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How Does Smart-device Literacy Shape Privacy Concerns: The Moderation of Privacy and the Mediation of Online Social Participation and Information Veracity

스마트기기 활용역량과 프라이버시 우려: 온라인 사회참여 활동과 정보 사실성 판단 능력의 매개효과 및 프라이버시의 조절효과

  • Hyeon-jeong Kim (Barun ICT Research Center, Yonsei University) ;
  • Beomsoo Kim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Yonsei University)
  • 김현정 (연세대학교 바른ICT연구소) ;
  • 김범수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 Received : 2022.10.28
  • Accepted : 2022.12.29
  • Published : 2023.03.31

Abstract

Digital literacy is vital knowledge and ability of an individual in the information society. As the level of digital literacy increases, the interest in privacy protection increases. This change may hinder the use of digital technologies and services. This research examines (1) the mediating effect of online social participation and information veracity on smart device literacy and privacy concerns, and (2) the moderating effect of privacy literacy. Using Korean media panel survey data reported in 2020 and in 2021, this study analyzes the responses of 7,737 people who use smart devices and participate in online activities. SPSS and PROCESS Macro are used to test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In the analysis of 2020 and 2021 survey, this research shows that smart device literacy has major effects on privacy concerns; confirms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online social participation; moderated meditating effect of privacy literacy. Although information veracity is not significant in 2020, mediating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s are found in 2021.

지능정보사회에서 디지털 리터러시는 필수사항이며, 리터러시 교육이 활발히 시행되고 있다.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이 올라갈수록 프라이버시 우려가 증가하는데, 이는 디지털 서비스 이용을 저해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스마트기기 활용 역량과 프라이버시 우려와의 관계에서 온라인 사회참여 활동과 정보 사실성 판단 능력의 매개효과와 프라이버시 리터러시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스마트기기를 사용하고 온라인 활동을 하는 13세 이상의 동일 패널 7,737명의 2020년과 2021년 실시한 한국미디어패널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주요 변인의 비교 및 분석을 위해 SPSS(v26.0)와 PROCESS Macro(v4.1, Model 15)를 이용하였다. 2020년과 2021년의 비교에서 스마트기기 활용역량과 프라이버시 리터러시는 증가 하였지만, 프라이버시 우려와 정보 사실성 판단 능력, 온라인 사회참여 활동은 감소하였음을 보았다. 분석 대상 전체와 통제 집단에서 프라이버시 우려와 정보 사실성 판단 능력의 평균간 차이가 상대적으로 크게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그 차이가 유의미하다. 연구모형 검증 결과, 스마트기기 활용역량이 프라이버시 우려에 미치는 영향은 2020년과 2021년 모두 증가하는 유의적인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온라인 사회참여 활동의 매개효과와 프라이버시 리터러시의 조절된 매개효과도 확인되었다. 정보 신뢰성 판단 능력은 2020년에 유의적이지 않지만, 2021년에는 유의한 매개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도 확인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다솔 (2022). 청소년의 미디어 활용 능력과 비판적 미디어 이해 능력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인지욕구의 매개효과. 한국교육논총, 43, 29-57.
  2. 김민진, 김미예, 김범수 (2021). 코로나 19 안전안내문자 정보 속성 분석: 필수 정보 요인과 프라이버시 침해 정보 요인을 중심으로. 지식경영연구, 22(2), 227-246. https://doi.org/10.15813/KMR.2021.22.2.012
  3. 김병수 (2012). 모바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 환경에서 지속 사용 의도의 선행 요인에 관한 연구: 신뢰와 프라이버시 우려의 역할. 지식경영연구, 13(4), 83-100. https://doi.org/10.15813/KMR.2012.13.4.006
  4. 김시정 (2019). 1차-2차 디지털 리터러시와 프라이버시 우려 간 순환적 관계: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한 종단분석. 정보통신정책연구, 26(4), 1-39.
  5. 김시정, 최상옥 (2019). 디지털 이용 역량과 활용이 개인정보위험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30(2), 257-284.
  6. 노승현 (2021). 고령장애인의 모바일 사회참여 영향요인 연구-청장년장애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정보화정책, 28(2), 81-97. https://doi.org/10.22693/NIAIP.2021.28.2.081
  7. 류성진, 고흥석 (2021). 디지털 리터러시가 정보 프라이버시 우려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 미디어 기기 이용역량과 디지털 원주민-이주민 집단 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35(6), 149-186. https://doi.org/10.22876/KAB.2021.35.6.005
  8. 서이종, 손준우 (2011). "신상털기" 현상과 배태된 프라이버시: 일상화된 정보 프로파일링과 공사의 경계변동.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28(4), 49-87.
  9. 신일순, 김현수 (2018). 프라이버시 우려와 SNS 활동: 프라이버시 역설의 존재 및 이유. 정보통신정책연구, 25(2), 33-67.
  10. 안정임, 서윤경, 김성미 (2017). 국내 미디어 리터러시 연구 동향 분석: 연구 특성 및 미디어 역할,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요인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31(5), 5-49.
  11. 엄지은, 전승환, 전수영 (2019). LASSO 방법을 이용한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 행태 분석.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1(1), 95-106.
  12. 유재호, 이애리, 김경규 (2016). 페이스북에서의 프라이버시 패러독스 현상 연구: 듀얼팩터이론을 중심으로. 지식경영연구, 17(1), 17-47. https://doi.org/10.15813/KMR.2016.17.1.002
  13. 이승은 (2019). 온라인 활동 참여와 미디어 이용행태가 온라인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에 끼치는 영향 연구. 인문사회 21, 10(3), 731-744.
  14. 장지연 (2021). 중장년층의 미디어 비판적 이해능력과 자아존중감. KISDI STAT, 21-21호.
  15. 장창기 (2021). 모바일 기기 이용자의 온라인 사회참여에 대한 디지털 리터러시의 영향: 세대 효과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38(4), 77-113.
  16. 홍재원, 박승배 (2021). 스마트기기 활용 능력과 미디어 이해 능력 및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뷰티 서비스를 중심으로. 미용예술경영연구, 15(3), 119-136. https://doi.org/10.22649/JBAM.2021.15.3.119
  17. Bartsch, M., & Dienlin, T. (2016). Control your Facebook: An analysis of online privacy literacy. Computers in Human Behavior, 56, 147-154. https://doi.org/10.1016/j.chb.2015.11.022
  18. Buchanan, T., Paine, C., Joinson, A. N., & Reips, U. D. (2007). Development of measures of online privacy concern and protection for use on the Internet.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8(2), 157-165. https://doi.org/10.1002/asi.20459
  19. Buckingham, D. (2002). Media education: Literacy, learning and contemporary culture. Cambridge: Polity Press.
  20. Dinev, T., & Hart, P. (2005). Internet privacy concerns and social awareness as determinants of intention to transact.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10(2), 7-29. https://doi.org/10.2753/JEC1086-4415100201
  21. Dinev, T., Bellotto, M., Hart, P., Russo, V., & Serra, I. (2006). Internet users' privacy concerns and beliefs about government surveillance: An exploratory study of differences between Italy and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Global Information Management (JGIM), 14(4), 57-93. https://doi.org/10.4018/jgim.2006100103
  22. Gerbing, D. W., & Anderson, J. C. (1988). An updated paradigm for scale development incorporating unidimensionality and its assessment.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5(2), 186-192. https://doi.org/10.1177/002224378802500207
  23. Hair Jr, J. F., Black, W. C., Babin, B. J., & Anderson, R. E. (2009). Multivariate data analysis (7th ed.). 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p. 761.
  24. Hayes, A. F. (2018).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2nd ed.). New York, NY: The Guilford Press.
  25. James, G., Witten, D., Hastie, T., & Tibshirani, R. (2017). An introduction to statistical learning: With applications in R (1st ed., 2013, Corr. 7th printing 2017 ed.). Springer.
  26. JISC. (2014). Developing digital literacies. Retrieved 11 Nov. 2022 from https://www.jisc.ac.uk/full-guide/d eveloping-digital-literacies
  27. Knief, U., & Forstmeier, W. (2021). Violating the normality assumption may be the lesser of two evils. Behavior Research Methods, 53(6), 2576-2590. https://doi.org/10.3758/s13428-021-01587-5
  28. Liao, C., Liu, C. C., & Chen, K. (2011). Examining the impact of privacy, trust and risk perceptions beyond monetary transactions: An integrated model.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and Applications, 10(6), 702-715. https://doi.org/10.1016/j.elerap.2011.07.003
  29. Martzoukou, K., Fulton, C., Kostagiolas, P., & Lavranos, C. (2020). A study of higher education students' self-perceived digital competences for learning and everyday life online participation. Journal of Documentation, 76(6), 1413-1458. https://doi.org/10.1108/JD-03-2020-0041
  30. Park, Y. J., Campbell, S. W., & Kwak, N. (2012). Affect, cognition and reward: Predictors of privacy protection onlin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8(3), 1019-1027. https://doi.org/10.1016/j.chb.2012.01.004
  31. Prensky, M. (2001). Digital natives, digital immigrants part 2: Do they really think differently? On the Horizon, 9(5), 1-6. https://doi.org/10.1108/10748120110424843
  32. Ribble, M., & Bailey, G. (2007). Digital citizenship in schools. Washington, DC: International Society for Technology in Education.
  33. Rosenthal, S., Wasenden, O. C., Gronnevet, G. A., & Ling, R. (2020). A tripartite model of trust in Facebook: Acceptance of information personalization, privacy concern, and privacy literacy. Media Psychology, 23(6), 840-864. https://doi.org/10.1080/15213269.2019.1648218
  34. Schroeck, M., Shockley, R., Smart, J., Romero-Morales, D., & Tufano, P. (2012). Analytics: The real-world use of big data. IBM Global Business Services, 12(2012), 1-20.
  35.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4), 422-445. https://doi.org/10.1037/1082-989X.7.4.422
  36. Spiller, S. A., Fitzsimons, G. J., Lynch Jr, J. G., & McClelland, G. H. (2013). Spotlights, floodlights, and the magic number zero: Simple effects tests in moderated regress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50(2), 277-288. https://doi.org/10.1509/jmr.12.0420
  37. Trepte, S., Teutsch, D., Masur, P. K., Eicher, C., Fischer, M., HennhHfer, A., & Lind, F. (2015). Do people know about privacy and data protection strategies? Towards the "online privacy literacy scale" (OPLIS). In S. Gutwirth, R. Leenes & P. De Hert (Eds.), Reforming European data protection law (pp. 333-365). Dordrecht: Springer Netherlands.
  38. Westin, A. F. (1998). E-commerce & privacy: What net users want. Hackensack, NJ: Privacy & American Busi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