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Field-specific Research Trends on Dream Start

드림스타트에 관한 분야별 연구동향 분석: 2008~2020년

  • 최은혜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유아교육과) ;
  • 황혜정 (경기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21.06.13
  • Accepted : 2021.08.10
  • Published : 2021.08.31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analyze former research papers regarding Dream Start according to academic field in an attempt to better understand their services and to present additional directions. Methods: The 66 research papers regarding Dream Start from 2008 to 2020 were analyzed by three categories: welfare, child care(education) and health. In each category, this research analyzed the research papers by year, research type, research subject and the research topic. Results: First, the research papers regarding Dream Start were most actively published between 2010 and 2017 and the number of research papers decreased after 2018. Second, the results regarding the type of study showed that quantitative studies were mostly performed in all, but the detailed methods used mainly differed. Third, the subjects of the study commonly included guardians. Fourth, the research topics were focused on business content, operations, and direction. Conclusion/Implic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welfare, child care(education) and health sectors need to make more efforts for balanced development, and integrated research and longitudinal studies are necessary. Second,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and nurses working in the Dream Start. Third, more research is needed for the integration and coordination of resource management.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2021학년도 경기대학교 대학원 연구원장학생 장학금 지원에 의하여 수행되었음.

References

  1. 강은정, 임성은 (2011). 건강영향평가를 통한 아동 복지서비스 개선: 청주시 드림스타트 센터사례.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8(1), 115-130.
  2. 김극명 (2011). 드림스타트 사업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서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선화 (2010). 드림스타트 연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정화, 송미령 (2014). 저소득 가정의 조기개입 프로그램 참여유무에 따른 영유아 발달 및 부모양육스트레스의 차이.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6), 123-141. doi:10.14698/jkcce.2014.10.6.123
  5. 김효진, 송미령 (2020). 빈곤가정의 학령기 자녀를 둔 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 궤적 및 예측요인: 드림스타트사업 참여자 중심으로. 아동과 권리, 24(1), 69-87. doi:10.21459/kccr.2020.24.1.69
  6. 아동권리보장원 아동권리본부 지역아동복지부 (2009). 드림스타트 사업소개. https://www.dreamstart.go.kr/contents/sub01_01_01.asp에서 2021년 3월 10일 인출
  7. 방소영, 최선희, 이수현, 황혜정 (2013). 저소득 가정 부모의 심리적, 행동적 특성이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양부모 가정과 한부모 가정의 비교.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5), 157-179. https://doi.org/10.14698/jkcce.2013.9.5.157
  8. 보건복지부 (2010). 2011 드림스타트 사업안내. 서울: 보건복지부.
  9. 보건복지부 (2013). 2013 드림스타트 사업안내. 서울: 보건복지부.
  10. 보건복지부 (2015). 2015 드림스타트 사업안내. 세종: 보건복지부.
  11. 보건복지부 (2019). 2019 드림스타트 사업안내. 세종: 보건복지부.
  12. 보건복지부 (2021). 2021 드림스타트 사업안내. 세종: 보건복지부.
  13. 손선옥, 정익중, 이봉주, 강경화 (2009). 통합적 아동복지서비스 수행평가지표 개발 연구: 드림스타트를 중심으로.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6, 29-54.
  14. 송미령, 홍승애 (2020). 저소득층 가정 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 문제행동 간의 상호인과적 관계에 대한 종단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1(6), 340-348. doi:10.5762/KAIS.2020.21.6.340
  15. 유해숙, 이현숙 (2014). 드림스타트사업의 효과성과 활성화 방안. 벤처창업연구, 9(2), 175-186. doi:10.16972/apjbve.9.2.201404.175
  16. 이상균 (2017). 드림스타트, 지난 10년의 성장과 향후 10년을 위한 과제. 한국아동복지학, 1(59), 115-150. doi:10.24300/JKSC.2017.09.59.115
  17. 장은정, 김현자 (2016). 드림스타트사업 관련 연구경향. 방과후아동지도연구, 13(2), 13-24.
  18. 장종화, 이상엽 (2012). 농촌지역 드림스타트사업의 프로그램 우선순위결정에 관한 연구 - AHP 방법론의 적용. 한국자치행정학보, 26(1), 45-62. https://doi.org/10.18398/KJLGAS.2012.26.1.45
  19. 조경진, 최정수, 박수경, 안선희 (2013). 저소득가정의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학교준비도 비교.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6), 51-72. https://doi.org/10.14698/jkcce.2013.9.6.051
  20. 조용남 (2015). 드림스타트 정책추진 과정 연구. 아동과 권리, 19(3), 389-422.
  21. 조용남 (2019). 저소득 가정 영유아의 조기개입 프로그램이 영유아 발달에 미치는 영향: 드림스타트대상 아동의 2년간의 변화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1(117), 1-20. doi:10.37918/kce.2019.07.117.1
  22. 조용란, 장종화 (2010). 드림스타트 사업의 추진 실태와 발전방향: 비교론적 시각 및 서산시를 중심으로. 한국비교정부학보, 14(2), 205-236. doi:10.18397/kcgr.2010.14.2.205
  23. 주상현, 조현호 (2009). 지방공공복지 서비스 전달체계의 현황과 발전방안: 드림스타트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보, 23(2), 287-308. doi:10.18398/kjlgas.2009.23.2.287
  24. 최인영 (2018). 제주시 드림스타트 사례관리 양육자의 변화 경험: 희망의 끈을 잡고 일어서다.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홍순혜, 정소연, 유영림, 김정인, 한정은 (2019). 드림스타트 사업의 성과, 성공요인 및 한계: 경기도 G시 사례에 대한 초점집단인터뷰 활용 질적연구. 한국아동복지학, 65, 89-122. doi:10.24300/jkscw.2019.03.65.89
  26. 홍승애, 송미령 (2019). 드림스타트 실무자의 조직건강성 인식 연구. 보건과 복지, 21(1), 7-25. doi:10.23948/kshw.2019.03.21.1.7
  27. 황혜정 (2014). 위스타트(We Start) 언어중재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및 활용에 관한 연구. 육아정책연구, 8(1), 153-179.
  28. Choi, J. Y., Ryu, D., Van Pay, C. K., Meacham, S., & Beecher, C. C. (2021). Listening to Head Start teachers: Teacher beliefs, practices, and needs for educating dual language learner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54, 110-124. doi:10.1016/j.ecresq.2020.08.005
  29. Kim, C., & Kara, C. H. (2021). The efficacy of child-teacher relationship training as an early childhood mental health intervention in head start programs. International Journal of Play Therapy, 30(2), 112-124. doi:10.1037/pla0000154
  30. United States (2016). Strengthening Head Start for current and future generations. Washington, DC: Committee on Education and the Workfo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