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erception and Implication on Excellent Student and Innovative Graduate Education in the Filed of Science and Engineering

이공계 대학원 인재상과 교육혁신 방향에 대한 대학 구성원의 인식과 시사점: A연구중심대학 사례

  • Cho, Eun Won (Department of Educ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
  • Bae, Sang Hoon (Department of Educ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
  • Kim, Kyeong Eon (Department of Educ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
  • Han, Song Ie (College of General Education, Semyung University)
  • 조은원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
  • 배상훈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
  • 김경언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
  • 한송이 (세명대학교 교양대학)
  • Received : 2023.04.03
  • Accepted : 2023.05.31
  • Published : 2023.05.31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direction that desirable educational direction of science and engineering graduate school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aculty, staffs and students of 'A' science and engineering research-oriented university.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ndependent researchers with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second, intellectuals who fulfill social responsibilities, convergent leaders across various boundaries of knowledge, and fourth, passionate people with a sense of challenge. Conclusions were made on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higher education and innovating graduate education in South Korea based on research findings.

Keywords

References

  1. 강소연, 최금진(2016). 공학계열 졸업생의 직무역량에 관한 인식 연구. 공학교육연구, 19(2), 102-111. https://doi.org/10.18108/JEER.2016.19.2.102
  2. 강승희(2010). 공학계열 대학생의 성차: 학업 성취도, 일반적 자기효능감, 공학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13(4), 60-69. https://doi.org/10.18108/JEER.2010.13.4.60
  3. 곽은주.배상훈(2019). 공학계열 여학생의 교수 및 교우와의 상호작용 유형과 예측요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8), 995-1022.
  4. 김대영 외(2006). 공학전문가가 인식하는 공학기초능력의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공학교육연구, 9(2), 1-18.
  5. 김민선.양지웅.연규진(2016). 이공계 여성 대학원생의 진로선택과 대학원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8(1), 191-216.
  6. 김세련.최고은.박인우(2020). 일반대학원 교육만족도 요인 모형에 대한 실증적 탐색. 교육방법연구, 32(3), 487-510.
  7. 김승정(2019). 대학원생과 지도교수의 상호작용과 지도 유형에 관한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37(3), 59-82.
  8. 김승정(2021). 국내 대학원 교육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39(3), 219-241.
  9. 김정연.태진미(2018). 캡스톤 디자인 수업에 대한 비공학 및 공학계열 대학생의 학습경험과 학습성과 인식 차이. 통합교육과정연구, 12(1), 109-138.
  10. 김은정(2014). 공과대학생의 인지적.정의적 학습양식 특성 분석. 공학교육연구, 17(6), 20-29. https://doi.org/10.18108/JEER.2014.17.6.20
  11. 김홍찬 외(2007). 기계공학과에서 제시하는 Hands-on Experience 중심의 "엔지니어링 디자인" 교과목의 강의사례. 공학교육연구, 10(2), 44-61. https://doi.org/10.18108/JEER.2007.10.2.44
  12. 박수정.송영수(2016). 대학 특성화에 따른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직업능력개발연구, 19(2), 79-107. https://doi.org/10.36907/KRIVET.2016.19.2.79
  13. 박순용.김아람(2017). 공대 대학원생의 대학원 생활 및 진로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역량개발학습연구, 12(2), 109-137.
  14. 박희제(2013). 국가주도 과학의 상업화와 그 문화적 영향. 담론201, 16(4), 5-31. https://doi.org/10.17789/DISCOU.2013.16.4.001
  15. 반상진 외(2004). 대학원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체제적 분석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2(2), 255-277.
  16. 배상훈.서지영.한송이(2021). 초일류 국가를 위한 대학 혁신 전략. 서울: 여시재.
  17. 배상훈.홍지인(2015). 한국과 미국 공학계열 대학생의 학습참여 (Student Engagement) 비교. 비교교육연구, 25(3), 179-207.
  18. 서지영(2021). 세계대학순위평가를 통해 본 고등교육 경쟁력 제고 방안. KCUE Higher Education Issue, 2021년 제8호, 1-8.
  19. 성은모.오헌석.김윤영(2013). 대학교육에서 산업형 융합인재 육성을 위한 융합프로젝트 교수 학습모형 탐구. 교육방법연구, 25(3), 543-580. https://doi.org/10.17927/TKJEMS.2013.25.3.543
  20. 성태제.시기자(2006). 연구방법론. 서울: 학지사.
  21. 손경아.엄세원.정현진(2022). 이공계 대학원생 핵심역량 진단 도구 및 역량개발가이드 개발. 교육방법연구, 34(1), 187-211.
  22. 송성수(2012). 통섭교육으로서 공학소양교육의 위상과 과제. 공학교육연구, 15(1), 18-25. https://doi.org/10.18108/JEER.2012.15.1.18
  23. 신종호(2022).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이 공학계열 대학생들의 창의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공학교육연구, 25(5), 3-11. https://doi.org/10.18108/JEER.2022.25.5.3
  24. 신현석 외(2008). 대학원생이 인식하는 대학원 교육의 질 만족요인 탐색. 교육문제연구, 31, 49-77.
  25. 연규진 외(2013). 학부생과 대학원생의 성별에 따른 진로장벽의 차이: 이공계 대학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여성, 18(2), 295-316.
  26. 외교부(2021). 대한민국,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 선진국 그룹 진출. 2021년7월4일자 보도자료.
  27. 이민하(2016). 공학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융합교육 방안: 미술 기반 융합교양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예술교육연구, 14(3), 29-46.
  28. 이인서.김문주.이병식(2022). 대학기관연구(Institutional Research) 데이터를 활용한 대학원 박사과정생 연구성과의 영향요인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40(3), 143-169.
  29. 임경화.안정현(2016). 공학생의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질문 생성 전략 활용 플립러닝 수업 설계. 실천공학교육논문지, 8(2), 75-81. https://doi.org/10.14702/JPEE.2016.075
  30. 임희진 외(2016). 연구중심대학 석사과정 학생의 대학원 학습 경험에 대한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17(3), 379-408.
  31. 오보영.문철(2015). 디자인사고 (Design Thinking) 과정을 적용한 고등학교 디자인수업 모형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6(6), 297-308.
  32. 유영란.강명희(2014). 공학계열 여대생의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타인 영향력,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공학 자기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아시아교육연구, 15(2), 225-247. https://doi.org/10.15753/AJE.2014.15.2.009
  33. 장하원(2012). 한국 이공계 대학원생의 상대적 박탈감과 자기 회의에 대한 분석. 기타연구, 1-59.
  34. 전재은 외(2018). '대학원생 지도교수 관계' 언론보도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교육사회학연구, 28(4), 87-116. https://doi.org/10.32465/KSOCIO.2018.28.4.004
  35. 전재은.전하람.이희영(2021). 지도교수의 대학원생 지도 유형과 대학원생의 학업중단 의사: 전공계열별 분석. 한국교육학연구, 27(1), 407-433.
  36. 전종희(2013). 공과대학 대학원에서의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 양상 탐색. 교육심리연구, 27(1), 1-34.
  37. 정은정(2015). 공학계열 대학생들의 공학소양교육 요구분석. 공학교육연구, 18(5), 22-31. https://doi.org/10.18108/JEER.2015.18.5.22
  38. 진성희.한승우.김태현(2014). 공학계열 대학생들의 진로탐색 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교육공학연구, 17(3), 8-21.
  39. 최윤미 외(2010). 연구역량에 대한 이해: 대학원생, 연구원, 교수 집단의 인식차이를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11(2), 1-27. https://doi.org/10.15753/AJE.2010.11.2.001
  40. 하연섭(2018). BK21 후속사업 개편 기본방향(안). 교육부
  41. 허지숙(2017). 신문기사에 나타난 제 4 차 산업혁명의 핵심역량에 관한 사회연결망분석: 이공계 대학생을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20(5), 50-58. https://doi.org/10.18108/JEER.2017.20.5.50
  42. 홍성민(2015). 미래 과학기술인재의 경력단계별 핵심 역량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직업과 자격 연구, 4(2), 1-18.
  43. 홍성민 외(2015). 과학기술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및 R&D 정책 연계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44. 황은성 외(2014). 이공계 연구윤리 및 출판윤리 매뉴얼. 한국과 학술지편집인협의회(Korean council of science editors).
  45. Austin, A. E.(2002). Preparing the next generation of faculty: Gaduate school as socialization to the academic career. The Journal of Higher Education, 73(1) 94-122. https://doi.org/10.1080/00221546.2002.11777132
  46. Bair, C. R., & Haworth, J. G.(2004). Doctoral student attrition and persistence: A meta synthesis of research. In J. C. Smart (Ed.), Higher education: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Vol. XIX (pp. 481-534). Springer Netherlands.
  47. Boud, D., & Tennant, M.(2006). Putting doctoral education to work: challenges to academic practice. Higher Education Research & Development, 25(3), 293-306. https://doi.org/10.1080/07294360600793093
  48. Litalien, D., & Guay, F.(2015). Dropout intentions in PhD studies: A comprehensive model based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motivational resource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41, 218-231.
  49. Millet, C. M., & Nettles, M. T.(2006). Expanding and cultivating the hispanic STEM doctoral workforce research on doctoral student experiences. Journal of Hispanic Higher Education, 5, 258-287. https://doi.org/10.1177/1538192706287916
  50. Neumann, R.(2001). Disciplinary differences and university teaching. Studies in Higher Education, 26(2), 135-146. https://doi.org/10.1080/03075070120052071
  51. Paglis, L. L., Green, S. G. & Bauert, T. N.(2006). Does adviser mentoring add value? A longitudinal study of mentoring and doctoral student outcomes.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47(4), 451-476. https://doi.org/10.1007/s11162-005-9003-2
  52. Song, H., Shin, D., & Song, C.(2015). Does an accredited engineering program contribute for training the creative talented engineers?: Based on students' experiences and learning performances. Journal of Governance Studies, 10(2), 95-117. https://doi.org/10.16973/jgs.2015.10.2.005
  53. Ylijoki, Oili-Helena(2000). Disciplinary cultures and the moral order of studying - A case-study of four Finnish university departments. Higher Education, 39, 339-362. https://doi.org/10.1023/A:10039202308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