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2021학년도 경기대학교 대학원 연구원장학생 장학금 지원에 의하여 수행되었음.
References
- 강은정, 임성은 (2011). 건강영향평가를 통한 아동 복지서비스 개선: 청주시 드림스타트 센터사례.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8(1), 115-130.
- 김극명 (2011). 드림스타트 사업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서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선화 (2010). 드림스타트 연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정화, 송미령 (2014). 저소득 가정의 조기개입 프로그램 참여유무에 따른 영유아 발달 및 부모양육스트레스의 차이.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6), 123-141. doi:10.14698/jkcce.2014.10.6.123
- 김효진, 송미령 (2020). 빈곤가정의 학령기 자녀를 둔 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 궤적 및 예측요인: 드림스타트사업 참여자 중심으로. 아동과 권리, 24(1), 69-87. doi:10.21459/kccr.2020.24.1.69
- 아동권리보장원 아동권리본부 지역아동복지부 (2009). 드림스타트 사업소개. https://www.dreamstart.go.kr/contents/sub01_01_01.asp에서 2021년 3월 10일 인출
- 방소영, 최선희, 이수현, 황혜정 (2013). 저소득 가정 부모의 심리적, 행동적 특성이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양부모 가정과 한부모 가정의 비교.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5), 157-179. https://doi.org/10.14698/jkcce.2013.9.5.157
- 보건복지부 (2010). 2011 드림스타트 사업안내. 서울: 보건복지부.
- 보건복지부 (2013). 2013 드림스타트 사업안내. 서울: 보건복지부.
- 보건복지부 (2015). 2015 드림스타트 사업안내. 세종: 보건복지부.
- 보건복지부 (2019). 2019 드림스타트 사업안내. 세종: 보건복지부.
- 보건복지부 (2021). 2021 드림스타트 사업안내. 세종: 보건복지부.
- 손선옥, 정익중, 이봉주, 강경화 (2009). 통합적 아동복지서비스 수행평가지표 개발 연구: 드림스타트를 중심으로.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6, 29-54.
- 송미령, 홍승애 (2020). 저소득층 가정 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 문제행동 간의 상호인과적 관계에 대한 종단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1(6), 340-348. doi:10.5762/KAIS.2020.21.6.340
- 유해숙, 이현숙 (2014). 드림스타트사업의 효과성과 활성화 방안. 벤처창업연구, 9(2), 175-186. doi:10.16972/apjbve.9.2.201404.175
- 이상균 (2017). 드림스타트, 지난 10년의 성장과 향후 10년을 위한 과제. 한국아동복지학, 1(59), 115-150. doi:10.24300/JKSC.2017.09.59.115
- 장은정, 김현자 (2016). 드림스타트사업 관련 연구경향. 방과후아동지도연구, 13(2), 13-24.
- 장종화, 이상엽 (2012). 농촌지역 드림스타트사업의 프로그램 우선순위결정에 관한 연구 - AHP 방법론의 적용. 한국자치행정학보, 26(1), 45-62. https://doi.org/10.18398/KJLGAS.2012.26.1.45
- 조경진, 최정수, 박수경, 안선희 (2013). 저소득가정의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학교준비도 비교.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6), 51-72. https://doi.org/10.14698/jkcce.2013.9.6.051
- 조용남 (2015). 드림스타트 정책추진 과정 연구. 아동과 권리, 19(3), 389-422.
- 조용남 (2019). 저소득 가정 영유아의 조기개입 프로그램이 영유아 발달에 미치는 영향: 드림스타트대상 아동의 2년간의 변화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1(117), 1-20. doi:10.37918/kce.2019.07.117.1
- 조용란, 장종화 (2010). 드림스타트 사업의 추진 실태와 발전방향: 비교론적 시각 및 서산시를 중심으로. 한국비교정부학보, 14(2), 205-236. doi:10.18397/kcgr.2010.14.2.205
- 주상현, 조현호 (2009). 지방공공복지 서비스 전달체계의 현황과 발전방안: 드림스타트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보, 23(2), 287-308. doi:10.18398/kjlgas.2009.23.2.287
- 최인영 (2018). 제주시 드림스타트 사례관리 양육자의 변화 경험: 희망의 끈을 잡고 일어서다.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홍순혜, 정소연, 유영림, 김정인, 한정은 (2019). 드림스타트 사업의 성과, 성공요인 및 한계: 경기도 G시 사례에 대한 초점집단인터뷰 활용 질적연구. 한국아동복지학, 65, 89-122. doi:10.24300/jkscw.2019.03.65.89
- 홍승애, 송미령 (2019). 드림스타트 실무자의 조직건강성 인식 연구. 보건과 복지, 21(1), 7-25. doi:10.23948/kshw.2019.03.21.1.7
- 황혜정 (2014). 위스타트(We Start) 언어중재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및 활용에 관한 연구. 육아정책연구, 8(1), 153-179.
- Choi, J. Y., Ryu, D., Van Pay, C. K., Meacham, S., & Beecher, C. C. (2021). Listening to Head Start teachers: Teacher beliefs, practices, and needs for educating dual language learner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54, 110-124. doi:10.1016/j.ecresq.2020.08.005
- Kim, C., & Kara, C. H. (2021). The efficacy of child-teacher relationship training as an early childhood mental health intervention in head start programs. International Journal of Play Therapy, 30(2), 112-124. doi:10.1037/pla0000154
- United States (2016). Strengthening Head Start for current and future generations. Washington, DC: Committee on Education and the Workfo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