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of middle-aged men and women on retirement readiness

신중년 남녀세대의 사회적지지와 회복탄력성이 노후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22.10.04
  • Accepted : 2022.10.19
  • Published : 2022.10.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v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on retirement readiness in the prudent male and female generations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in social support, resilience, and retirement readines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overall social support and the subvariables of emotional, intelligence, material, and retirement readiness, the physical. especially, Women had higher averages of social support, resilience, and retirement readiness than men. second, The relative impact of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on retirement readiness is In model 1, men have family type, living conditions, and final education, and women have living conditions, average monthly income, In Model 2 and Model 3, both men and women showed the same trend. Model 2 shows living conditions, average monthly income, social support, Model 3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iving conditions,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Namely, Both men and women recognized that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had the greatest relative effect on retirement readiness, which was the main variable. Through this study, the middle-aged generation especially, It is significant in suggesting the need to find ways of social support for women and to increase resilience.

본 연구는 신중년 남녀세대의 사회적지지와 회복탄력성이 노후준비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을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는 사회적지지 전체와 하위변인인 정서적, 정보력, 물질적, 노후준비도의 하위변인인 신체적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여성은 남성에 비해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 노후준비도의 평균이 높았다. 둘째, 사회적지지와 회복탄력성이 노후준비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은 모형1에서 남자는 가족형태, 생활실태, 최종학력, 여자는 생활실태, 월평균수입, 모형2와 모형3에서는 남녀 모두 같은 경향을 나타냈다. 모형2는 생활실태, 월 평균수입, 사회적지지, 모형3은 생활실태,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즉, 남녀 모두 사회적지지와 회복탄력성이 노후준비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나 주요 변인임을 인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신중년 세대 특히, 여성을 위한 사회적지지의 방안 모색과 회복탄력성을 높이는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하는데 의의를 둔다.

Keywords

References

  1. 이데일리 (2022.8.19.). 전세계 최저 출산율 0.81명... 가파른 인구절벽.
  2. 한의신문 (2022.8.19.) "신중년, 당신의 노후는 잘 준비되고 있습니까?".
  3. 통계청 (2021.9.29.). 2021년 고령자 통계.
  4. 이국권 (2020). 신중년 노후준비를 위한 인생이모작 지원센터 활성화 방안. 지역복지정책, 31, 109-125.
  5. 양지훈, 권미애 (2018). 인천시 베이비부머 실태 및 욕구 조사. 인천광역시 고령사회 대응센터.
  6. 박주희 (2016). 베이비부머 세대의 가족 특성이 노후준비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4), 1-17.
  7. 홍서연, 김미량 (2020). 보편적 노후준비도 척도 개발. 여가학연구, 18(4), 35-51. https://doi.org/10.22879/SLOS.2020.18.4.35
  8. 박명아, 조시울, 신혜리, 박설우, 김영선 (2017). 베이비붐 세대의 경제적 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금연구, 7(1), 29-49.
  9. 최은영 (2015). 1·2차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준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0. 강미희 (2020). 사회적 지지와 노년기의 행복에 관한 연구 : 젠더 차이를 중심으로. 사회적질연구, 4(2), 47-70.
  11. 정경화, 김기승 (2020). 중년재직자의 회복탄력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퇴직태도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1(4), 452-462.
  12. Cassel, J. Psychological processes and stress: Theoretical formulation.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Service 4 (1974): 471-482. https://doi.org/10.2190/WF7X-Y1L0-BFKH-9QU2
  13. 임경임 (2012). 유아의 서번트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기질, 사회적지지, 의사결정력간의구조적관계.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정재갑 (2020). 사회복지 서비스를 이용하는 중년여성의 자기결정성 요인과 정서적 안정감, 행복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서울벤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황주경, 강순희 (2021). 신중년 구직자의 사회적 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재취업욕구의 매개효과. 취업진로연구, 11(1), 115-134. https://doi.org/10.35273/JEC.2021.11.1.005
  16. 이상주 (2020). 퇴직준비역량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7. 김주환 (2021). 회복탄력성. 서울 : 위즈덤하우스출판사.
  18. 정경화 (2020). 중년재직자의 명리직업선청성, 회복탄력성, 퇴직태도, 퇴직준비 간의 인과관계.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