자의 혁신성이 지각특성, 만족 및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확장된 기술수용모델 (ETAM)을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31(1), 199-214. 
  5. 김병수 (2012). 모바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 환경에서 지속사용 의도의 선행 요인에 관한 연구: 신뢰와 프라이버시 우려의 역할. 지식경영연구, 13(4), 83-100.  https://doi.org/10.15813/KMR.2012.13.4.006
  6. 김성태 (2021). 모바일 관광애플리케이션 이용자의 개인혁신성과 지속이용의도 간의 관계에서 신뢰, 몰입, 유용성의 병렬적 다중매개효과 분석. 관광연구저널, 35(7), 101-116. 
  7. 김재철 (2021). 로보어드바이저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혁신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영교육연구, 36(6), 145-168. 
  8. 김현규, 정남호, 부백 (2021). 키오스크 사용 관광객의 기술준비도 성향에 따른 시장세분화 전략. 관광연구저널, 35(6), 121-134. 
  9. 김현리, 박주석, 진정숙 (2022). 모바일 안면인식결제서비스의 동기-위생 요인이 수용 및 저항에 미치는 영향: 중국 사용자를 중심으로. 지식경영연구, 23(2), 143-168.  https://doi.org/10.15813/KMR.2022.23.2.008
  10. 김현영, 정용해 (2021). 코로나 19 팬데믹 시대 외식고객의 키오스크 사용에 대한 수용의도 연구-확장된 가치기반수용모델을 중심으로. 호텔리조트연구, 20(5), 389-407. 
  11. 김효정 (2022). 외식업체 키오스크의 지속 이용 의도에 대한 연구: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2(4), 190-198.  https://doi.org/10.5392/JKCA.2022.22.04.190
  12. 문화영 (2022, 8월 26일). "내 인생은 왜 이럴까"...소외되고 뒤처질까봐 불안한 '포모 증후군'. 아시아경제. 
  13. 박규홍, 오민석, 안재현, 김동연 (2019). 사물인터넷 제품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기대가치 요인: 기대일치모형을 중심으로. 한국경영과학회지, 44(4), 19-38. 
  14. 서경화 (2021). 외식산업의 키오스크 (Kiosks) 확산: 개인 혁신성, 자기효능감, 즐거움, 고객만족을 통합한 기술수용모델. 호텔경영학연구, 30(7), 73-92. 
  15. 서진우, 이자윤 (2020). SST에 기반한 키오스크의 서비스 기술품질이 감정적 가치, 만족, 고객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호텔관광연구, 22(1), 159-172. 
  16. 서필수, 이용기, 정남호 (2013). 기대일치모형을 이용한 항공예약시스템의 지속사용의도 영향요인 고찰. 호텔경영학연구, 22(3), 249-264. 
  17. 안재영, 이중정, 배다은, 이소현 (2020). 언택트 서비스 사용에 관한 연구: 키오스크 사례 중심으로.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20(4), 49-73. 
  18. 양가, 석문, 최정길 (2018). 확장된 기대일치모형 적용을 통한 중국 버짓호텔 셀프서비스 기술의 지속적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호텔경영학연구, 27(8), 111-129. 
  19. 오찬종 (2022, 4월 5일). 삼성에 질세라 LG도 뛰어들었다..."40조 키오스크 시장 잡자". 매일경제. 
  20. 윤아동, 남윤재 (2021). 모바일 오디오북 애플리케이션 지속사용 의도에 관한 연구-기대일치모형, 기술수용모형과 가치기반수용모형 기반 요인을 중심으로.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21(3), 127-144. 
  21. 이동한 (2020, 8월 24일). 키오스크(KIOSK)이용, 얼마나 편하신가요?-키오스크 이용인식 조사. 여론 속의 여론. 
  22. 이상헌, 박찬욱 (2021). 통합기술수용이론 (UTAUT) 기반 옴니채널 서비스의 사용자 수용과 동인이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혁신성과 자기효능감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21(2), 1-34. 
  23. 이성호 (2015). 모바일 뱅킹 서비스의 편의적 가치가 고객만족과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기술우려감의 조절효과. 한국 IT 서비스학회지, 14(2), 1-14. 
  24. 이세진 (2021). OTT 서비스 이용자의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인구사회학적 속성과 혁신성을 중심으로. 광고연구, 128, 35-68. 
  25. 이옥주, 김하연, 이수범 (2019). 키오스크의 관계혜택이 지각된 유용성, 기대일치, 태도 및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28(5), 73-88. 
  26. 이주미, 정남호 (2021). 코로나 19 로 인한 언택트 서비스 환경 변화에 따른 키오스크 도입이 사용자의 태도와 호텔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학연구, 45(7), 173-196. 
  27. 임성민 (2020, 8월 12일). 언택트 주도하는 MZ세대, 경험과 재미 선호한다. 대한데일리. 
  28. 정성광, 양재호 (2013). 키오스크 서비스 이용자의 지각된 관계혜택이 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 혁신성과 합리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마케팅관리연구, 18(2), 47-72. 
  29. 정소원, 박지선 (2020). 기술불안감과 지각된 생산성이 셀프 서비스테크놀로지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상호작용욕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28(4), 480-491. 
  30. 정윤희 (2020). 항공사 키오스크의 기술수용특성 및 재이용 의도의 영향관계: 무인서비스 실패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34(11), 125-140. 
  31. 정지희, 신재익, 정기한 (2017). 기대일치모델을 이용한 스마트폰 만족과 통합 충성도에 관한 연구.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17(4), 1-18. 
  32. 조웅, 안수호, 정두희 (2020). 사용자의 혁신성 및 지식수준이 가상비서 기반 음성쇼핑의 이용에 미치는 영향. 벤처창업연구, 15(2), 153-169.  https://doi.org/10.16972/APJBVE.15.2.202004.153
  33. 최현준, 조태영 (2022). 호텔 키오스크(Kiosk) 서비스 특성이 경험가치, 만족도, 이용의도,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 동북아 관광연구, 18(1), 109-128.
  34. Balog, A., & Pribeanu, C. (2010). The role of perceived enjoyment in the students' acceptance of an augmented reality teaching platform: A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approach. Studies in Informatics and Control, 19(3), 319-330. 
  35. Bhattacherjee, A. (2001). Understanding information systems continuance: An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 MIS Quarterly, 25(3), 351-370.  https://doi.org/10.2307/3250921
  36. Cummings, W. H., & Venkatesan, M. (1976). Cognitive dissonance and consumer behavior: A review of the evidence.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3(3), 303-308.  https://doi.org/10.1177/002224377601300313
  37. Davis, F. D. (1989).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13(3), 319-340.  https://doi.org/10.2307/249008
  38. Demoulin, N. T., & Djelassi, S. (2016). An integrated model of self-service technology (SST) usage in a retail context. International Journal of Retail & Distribution Management, 44(5), 540-559.  https://doi.org/10.1108/IJRDM-08-2015-0122
  39. Fornell, C., & Larcker, D. F. (1981). Evaluating structural eval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1), 39-50.  https://doi.org/10.1177/002224378101800104
  40. Hair, J., Anderson, R., & Tatham, R. B. (1998). Multivariate data analysis. Prentice Hall. 
  41. Hur, H. J., Lee, H. K., & Choo, H. J. (2017). Understanding usage intention in innovative mobile app service: Comparison between millennial and mature consumer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73, 353-361.  https://doi.org/10.1016/j.chb.2017.03.051
  42. Jeon, H. M., Sung, H. J., & Kim, H. Y. (2020). Customers' acceptance intention of self-service technology of restaurant industry: Expanding UTAUT with perceived risk and innovativeness. Service Business, 14(4), 533-551.  https://doi.org/10.1007/s11628-020-00425-6
  43. Leung, X. Y., Torres, B., & Fan, A. (2021). Do kiosks outperform cashiers? An S-O-R framework of restaurant ordering experiences. 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 Technology, 12(3), 580-592.  https://doi.org/10.1108/JHTT-03-2020-0065
  44. Meuter, M. L., Ostrom, A. L., Bitner, M. J., & Roundtree, R. (2003). The influence of technology anxiety on consumer use and experiences with self-service technologi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6(11), 899-906.  https://doi.org/10.1016/S0148-2963(01)00276-4
  45. Oliver, R. L. (1980). A cognitive model of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satisfaction decis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7(4), 460-469.  https://doi.org/10.1177/002224378001700405
  46. Rogers, E. M. (2003). The diffusion of innovation (5th ed.). New York, NY: Free Press. 
  47. Suki, N. M., & Suki, N. M. (2011).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enjoyment, attitude and subscribers' intention towards using 3G mobile services.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Management, 22(1), 1-7. 
  48. Troisi, O., Fenza, G., Grimaldi, M., & Loia, F. (2022). Covid-19 sentiments in smart cities: The role of technology anxiety before and during the pandemic. Computers in Human Behavior, 126, 106986. 
  49. Vakulenko, Y., Hellstrom, D., & Oghazi, P. (2018). Customer value in self-service kiosk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Retail & Distribution Management, 46(5), 507-527. https://doi.org/10.1108/IJRDM-04-2017-00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