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What We Want for Virtual Humans: Classification of Consumer Expectation Value on Virtual Influencer by Age Based on Q-methodology

가상 인간에 대한 우리들이 원하는 모습: Q방법론을 기반으로 한 연령대에 따른 소비자 기대 가치 분류

  • Ji-Chan Yun (Graduate School of Business IT, Kookmin University) ;
  • Do-Hyung Park (Graduate School of Business IT, Kookmin University)
  • 윤지찬 (국민대학교 비즈니스IT전문대학원) ;
  • 박도형 (국민대학교 비즈니스IT전문대학원)
  • Received : 2023.02.15
  • Accepted : 2023.06.09
  • Published : 2023.06.30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consumers' perceptions of virtual influencers, which many companies recently used for marketing. This study uses the Q methodology to derive what kind of perception consumers have about virtual influencers who work with various appearances, background stories, and worldviews as components. In addition, we want to see how the expected value of virtual influencers differs by age group. To this end, 34 statements were produced through preliminary interviews and literature reviews. This study showed that some consumers preferred appearances similar to humans, despite recognizing that virtual influencers are fictional characters. Some other consumers preferred to feel like a fictional character by maintaining virtuality, confirming that there are both opposite consumers. In addition, consumers expect virtual influencers to have consistency and expertise in the content field covered, and some consumers do not prefer to show an overly commercial appearance. This study will likely provide implications for companies that want to utilize virtual influencers in considering which ones to use for target customers in marketing activities.

본 연구는 최근 많은 기업에서 마케팅을 목적으로 활용하는 가상 인플루언서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에 대해 집중 조명하고 있다. 다양한 외모와 배경 스토리, 세계관 등을 구성요소로 가지고 활동하는 가상 인플루언서에 대해 소비자들은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Q방법론을 활용하여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연령대별로 가상 인플루언서에 대한 기대 가치가 어떻게 다른지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사전 인터뷰와 문헌 검토를 통해 34개의 진술문을 제작했다. 연구 결과, 20대 소비자는 가상 인플루언서에 대해 '분야의 전문가인 가상 인플루언서,' '실존 인물 같은 가상 인플루언서,' '가짜는 가짜다운 가상 인플루언서,' '친근하게 소통하는 가상 인플루언서'와 같은 4가지 유형의 모습을 기대했다. 반면에 30대 소비자는 '신뢰할 수 있는 가상 인플루언서,' '모르고 보면 실제 인플루언서,' '트렌드에 민감한 소통 중심 가상 인플루언서,' '광고 모델 가상 인플루언서'와 같은 4가지 유형의 모습을 기대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소비자들이 가상 인플루언서에 대해 가상의 인물이라는 것을 인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외형적으로도 인간과 유사하기를 선호하는 소비자와 가상성을 유지하여 가상의 인물로 느껴지는 것을 선호하는 소비자가 모두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추가로, 소비자들은 가상 인플루언서가 다루는 콘텐츠 분야에 대해서 일관성 있고 전문성을 가지기를 기대하며, 지나치게 상업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것을 선호하지 않는 소비자도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가상 인플루언서를 활용하고자 하는 기업에게 마케팅 활동에 있어서 타겟 고객들을 대상으로 어떤 가상 인플루언서를 활용해야 하는지 고려하는 과정에서 시사점을 제공하기를 기대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0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이공분야기초연구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0R1A2C1006001)

References

  1. 강유림, 김문영 (2022). MZ 세대의 라이프스타일 특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2010 년-2020 년의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의류산업학회지, 24(1), 81-94. 
  2. 고예일, 김시은, 신혜인 (2021). 가상 인플루언서 마케팅. 마케팅, 55(10), 61-70. 
  3. 김범종 (1999). Q 방법론의 이해와 소비자 연구에의 적용. Asia Marketing Journal, 1(3), 7. 
  4. 김수정 (2021). Z 세대가 생각하는 '전문가'와 '인플루언서'의 특성에 관한 연구: 인플루언서는 뉴 노멀 (New Normal) 시대의 전문가인가? 문화와 사회, 29(3), 175-247. 
  5. 김순은 (2007). Q 방법론과 사회과학. 부산: 도서출판 금정. 
  6. 김철호 (2013). 지역 브랜드 정체성 구축의 동인으로서의 올림픽 기대가치와 지역사회 소속감 측정 척도 연구. 브랜드디자인학연구, 11(2), 149-160.  https://doi.org/10.18852/BDAK.2013.11.2.149
  7. 김혜진, 마지나, 장곤우, 배병렬 (2022). 인플루언서 특성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정보 신뢰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35(1), 29-52. 
  8. 김흥규 (2008). Q 방법론: 과학철학, 이론, 분석 그리고 적용.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9. 박진솔, 구유리 (2022). 가상 인플루언서의 SNS 콘텐츠 활용유형 및 소비자 반응 분석-가상인플루언서 '로지'의 사례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81, 594-609. 
  10. 배소영 (2020). 밀레니얼 세대의 가사노동 서비스 연구.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서울. 
  11. 오지연, 성열홍 (2019). 인플루언서의 신뢰성과 매력성이 관계유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Z/Y 세대를 중심으로. 상품문화 디자인학연구 (KIPAD 논문집), 57, 261-270. 
  12. 이경민, 김동후 (2023). 성공적인 가상 인플루언서 마케팅 분석연구: 국외 가상 인플루언서 '릴 미켈라'와 국내 가상 인플루언서 '로지' 비교 중심으로. 생산성연구: 국제융합학술지, 37(1), 177-204. 
  13. 이나예, 박진희, 이인희 (2021). Z세대의 화장품 소비성향이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22(2), 159-177. 
  14. 이익희 (2008). 디지털시네마에 대한 이용자의 기대-가치에 관한 연구. 영상예술연구, 13, 377-403. 
  15. 이정우, 박준기, 이혜정 (2011). 정보기술 (IT) 역량의 유형에 관한 연구: 혁신, 지원 그리고 관리. 주관성 연구, (22), 73-92. 
  16. 이지현, 김한구 (2021). 가상 인플루언서 특성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이 모방욕구와 WOM에 미치는 영향: 불편함과 신뢰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21(4), 49-75. 
  17. 이진균 (2022). 가상 인플루언서의 특성과 공신력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인간다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24(4), 347-385. 
  18. 이혜린, 양미현, 최지희, 김다은, 장수연 (2019). 1인 미디어의 공신력 판단기준에 대한 세부요소 분석: 뷰티유튜버를 중심으로. 소비자학연구, 30(6), 75-95. 
  19. 장수미, 황영옥 (2007). Q 방법론을 활용한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9(2), 223-249.  https://doi.org/10.20970/KASW.2007.59.2.009
  20. 장혜수, 여은아 (2020). 3D 가상 인플루언서에 대한 20-30 대 남녀 소비자 인식. 복식문화연구, 28(4), 446-462. 
  21. 조단양, 한광섭 (2022). 가상 인플루언서의 특성이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불쾌한 골짜기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24(3), 135-169. 
  22. 최미숙, 김병주 (2021). Q 방법론을 활용한 대학입학사정관의 역할 유형 분석. 교육정치학연구, 28(2), 81-109. 
  23. 한은경, 임수현 (2012). 소셜 미디어의 신뢰도가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광고 신뢰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광고연구, (92), 7-29. 
  24. 황서이, 이명천 (2021).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Virtual Human'의 의미변화 연구: 코로나 19 상황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22(12), 2039-2047. 
  25. 황서이, 이명천 (2021).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광고 모델로 서의 '가상 인플루언서' 인식변화 분석: 언론미디어와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23(4), 265-299.
  26. Arsenyan, J., & Mirowska, A. (2021). Almost human? A comparative case study on the social media presence of virtual influencers.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Studies, 155, 102694. 
  27. Brown, S. M. (2020). Let's get virtual: Measuring virtual influencer's endorser effectiveness. Doctoral dissertation, Texas A&M University, TX, USA. 
  28. Brown, S. R. (1980). Political subjectivity: Applications of Q methodology in political science. New Haven: Yale Univ. Press. 
  29. Cheung, F., & Leung, W. F. (2021). Virtual influencer as celebrity endosers. University of South Florida M3 Center Publishing, 5(2021), 44. 
  30. Cornelius, S., Leidner, D., & Benbya, H. (2023). Credibility of virtual influencers: The role of design stimuli, knowledge cues, and user disposition. In Proceedings of the 56th Hawai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ystem Sciences, Hawaii, USA, 3401-3410. 
  31. Darner, A., & Arvidsson, N. (2019). Virtual influencers: Anonymous celebrities on social media.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urn.kb.se/resolve?urn=urn:nbn:se:hj:diva-45303 
  32. Leinatamm, K., & Bilali, S. (2019). Virtual avatars rising: The social impact based on a content analysis and a questionnaire in the context of fashion industry.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urn.kb.se/resolve?urn=urn:nbn:se:hb:diva-21993 
  33. Liu, F., & Lee, Y. H. (2022, June). Unveiling behind-the-scenes human interventions and examining source orientation in virtual influencer endorsements. In AC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ractive Media Experiences (pp. 175-192). 
  34. Mckeown, B. F., & Thomas, D. B. (1988). Q-methodology in assessment and research. Summer Methodology Quantitative Applications in the Social Sciences Series, 66, 302-29. 
  35. Molin, V., & Nordgren, S. (2019). Robot or human? The marketing phenomenon of virtual influencers: A case study about virtual influencers' parasocial interaction on Instagram.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urn.kb.se/resolve?urn=urn:nbn:se:uu:diva-388646 
  36. Moustakas, E., Lamba, N., Mahmoud, D., & Ranganathan, C. (2020, June). Blurring lines between fiction and reality: Perspectives of experts on marketing effectiveness of virtual influencers. In 2020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yber Security and Protection of Digital Services(Cyber Security) (pp. 1-6). IEEE. 
  37. Nisandzic, M. (2020). Are you even real? Virtual influencers on Instagram and the role of authenticity in the virtual influencer consumer relationship. Doctoral dissertation, Master's thesis, Leopold-Franzens-University, Innsbruck, Austria. 
  38. Park, G., Nan, D., Park, E., Kim, K. J., Han, J., & Del Pobil, A. P. (2021, January). Computers as social actors? Examining how users perceive and interact with virtual influencers on social media. In 2021 1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Ubiquitous Information Management and Communication (IMCOM) (pp. 1-6). IEEE. 
  39. Robinson, B. (2020). Towards an ontology and ethics of virtual influencers. Australasian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24. 
  40. Tanzi, G. (2019). Virtual ambassadors, is this new trend changing the video advertising landscape? A Preliminary Analysis of the Renault Kadjar Case. 
  41. Voskaite, S. (2020). The impact of content type posted by influencer on consumer behavior: The moderating effect of influencer's type. Doctoral dissertation, ISM University of Management and Economics, Vilnius, Lithuania. 
  42. Walter, L. S. (2020). Changing the Instagram game: The rise of a new influencer generation. Bachelor's thesis, University of Twente, Enschde, Netherlands. 
  43. Watts, S., & Stenner, P. (2014). Definitions of love in a sample of British women: An empirical study using Q methodology. British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53(3), 557-572.  https://doi.org/10.1111/bjso.12048
  44. Wibawa, R. C., Pratiwi, C. P., Wahyono, E., Hidayat, D., & Adiasari, W. (2022). Virtual influencers: Is the persona trustworthy? Jurnal Manajemen Informatika (JAMIKA), 12(1), 51-62. https://doi.org/10.34010/jamika.v12i1.6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