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ivic Consciousness on Actions for Building an Community: The Mediating Effect of Innovative Culture

유아교사의 시민의식이 공동체 구현 실천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혁신문화의 매개 효과

  • 정계숙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
  • 노진형 (경남대학교 유아교육과) ;
  • 손환희 (부산대학교 따뜻한교육공동체연구센터(SSK))
  • Received : 2021.06.16
  • Accepted : 2021.08.08
  • Published : 2021.08.31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innovative cultur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civic consciousness and actions for building a community in order to obtain methodological information for implementation at a time when the need to build an education community has been raised.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275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Then,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were conducted. Results: All three variables civic consciousness, innovative culture, and actions for building a community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innovation culture, it was found that the indirect effect of teachers' civic consciousness on the actions for building a community through the innovative culture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was found that it is important to strengthen the teacher's civic consciousness and to create an innovative cultur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order to promote actions for building an educational community of teache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teacher education and formation of an innovative cultur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for the purpose building an educational community.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2017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받아수행된연구임(2017S1A3A2067778).

References

  1. 강경석 (2016). 분산적 리더십, 교사학습공동체, 교사의 교직헌신 간의 관계. 교사교육연구, 55(3), 350-362. doi:10.15812/ter.55.3.201609.350
  2. 강경석, 홍철희 (2008). 교사의 조직공정성 인식과 조직시민행동이 교사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교육행정학연구, 26(2), 287-315.
  3. 강정현, 권귀염 (2021). 유아 교사의 혁신유치원 근무 경험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25(2), 31-56. dol:10.32349/ECERR.2021.4.25.2.31
  4. 강종수 (2006). 조직문화가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45(-), 99-126.
  5. 고형일, 송정수, 장길상 (2011). 셀프리더십이 상사신뢰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관리연구, 18(1), 47-70.
  6. 교육부 민주시민교육과 (2018). 민주시민교육 활성화를 위한 종합계획. 세종: 교육부.
  7. 김보름 (2020). 한국과 북유럽국가의 청소년 시민의식 국제비교. 교사교육연구, 59(2), 161-176. dol:10.15812/ter.59.2.202006.161
  8. 김수진, 조준오 (2021). 유아교사의 유아교육기관 조직문화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멀티플라이어십의 매개효과. 유아교육학논집, 25(1), 5-30. doi:10.32349/ECERR.2021.2.25.1.5
  9. 김영은 (2011).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5(4), 98-115.
  10. 김현경, 김신영 (2015). 인권친화적 학교문화가 청소년의 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 시민교육연구, 47(2), 29-52. dol:10.35557/trce.47.2.201506.002
  11. 모경환, 김명정, 송성민 (2010). 한국 청소년의 시민의식 조사 연구. 시민교육연구, 42(1), 77-101. dol:10.35557/trce.42.1.201003.004
  12. 민영은, 정예주, 임민정 (2018).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조직문화가 교직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22(1), 109-129. doi:10.32349/ECERR.2018.2.22.1.109
  13. 박재춘, 김성환 (2017). 문화와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2017, 1-17.
  14. 박통희, 이현정 (2011). 감성역량과 공무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한국중앙정부의 공무원를 대상으로. 한국행정학보, 45(2), 1-25.
  15. 서근원 (2005). 교육공동체의 교육인류학적 재해석: 산들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8(2), 127-179.
  16. 서하아 (2019). 유아교사의 인권감수성과 유아교육 기관의 조직문화가 유아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석선화, 권미량 (2019). 유아교육공동체 형성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24(6), 181-210. dol:10.20437/KOAECE24-6-08
  18. 손환희, 노진형 (2021). 유아교사의 시민의식과 교육공동체 구현 실천행동이 민주시민교육 실행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7), 721-737. dol:10.22251/jlcci.2021.21.7.721
  19. 손환희, 정계숙, 박수홍 (2020). 학교 중심 교육공동체 구현을 위한 기반 요인 탐색: 혁신학교 교사면담을 중심으로. 교사교육연구, 59(4), 689-708. https://doi.org/10.15812/TER.59.4.202012.689
  20. 송현정 (2004). 현대 시민교육의 목표로서의 인권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신희정, 문혁준 (2013). 영아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어린이집 조직문화가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3), 291-308.
  22. 안지혜, 유현정 (2009). 보육교사가 지각한 조직문화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9(3), 25-40.
  23. 이쌍철, 허은정, 이호준 (2020). 학생 시민의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ICCS 2016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38(1), 53-78. dol:10.22553/keas.2020.38.1.53
  24. 이석열 (2020). 교사가 지각한 학교조직문화와 전문학습공동체가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38(4), 133-156. dol:10.22553/keas.2020.38.4.133
  25. 이수엽 (2016). 협력적 공론장의 가능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듀이 (J. Dewey)의 민주주의 이론을 중심으로. 언론문화연구, 23, 77-103.
  26. 이은상, 김유정, 박의현 (2018). 학교공동체의 비전 도출 과정 탐색: C 중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혁신연구, 28(4), 319-339. dol:10.21024/pnuedi.28.4.201812.319
  27. 이재무, 김형수 (2013). 어린이집 조직문화가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혁신자적 인지형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80, 65-83.
  28. 이종태 (1999). 한국교육평론 1998: 새 정부의 교육공동체 형성을 통한 교육개혁.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9. 이지연, 이효림, 정정희 (2017). 집단자존감과 기관풍토가 유아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22(6), 255-277. dol:10.20437/KOAECE22-6-12
  30. 이창원, 최창현, 최천근 (2012). 새 조직론. 서울: 대영문화사.
  31. 임원신, 이진화 (2013). 어린이집교사의 셀프리더십, 조직시민행동과 조직역량 간의 관계. 육아지원연구, 8(1), 285-304. dol:10.16978/ecec.2013.8.1.012
  32. 정계숙, 견주연, 박희경 (2015). 유아교육공동체 인식 척도 개발: 부모와 교사를 대상으로. 유아교육연구, 35(6), 95-116. dol:10.18023/kjece.2015.35.6.005
  33. 정계숙, 박화춘, 구신실, 김효정, 박희경, 손환희 (2018). 정(情)과 우리 의식에 기반한 따뜻한 교육공동체의 구현 방안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4), 849-873. doi:10.22251/jlcci.2018.18.849
  34. 정계숙, 박희경, 김지연 (2019). 유아교육 기관의 혁신문화와 교사의 유아교육공동체 구현 역량과의 관계: 원장과 동료교사와의 관계만족도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40(2), 87-99. dol:10.5723/kjcs.2019.40.2.87
  35. 정계숙, 손환희 (2020). 따뜻한 유아교육공동체 구축을 위한 개념모형 탐색. 생태유아교육연구, 19(3), 25-58. dol:10.30761/ecoece.2020.19.3.25
  36. 정계숙, 손환희, 박희경 (2019). 유아교사의 관계지향성 및 일체감과 교육공동체 구현 행동 실천과의 관계: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생태유아교육연구, 18(2), 199-218. dol:10.30761/ecoece.2019.18.2.199
  37. 정계숙, 윤갑정, 박희경 (2016). 따뜻한 유아교육공동체 형성을 위한 구성원의 공통 핵심 역량 요소 탐색. 교사교육연구, 55(2), 253-270. dol:10.15812/ter.55.2.201606.253
  38. 정계숙, 윤갑정, 박희경 (2017) 유아교육공동체 구현을 위한 교사 역량 척도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9), 1-28. dol:10.22251/jlcci.2017.17.9.1
  39. 정영수 (2004). 미래지향적 교육공동체 형성의 발향과 과제. 교육행정학연구, 22(1), 111-134.
  40. 정덕희 (2014). 보육교사가 어린이집에서 경험하는 인간관계의 양상. 아동교육, 23(1), 321-343.
  41. 조인숙 (2005). 보육 서비스 질과 보육시설 조직문화의 관계 분석.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2. 주영순 (2021). 청소년의 마을교육공동체 활동 참여에 대한 사례 연구 - 민주시민의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학교와 수업 연구, 6(1), 45-72. dol:10.23041/jsst.2021.6.1.003
  43. 장근영, 성은모, 모상현, 진성희, 최효선, 김균희 등 (2018).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연구V: IEA ICCS 2016- 총괄 보고서(연구보고 18-R15-1).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44. 한주희, 황원일, 박석구 (1997). 조직문화 인식 유형이 조직몰입 유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사.조직연구, 5(2), 95-134.
  45. 허혜경, 김혜수 (2011). 세계화 시대에 따른 시민의식 교육에 대한 청소년 및 교사의 인식 및 실태분석. 한국교육논단, 10(3), 1-20.
  46. 홍길회, 정혜진 (2013).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우울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1), 263-280.
  47.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48. Bickmore, K. (2005). Teacher development for conflict participation: Facilitating learning for 'difficult citizenship'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Citizenship and Teacher Education, 1(2), 2-16.
  49. Bogler, R. & Somech, A. (2004). Influence of teacher empowerment on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profess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school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0(3), 277-289. https://doi.org/10.1016/j.tate.2004.02.003
  50. Cameron, K. S., Quinn, R. E., DeGraff, J., & Thakor, A. V. (2006). Competing values leadership: Creating value in organizations. Northampton, MA: Edward Elgar Publishing.
  51. Fullan, M. (2017). The new meaning of educational change fifth edition, 학교개혁은 왜 실패하는가? (이찬승, 은수진 옮김). 서울: 21세기교육연구소(원판 2016)
  52. Giddens, A. (1999). Runaway word: The reith lectures revisited. New York: Globalization.
  53. Gruenert, S., & Whitaker, T. (2019). School culture recharged : Strategies to energize your staff and culture, 학교문화 리더십(주삼환, 이석열, 신붕섭, 김규태 옮김) 서울: 학지사(원판 2017).
  54. Hayes, A. F. (2019). Process for SPSS and SAS(Version 3.3) Macro. Retrieved from https://www.processmacro.org/download.html
  55. Kimberly J. P., & Quinn, R. E. (1984). Managing organizational transitions. Homewood, IL: Irwin.
  56. Lee, K., & Allen, N. J. (2002).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workplace deviance: The role of affect and cogni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7(1), 131-142. doi:10.1037/0021-9010.87.1.131
  57. Organ, D. W. (1997).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t's construct clean-up time. Human Performance, 10(2), 85-97. doi:10.1207/s15327043hup1002_2
  58. Podsakoff, P. M., MacKenzie, S. B., Paine, J. B., & Bachrach, D. G. (2000).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A critical review of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literature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Journal of Management, 26(3), 513-563. doi:10.1177/014920630002600307
  59. Rubba, P. A., & Rye, J. A. (1997). The views of four elementary teachers on the importance of modeling responsible citizenship action. Journal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9(2), 82-98. doi:10.1007/bf03173778
  60. Sashittal, H. C., & Jassawalla, A. R. (2002). Cultures that support product-innovation process. Academy of Management Perspectives, 16(3), 42-54. doi:10.5465/ame.2002.8540307
  61. Schein, E. H. (1985). Defining organizational culture. Classics of Organization Theory, 3(1), 490-502.
  62. Schein, E. H. (2010).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Sanfrancisco, CA: Jossy-Bass.
  63. Zammuto, R. F., & Krakower, J. Y. (1991).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of organizational culture. Research in Organizational Change and Development, 5, 83-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