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ediating Effect of Interest in Elderly Job Project and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Z and X Generation's Social Support and Retirement Readiness

MZ·X세대의 사회적지지와 노후준비도 관계에서 노인일자리사업 관심도와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Received : 2022.10.12
  • Accepted : 2022.10.20
  • Published : 2022.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est in the elderly job project and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retirement readiness of the MZ·X generation. This survey conducted reliability and frequency analysis, t/f-verification,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analysis of reliability and frequency using SPSS 27.0 and AMOS 27.0 programs on the collected data of 359 MZ and X generations of G, Y, and A cities in D and G provinces.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relationship statistic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interest in the employment project for the elderly, social support, resilience and readiness for old age.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retirement readiness, the degree of interest and resilience of the elderly job project were partially mediated.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MZ and X generations' interest in and resilience in the job projects for the elderly, the provision of emotional, evaluative, informational, and material support systems as a social support system and the elderly in government agencies such as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d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 realistic policy of job business policy is needed.

본 연구는 MZ·X세대의 사회적지지와 노후준비도의 관계에서 노인일자리사업 관심도와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조사는 D광역시와 G도의 G시, Y시, A시의 MZ·X세대 359명의 수집자료를 SPSS 27.0과 AMOS 2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및 빈도분석, t / F-검증,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적관계의 통계를 사용하여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노인일자리사업 관심도,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과 노후준비도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지지와 노후준비도 관계에서 노인일자리사업 관심도와 회복탄력성은 부분 매개가 검증되었다. 따라서, MZ·X세대의 노인일자리사업에 대한 관심과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해서 사회적지지체계로서 정서적, 평가적, 정보력, 물질적 지지체계의 마련과 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 여성가족부와 같은 정부기관의 노인일자리 사업정책의 현실성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황남희, 이원진, 진화영, 이상협, 안서연 (2021). 인구구조 고령화에 따른 공·사적이전의 변화와 대응방안.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 통계청 (2021). 2021 고령자 통계. 보도자료, p2.
  3. 매일경제 (2022.3.8.). '근로자 퇴직 연령 평균 49.3세...비자발적조기퇴직 늘어'. https://www. mk.co.kr/news/economy/view/2022/03/216431/에서 2022년 9월 10일 인출.
  4. 인사이트코리아 (2022.4.12.). MZ세대가 연금저축으로 노후준비 나서는 까닭. www.insightkorea.co.kr/news/articleView.html?!dxno=96014에서2022년9월15일인출.
  5. 아시아경제 (2022). MZ세대 10명 중 8명 '노후불안'...연금 이해도는 낮아. https:www.asiae.co.kr/article/2022100921455952889에서 2022년 9월 15일 인출.
  6. 변혜원, 손지영 (2021). 2020/2021 보험소비자 행태조사 : MZ세대의 은퇴저축. 보험연구원 연구보고서, 2021(8), 1-205.
  7. 금융경제 (2020.12.7.) 박진NH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소 소장, "2030도 벌써 은퇴준비... 노후에 대한 관심 늘어날 것". www.fe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95776.
  8. 구예은, 문현정 (2022). 넉넉: MZ 세대를 위한 조기 노후 설계 서비스 컨셉 제안.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308-309.
  9. Fry, R. (2018). Millennials are the largest gene. Pew Research Center. Retrieved from http://www.pewresearch.org/fact-tank/2018/04/11/millennials-largest-generation-us-labor-force.
  10. Lee, H., & Kim, J. (2021). Analysis of food con sumption behavior due to COVID-19:Focusing on MZ gener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9(3), 47-54. https://doi.org/10.14400/JDC.2021.19.3.047
  11. 정혜승, 성민정 (2022). CSR은 MZ세대 조직 구성원과의 커뮤니케이션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 CSR 효과의 세대 간 차이 분석을 중심으로. 홍보학연구, 26(1), 1-32. https://doi.org/10.15814/JPR.2022.26.1.1
  12. Lyons, S., & Kuron, L. (2014). Generational differ ences in the workplace : A review of the evi dence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35(1), 139-157.
  13. Lee, H., & Yu, G. (2013). Work-life balance of generation Y : The meaning and the role in view of generational work value. Quarterly Journal of Labor Policy, 13(4), 1-31. https://doi.org/10.22914/JLP.2013.13.4.001
  14. 김수정 (2000). 세대별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베이비붐세대, X세대, 그리고 MZ세대 간 차이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35(1), 29-58.
  15. 오정희 (2020). 일-생활 균형 인식에 대한 세대와 직위의 효과. 가천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임수곤 (2022). 특급호텔 레스토랑의 서비스스케이프가 고객 만족,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X세대와 MZ세대를 비교하여. 경성대학교 대학원 의식경영학석사 학위논문.
  17. 민지은, 한경수 (2021). 토빗분석을 적용한 X세대, MZ세대의 외식지출 영향요인.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36(3), 284-292. https://doi.org/10.7318/KJFC/2021.36.3.284
  18. 조선경제 (2022.10.7.). "은퇴하면 욕실 휴지부터 채워라... 아내와는 세입자처럼" [행복한 노후 탐구]. https://www.chosun.com/economy/money/2022/10/07/HYPZEL74DRCSZHZFD7B2YLVWUE/?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에서 2022년 10월 10일 인출.
  19. 매일경제 (2022.9.1.). "다시 돌아갈래"... 깨진 '4%룰'에 3040 파이어족 재취업 '붐' [언제까지 직장인].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22/09/773118/.
  20. 매경프리미엄 (2022.9.17.). 요즘MZ, 돈보다 이것 때문에 파이어족 꿈꾼다. https://www.mk.co.kr/premium/special-report/view/2022/09/32463.
  21. 박지원 (1985).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유은경, 설현수 (2015). 사회적 지지 척도의 요인구조 탐색. 한국조사연구학회, 16(1), 155-184.
  23. 신우열, 김민규, 김주환 (2009). 회복탄력성 검사 지수의 개발 및 타당도 검증. 한국 청소년 연구, 20(4), 105-131.
  24. 최은영 (2015). 1·2차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준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5. 김건희 (2016). 뉴실버세대의 자기효능감이 노후 준비도에 미치는 영향:경제활동 욕구와 노인일자리 사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West, S. G., Finch, J. F., & Curran, P. J.(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 Problems and remedies, In, R. H. Hoyle(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56-75, CA, Sage.
  27.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 기준과 그 근거. 한국임상심리학 저널, 19(1), 161 -177.
  28. 노경섭 (2016). 제대로 알고 쓰는 논문 통계분석. 서울 : 한빛아카데미 출판사.
  29. Fornell, C., & Larcker, D. F.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1), 39-50. https://doi.org/10.1177/002224378101800104
  30. 우종필 (2022).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 한나래 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