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Ginseng in "The Veritable Records of King Sejong"

『세종실록』을 통해 본 고려인삼

  • Received : 2020.12.09
  • Accepted : 2021.01.23
  • Published : 2021.03.15

Abstract

Korean ginseng is the one of the most famous medicinal herbs globally and has long been a representative item of East Asian trade, including across China and Japan. Since Joseon (1392-1910) ginseng trade was entirely controlled by the state, The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are a valuable resource that can shed light on the history of the ginseng industry at that time. By studying the subsection "The Veritable Records of King Sejong" (世宗實錄), when ginseng was used even more widely, we assess the purpose and scale of its trade in the 15th century, identify its original listing in the geographical appendix, develop a distribution map, and explore similarities to current ginseng cultivation areas.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1418-1450), ginseng was sent to China as a tribute 101 times, with a combined weight of 7,060 kilograms, with less than one-third of that amount given to Japan and Okinawa. It was used to cover the travel expenses of foreign envoys and servants, but this can be seen to gradually decrease after the regnal mid-term, primarily due to a decrease in the amount of ginseng being collected. At the time, there were 113 areas of naturally growing ginseng as listed in the records' geographical appendix, including 12 recorded in the 'tributes' category: Yeongdeok-gun, Yeongju, and Cheongsong-gun in Gyeongsangbuk-do; Ulju-gun and Ulsan in Gyeongsangnam-do; Jeongeup, Wanju-gun, and Jangsu-gun in Jeollabuk-do; Hwasun-gun in Jeollanam-do; Goksan-gun and Sinpyeong-gun in Hwanghaebuk-do; Jeongju and Taecheon-gun in Pyeonganbuk-do; and Jaseong-gun and Junggang-gun in Jagang-do. A total of 101 places are recorded in the 'medicinal herbs' category, located throughout the mountains of the eight Joseon provinces, except the islands. In comparison with current ginseng cultivation sites, many of these historical areas are either consistent with or adjacent to contemporary locations. The geographical appendix to "The Veritable Records of King Sejong" was compiled in the early days of the king's reign (1432) when there was a lot of wild ginseng. The appendix is a valuable resource that indicates the possibility of growing ginseng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future. The apparently natural habitats in the south, where ginseng is not currently cultivated, could be candidates for the future. Moreover, areas in the north where ginseng has not been grown, except Kaesǒng, could be a good alternative under sustainable inter-Korean exchange should cultivation sites move north due to climate warming.

고려인삼은 대한민국의 대표적 특산 약용작물로 오래전부터 중국·일본을 비롯한 동아시아 교역에서 대표적인 품목이었다. 조선의 인삼 교역은 국가가 전적으로 통제한 공무역이었으므로 『조선왕조실록』은 조선의 삼업 역사를 조명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역대 실록 중 인삼이 월등히 많이 쓰인 『세종실록』을 통하여 15세기 당시 고려인삼의 교역이 어떤 용도와 규모로 이루어졌는지 알아보고 『세종실록』 지리지에 기재된 당시 인삼의 자생지를 찾아 그 분포를 지도상에 표시해 보았다. 세종 재위 기간(1418~1450) 인삼을 중국에 진헌품으로 보낸 횟수는 101회, 규모는 11,000근(7,060.9kg1))으로 압도적인 교역량을 자랑하며, 일본과 유구국에도 예물 및 답례품으로 보냈으나 명 교역의 3분의 1이 안되었고 기타 외국 사절과 신하에게 하사하거나 유학생의 여비로 쓰이기도 했다. 재위 연도별로 보면, 중기 이후에 점차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채삼량 감소가 주된 원인으로 보인다. 『세종실록』 지리지에 기재된 당시 고려인삼의 자생지는 공물(土貢) 항목에 기록된 12곳-지금의 경북 영덕군, 영주시, 청송군/경남 울산시 울주군/전북 정읍시, 완주군, 장수군/전남 화순군/황북 곡산군·신평군/평북 정주시 일대, 태천군/자강도 자성군·중강군-과 약재(藥材) 항목에 기록된 산지 101곳 등 총 113개 지역으로, 도서지방을 제외한 조선 8도 전역에 걸쳐있었는데 모두 산을 끼고 분포하고 있었다. 또한, 현재 인삼재배지와 비교해 본 결과, 대체로 자생지와 일치하거나 인접한 지역이었다. 야생삼이 많이 나던 세종 재위 초(1432년)에 편찬된 『세종실록』 지리지의 이와 같은 기록들은 향후 한반도 인삼, 특히 산양삼 재배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온난화로 인하여 인삼 재배지가 점차 북쪽으로 이동하는 이때, 역사 기록에 나타나는 북한의 자생지는 산양삼 재배의 좋은 후보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舊韓國地方行政區域名稱一覽)(조선총독부, 1912)
  2.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 제5책(冊): 세종실록 제4부(권115-155) 영인본, 1956
  3. 김택영, 소호당집(韶濩堂集), 1916, 서울대 규장각 소장
  4. 이행.홍언필,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1530, 서울대 규장각 소장
  5. 일본 규슈 개황, 외교부, 2008
  6. 충남일보 2020.5.30.: 임성만, 충남 부여에 세계 최대의 인삼공장이 있는 이유
  7. 충남일보 2020.10.19.: 임성만, 인삼재배는 언제 어디서 시작했을까?
  8. 강우방 외, 한국 미의 재발견 - 용어 모음, (솔출판사, 2008)
  9. 강원도민일보, 강원향토대관, (강원도민일보사, 1999)
  10. 국토지리정보원, 한국지명유래집 경상편, (2011)
  11. 권상로, 한국지명연혁고(韓國地名沿革考), (동국문화사, 1961)
  12. 김영표 외 2인, 한반도 산맥체계 재정립 연구- 산줄기 분석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2004)
  13. 목성균, 북한 인삼재배 현황과 남북협력사업 추진 방향, 제3회 통일약학심포지엄 프로시딩, (서울대 통일약학센터, 2019.6.26.)
  14. 문천군지편찬위원회, 문천군지, (1988)
  15. 朴平植, 朝鮮前期商業史硏究, (지식산업사, 1999)
  16. 朴平植, 朝鮮前期의 人蔘政策과 人蔘流通, 한국사연구 143, 2008
  17. 朴平植, 朝鮮初期의 對外貿易政策, 한국사연구 125, 2004
  18. 서인원, 조선초기 지리지 연구, (혜안, 2002)
  19.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한국 고전용어사전, (2001)
  20. 소순규, 世宗實錄地理志를 통해 본 朝鮮初 貢物 分定의 실제와 특성 : 厥貢.土貢.土産 항목의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사연구 161(2013)
  21. 신정일, 신정일의 새로 쓰는 택리지 6 : 북한, (다음생각, 2012)
  22. 양정필.여인석, 삼국-신라통일기 인삼생산과 대외교역, 의사학 13(2), 2004
  23. 양태진, 달라진 북한 땅 이름 이야기, (백산, 2008)
  24. 오치 다다시치(越智唯七), (신구대조)조선전도부군면리동칭일람(新舊對照朝鮮全道府郡面里洞名稱一覽), (중앙시장, 1917)
  25. 오홍석, 땅 이름 점의 미학, (부연사, 2008)
  26. 이경록, 조선전기의 의료제도와 의술, (역사공간, 2020)
  27. 이경식, 조선초기 북방개척과 농업개발, 역사교육 52(1992)
  28. 이긍익,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1911(민족문화추진회, 1966)
  29. 이기봉, 고지도를 통해 본 충청지명연구1,2, (국립중앙도서관, 2012)
  30. 이태진, 16세기 국제교역의 발달과 서울상업의 성쇠, 서울상업사, (태학사, 2000)
  31. 장일무, 한국인삼산업사, ((주)한국인삼공사, 2018)
  32. 정두희, 조선초기 地理志의 편찬(I), 歷史學報 69(1976)
  33. 정순기, 조선어학전서36. 조선지명변천에 대한 력사문헌학적 연구,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2005)
  34. 제천시지편찬위원회, 제천시지, (2004)
  35.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약전위원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약전 제8판,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18)
  36. 통일부, 북한지지요람(北韓地誌要覽), (1993)
  37. 평안북도지편찬위원회, 평안북도지, (1973)
  38. 한국약학교육협의회, 한국약학사, 약업신문, 2017
  39. 한국인삼사편찬위원회, 한국인삼사증보판, ((주)한국인삼공사, 2002)
  40.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96)
  41. 한국 평화문제연구소, 조선향토대백과, (조선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08)
  42. 한의학대사전 편찬위원회, 한의학대사전, (2001)
  43. 개성 인삼 농협, http://www.ginsam.com
  44. 고성군청, http://www.gwgs.go.kr
  45.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y.go.kr
  46. 규장각원문검색서비스, http://kyudb.snu.ac.kr/book/
  47. 두산백과
  48. 영주(풍기) 인삼박물관, http://yeongju.go.kr
  49. 포천 인삼 영농 조합, http://www.pocheoninsam.com
  50.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51. 한국한의학연구원(KIOM) 제공(2011), https://blog.naver.com/kiompr/90112629489
  52.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디지털영주문화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