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dream insight process of intern counselor -Based on Dream Integrated Art Therapy-

인턴상담자의 꿈 통찰 과정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꿈통합예술치료를 기반으로-

  • 권혜진 (일본고베예술공과대학대학원) ;
  • 신동열 (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
  • Received : 2022.10.12
  • Accepted : 2022.10.21
  • Published : 2022.10.31

Abstract

This study is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dream insight process of intern counsel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growth as a professional counselor based on the process of giving meaning to and recognizing their experiences through insight into the unconscious. Therefore, we used dream-integrated art therapy to have a process of recognizing unconscious dreams that clearly express expectations for oneself, others, and the world, and to explore this process more flexibly. The research participants selected three students enrolled in the master's and doctor's courses from among the applicants who applied through public relations and adopted the phenomenological Giorgi research method for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he research participant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irst, the intern counselors had a motive for wanting their own unconscious insight through dream-integrated art therapy and were able to gain insight into the problems revealed in their unconscious through dreams, music, and art media.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intern counselors felt a deepening of concentration and comfort through recent dreams, music, and art media in common. Third, as a defense mechanism that was revealed without the combination of dream integrated art therapy, the avoidance tendency of not wanting to reveal oneself was common, but this showed a gradual decrease. Fourth, it was reported that intern counselors gained flexibility for themselves about the future growth direction had an opportunity to accept themselves, and had a plan for the future direction to become professional counselor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follow-up studies using various media, studie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dream integration program, and various case studies are necessary.

본 연구는 인턴상담자의 꿈 통찰 과정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인턴상담자가 무의식에 대한 통찰을 통해 자신의 경험에 의미를 부여하고 인식하는 과정을 바탕으로 전문상담자로서의 성장을 도모하는 것이다. 이에 자신과 타인, 세계에 대한 기대를 명백하게 나타내는 무의식적 꿈을 인식하는 과정을 갖도록 하며, 이러한 과정을 보다 유연하게 탐색할 수 있도록 하는 꿈통합예술치료를 활용하였다. 연구참여자는 홍보를 통해 지원한 참여 희망자 중 석·박사과정에 재학 중인 3명을 선발하였으며, 자료 수집 및 분석은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진행하는 현상학적 Giorgi 연구방법을 채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턴상담자들은 꿈통합예술치료를 통해 자신의 무의식적 통찰을 원하는 동기를 가지고 있었고 자신의 무의식 속에서 드러나는 문제들을 꿈, 음악, 미술 매체들을 통해 스스로 통찰할 수 있었다. 둘째, 인턴상담자들은 공통적으로 최근 꿈, 음악, 미술 매체들을 통하여 집중력이 깊어짐과 편안함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꿈통합예술치료의 병행없이 드러났던 방어기제로는 자신을 드러내고 싶지 않아하는 회피적 성향이 공통적으로 나타났으나, 이는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양상을 보였다. 넷째, 인턴상담자들은 앞으로의 성장방향에 대해 스스로를 위한 유연함이 생겼고 자신을 받아들이게 된 기회였으며 전문상담자가 되기 위한 미래방향에 대한 계획을 갖게 되었다고 보고되었다. 따라서, 다양한 매체들을 활용한 후속 연구와 꿈통합프로그램 효과 검증 연구 및 다양한 사례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경인 외(2017). "집단상담 수업 경험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어려움과 대안을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18): 181-204.
  2. 김명자, 김지연(2020). 초보상담자가 상담수련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에 대한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9 325-353쪽.
  3. 길미현, 2017;김정연, 박명희,2016; 이미정, 박승민, 2015.상담수련과정에 있는 초보상담사의 자기성찰경험 연세대학교 대학원.
  4. 천성문 외(2015).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3판). 서울:학지사.
  5. 정은실(2019). 상담자의 자기 알아차림 경험에 관한 현상학 연구. 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 상담심리치료학 박사학위 논문.
  6. Skovholt, T. M., & Ronnestad, M. H. (1992). Themes in therapist and counselor development.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70(4), 505-515쪽. https://doi.org/10.1002/j.1556-6676.1992.tb01646.x
  7. 박현순(2009). 꿈 분석 사례 연구.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학술저널 人間理解(Journal of Human Understanding and Counseling) Vol.30 No.2 61-80쪽.
  8. 나유리(2017). 꿈 분석을 통한 자기이해 사례 연구. 한국연극예술치료학 연극예술치료연구 Vol.-No.7 207-241쪽.
  9. 신병철(2008). 통찰의 기술. 서울:지형.
  10. 심수명(2018). 기독교 상담적 관점에서 본 정신역동상담 개정 보증판 278-298쪽.
  11. Freud, S.(1900). The interpretation of dreams. 김인순 역(1997). 꿈의 해석. 서울:열린책들.
  12. JUNG, C. G.(2002). Traumsymbole des Individuationsprozesses. 한국융연구원 C.G. 융 저작 번역위원회 역(2002). 꿈에 나타난 개성화 과정의 상징. 서울: 솔.
  13. 장인숙(2006). 시각화된 꿈에 나타난 개성화과정에 대한 연구: 자기분석을 통하여. 순청향대학교 건강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정규(2006). 게슈탈트 심리치료: 창조적 삶과 성장. 서울: 학지사.
  15. 송제연(2016). 꿈 시각화를 통한 미술치료에 따른 성인 내담자의 꿈 변화 분석.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죽내(2002), 분석심리학의 관점에서 본 현존재 분석적 꿈 이해. 심성연구, 17(2), 100-118쪽.
  17. 최애나(2013). 비만아동에 대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효과 연구: 자아상, 스트레스, 자기 효능감, 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예술심리치료연구, 9(1), 121-138쪽.
  18. 곽현주, 김영희(2013). 예술치료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음악치료, 미술치료, 무용동작치료, 통합예술치료를 중심으로*. 예술심리치료연구, 9(3), 185-203쪽.
  19. 임재영, 이주영, 신동열(2021). 음악치료 이론과 심상 유도 음악치료 실제. 서울:교문사.
  20. 최윤영(2020). 통합예술치료를 위한 예술의 매체별 특성 연구. 『한국예술연구』 2020 제 28호, 305-326쪽. https://doi.org/10.20976/KJAS.2020..28.014
  21. Malchiodi, C. A.(2014). 미술치료,(최재영, 김진연 역). 서울:조형교육. (2007).
  22. Kramer, E.(1971). Art as therapy with children. New York: Schocken Books.
  23. Ulman, E.(2012). 프로이트 이론의 변용: 3명의 미술치료 이론가.
  24. (O'Conner, K. J.(1991). The play therapy primer: An integration of theories and techniques. NY: Wiley & Sons.
  25. 유가호, 위영희, 문현주, 이희정, 김태은 공저(2014). 놀이치료의 이해 개정판, 서울:양서원.
  26. 신종훈(2021). 고위험군 성범죄 출소자 멘티의 CoSA 서클멘토링 경험과 사회 적응과정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현실치료를 중심으로). 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7. 신경애(2020). 중년남성의 초기회상과 생활양식에 관한 현상학 연구 - 산업진흥원 산업진흥연구, 5권 3호, 97-104쪽. https://doi.org/10.21186/IPR.2020.5.3.097
  28. Giorgi(1985),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Pittsburgh: Duquesne University Press.
  29. 박현순(2009). 꿈 분석 사례 연구.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학술저널 人間理解(Journal of Human Understanding and Counseling) Vol.30 No.2 61-80쪽.
  30. 한미령, 조주성, 장은진(2019). 예비상담자 효능감 증진을 위한 집단미술 상담 프로그램 개발의 예비 연구. 한국발달지원학회 발달지원연구 학술저널 Vol.8 No.1 92-10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