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Firstly, our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TVET) ODA currently uses 70% of its budget on short-term assistance project works without much consideration for continuity from one project to another. Secondly, TVET ODA budget is much too concentrated on hardware support, lowering impact compared to the amount invested. Lastly,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needs of recipient nation which leads to lowering effectiveness of TVET ODA.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s TVET ODA through the statistical data analysis of ODA. This study's main focus is to recommend methods for Korean colleges to overcome tendencies and limitations of TVET within Korea's ODA. Colleges have advantages in training students to fit needs of the market and companies based on decades of experience colleges have on academic-industrial collaboration. Colleges can also transfer qualification verification systems to fit the recipient country and dispatch TVET related personnel to strengthen software support. Additionally, the post project evaluation and post job placement management capabilities of colleges can be actively used for post management of TVET projects. I hope that through this study, ways to increase participation of colleges in TVET ODA can be discussed in more variety.
현재 우리의 직업교육훈련(TVET) ODA는 첫째, 단기 프로젝트 성 지원사업에 전체 TVET 예산의 70%가 사용되어 프로젝트 간의 연계성이 떨어지고 있다. 둘째, TVET ODA 예산이 하드웨어 지원사업에 편중되어 투자 대비 파급효과가 낮고, 마지막으로, 사업 시작 전 수원국 내의 수요조사가 미흡하여 TVET 사업의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는 ODA 사업의 통계자료 분석을 통해 한국의 TVET ODA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TVET ODA의 경향성과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국내 전문대학의 참여방안을 제시하였다. 전문대학은 오랜 산학협력을 통해 쌓아온 경험을 바탕으로 수원국 현지 수요와 기업의 요구사항에 적합한 맞춤형 인재를 양성하는 데 유리하다. 또한, 국내에서 시행 중인 자격검증제도를 현지에 이식하고, TVET 관련 인력을 파견함으로써 소프트웨어 지원을 강화할 수 있다. 한편, 전문대학이 가진 사업별 사후평가와 취업 후 관리에 대한 역량이 TVET 사업의 사후관리에도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더욱 다양한 전문대학 참여방안이 논의되기를 희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