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Perceptions on Daycare Center Directors' Competence Based on the Q Methodology

Q 방법론을 활용한 어린이집 원장의 역량에 대한 인식 분석

  • 김평례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유아교육전공) ;
  • 박수경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학과)
  • Received : 2021.04.15
  • Accepted : 2021.08.08
  • Published : 2021.08.31

Abstract

Objective: This research examines the understanding of the competencies required from the director of a childcare center. It also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pabilities of a director of a daycare center.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competencies of a childcare center director? Seco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etencies of a childcare center director? Methods: In this study, the Q methodology was applied. First, the Q population was identified based on prior studies and through open questionnaires and in-depth interviews targeting 71 teachers and directors of childcare centers. Next, 40 Q samples were selected. Second, P samples were selected targeting the 30 directors, Q sort was conduct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QUANL program. Result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ur types of competencies were demanded from the director of a daycare center. Second, the competencies required from the director of a daycare center were accountability-centered, functional-management-centered, human-relationshipcentered, and rationality-centered capabilities. Conclusion/Implications: The policy-level of and educational ways to support the competencies of a director of a daycare center were discussed.

Keywords

References

  1. 강민정, 김효단, 김경철 (2016). 유아교육 교육역량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21(3), 149-173. doi:10.20437/KOAECE21-3-06
  2. 강미숙, 이승은, 송승민, 김수지 (2019). 가정어린이집 원장이 경험하는 운영의 어려움에 대한 질적연구. 인간발달연구, 26(3), 117-137. doi:10.15284/kjhd.2019.26.3.117
  3. 강영숙 (2014). 어린이집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고은미 (2017).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 교육요구에 따른 현직 교육 과정 분석. 신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구수현 (2011). 보육시설장의 신규 직무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국립국어원 (n.d.). 표준국어대사전 자료.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에서 2021년 7월 13일 인출
  7. 권기룡 (2009). 직무의 자율성이 혁신적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부하의 주도적 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권선영, 김명소 (2014). 직업 소명의 구성 개념과 소명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을 위한 질적 연구. 청소년학연구, 21(6), 393-420.
  9. 권현서 (2009). 정담임-정담임 팀티칭제에 대한 보육교사의 갈등과 불안.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남이 (2015). Q 방법론을 활용한 학교폭력의 무관용 원칙에 대한 인식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김동원 (2012). 중등학교장의 핵심역량 지표개발 및 역량 수준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김미경, 박수진 (2019).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리더십 역량, 교사의 교직헌신, 부모 만족도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23(2), 23-42. doi:10.32349/ECERR.2019.4.23.2.23
  13. 김보경, 이경님 (2016). 원장의 코칭리더십과 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15(1), 109-133.
  14. 김선미 (2008). 가정보육시설 영유아보육 정책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대전광역시 가정어린이집을 중심으로. 대전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선희, 이완정 (2020). 어린이집에서의 인간관계가 직무몰입을 매개로 보육민감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6(6), 233-252. doi:10.14698/jkcce.2020.16.06.233
  16. 김성철 (2007). 노인복지관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36, 249-268. doi:10.21194/kjgsw..36.200706.249
  17. 김숙미, 부성숙 (2014). 기관 유형별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수행인식,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발도르프교육연구, 6(1), 1-18.
  18. 김신정 (1997). 영유아를 위한 어머니의 건강증진 행위: Q 방법론적 접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김은영 (2019). 2019 개정 누리과정 이해와 실천.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54-79.
  20. 김은설, 최윤경, 김문정 (2011). 보육인력 전문성 제고를 위한 보육교사 자격 제도 개선 방안. 한국교원교육연구, 28(3), 265-286. doi:10.24211/tjkte.2011.28.3.265
  21. 김은주, 이영경, 연희정 (2014).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전통육아에 대한 이미지 분석: Q방법론적 접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5), 273-298. doi:10.14698/jkcce.2014.10.5.273
  22. 김정희 (2007). 유아교육기관장의 직무에 대한 인식. 경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김정희, 정희정 (2017). 영아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른 원장역량, 영아-교사관계, 코칭역량의 차이. 아동교육, 26(2), 5-22. doi:10.17643/KJCE.2017.26.2.01
  24. 김하나 (2014). 성인 직장인의 소명의식과 직무만족과의 관계: 소명실행과 내적 동기를 매개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김현미 (2005). 보육교사의 직무환경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김혜미 (2016). 수학문제해결 역량 평가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김혜정 (2006).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보육시설장의 인간관계가 업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김흥규 (2008). Q 방법론: 과학철학, 이론, 분석, 그리고 적용.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9. 류영희 (2021). 어린이집 시설유형 및 운영상의 특성이 보육서비스 질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문복진 (2014). 유치원 교원의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직무연수 모형 개발 및 프로그램 운영방안.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박수진 (2016). 델파이 조사를 통한 유아교육기관 원장 리더십 역량 진단 도구 개발 및 원장의 리더십, 교사의 교직헌신, 부모의 만족도 관계. 총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2. 박수진, 김미경 (2017). 한국.미국.영국의 유아교육기관 원장리더십역량 교육체계 비교분석. 비교교육연구, 27(4), 255-283. doi:10.20306/kces.2017.27.4.255
  33. 박주현, 유성경 (2012). 대학생의 소명과 진로태도 성숙과의 관계에서 진로 결정 자기 효능감 및 일 희망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3(2), 543-560. doi:10.15703/kjc.13.2.201204.543
  34. 박혜경 (2012). 유치원 교사의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 유아교육학논집, 16(6), 189-211.
  35. 박창현, 박찬옥 (2012). 유아교육기관장의 운영능력, 유아교사의 역량, 교육과정 실행 간의 구조적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6(3), 245-270.
  36. 성희창 (2018). 교사의 소명의식 형성과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신현석, 오찬숙 (2013). 교원 현직연수 연구동향 분석: 연구 영역, 주제 및 연구 방법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30(3), 431-462. doi:10.24211/tjkte.2013.30.3.431
  38. 심예린, 유성경 (2012). 한국판 소명 척도(CVQ-K)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4), 847-872.
  39. 양진영 (2005). 불안정고용 시대의 경력개발유형과 심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0. 오교선, 공인숙 (2016). 어린이집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조직문화와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2(1), 187-202. doi:10.14698/jkcce.2016.12.187
  41. 이미애 (2014).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자기 효능감 척도 개발. 신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2. 이승희 (2017). 원장-교사 파트너십에 대한 보육교사의 주관적 태도 분석: Q방법론 중심으로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이정아, 양연숙 (2019). 가정어린이집 원장이 느끼는 운영의 어려움. 사회과학논집, 37(2), 69-100.
  44. 이원지, 정지현 (2018). 어린이집 내 갈등전략이 어린이집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 191-214. doi:10.22251/jlcci.2018.18.1.191
  45. 이재풍, 이경희 (2018).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 유형과 직무만족,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교사 효능감의 매개효과. 사회복지경영학회지, 5(2), 327-359.
  46. 임성진, 조혜진 (2012). 어린이집 주임교사의 갈등관리 유형과 조직효과성과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4), 185-206.
  47. 유영의 (2011). 미국과 캐나다의 유아 교사 핵심 역량 분석과 교육적 시사. 교육사상연구, 25(2), 153-177. doi:10.17283/jkedi.2011.25.2.153
  48. 윤은자 (1995). 간호단위 관리자의 전문 간호 이미지 연구: Q 방법론적 접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9. 윤석정 (2014). 리더는 강한 추진력과 판단력 가져라: 주민이 마을 일 주도할 수 있는 분위기 조성에 노력. 월간주민자치, 33, 103-107.
  50. 조운주 (2011). 유아교육기관 원장이 인식한 리더십의 특성 및 갈등. 육아지원연구, 6(2), 5-27. doi:10.16978/ecec.2011.6.2.001
  51. 정정희 (2008). 유치원장의 리더십 역량, 변혁적 리더십 수준 및 상호관계 분석. 경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2. 조혜진 (2012). 유아교육기관장의 직무역량 분석 연구. 유아교육연구, 32(5), 471-494. doi:10.18023/kjece.2012.32.5.022
  53. 조혜진, 김수연 (2013). 어린이집 신규원장의 직무역량 교육요구에 따른 직무 교육과정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8(2), 199-220.
  54. 조혜진, 김옥주 (2013). 유치원 원장의 직무역량 교육요구와 직무연수과정 분석. 유아교육연구, 33(2), 297-319. doi:10.18023/kjece.2013.33.2.014
  55. 보건복지부 (2020. 8). 제 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해설서. http://www.mohw.go.kr/upload/viewer/skin/doc.html?fn=1597996508022_20200821165532.pdf&rs=/upload/viewer/result/202107/에서 7월 13일 인출
  56. Amabile, T. M., Hill, K. G., Hennessey, B. A., & Tighe, E. M. (1994). The work preference inventory: Assessing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al orient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6(5), 950-977. doi:10.1037/0022-3514.66.5.950
  57. Cebrian, G., & Junyent, M. (2015). Competencies in education for substainable development: Exploring the student teachers' views. Substainability, 7(3), 2768-2786. doi:10.3390/su7032768
  58. Jeon, L., Buettner, C. K., & Grant, A. A. (2017). Early childhood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Exploring potential predictors of depression, stress, and emotional exhaustion.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29(1), 1-17. doi:10.1080/10409289.2017.1341806
  59. Dubois, D., Shadden, M., Kaufman, R., & Brethower, D. (2000). The competency casebook: Twelve studies in competency-based performance improvement. Performance Improvement, 39(1), 37-40. doi:10.1002/pfi.4140390113
  60. Hakim, A. (2015). Contribution of competence teacher on the performance of learning.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Engineering And Science, 4(2), 1-12.
  61. Hall, D. T., & Chandler D. E. (2005). Psychological success: When the career is a calling.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6(2), 155-176. doi:10.1002/job.301
  62. Kaga, Y., Bennett, J., & Moss, P. (2010). Caring and learning together: A cross-national study of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nto education. Paris: UNESCO.
  63. McClelland, D. C. (1973).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28(1), 1-14. doi:10.1037/h0034092
  64. Mirabile, R. J. (1997). Everything you wanted to know about competency modeling. Training and Development, 51(8), 73-78.
  65. Seligman, M. E. P. (2006). Authentic happiness: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긍정 심리학(김인자 옮김). 경기도: 물푸레(원판 2004).
  66. Strohmer, J., & Mischo, C. (2016). Does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foster professional competencies? Professional competencies of beginners and graduates in different education tracks in Germany.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86(1), 42-60. doi:10.1080/03004430.2014.985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