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icroscopic Analysis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Use of the Rice Bran Excavated from Tomb No. 3 in Daeri-ri, Uiseong

의성 대리리 3호분 출토 쌀겨의 현미경적 분석을 통한 용도 추정

  • 강정무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박물관) ;
  • 전아라 (국립경주박물관)
  • Received : 2020.03.30
  • Accepted : 2020.05.10
  • Published : 2020.05.31

Abstract

The excavations of Tombs Nos. 2 and 3 in Daeri-ri, Uiseong within the tomb complex on Geumseongsan Mountain revealed grayish-white organic matter of an undetermined shape and use beneath some horse tack. Stereoscopic examination revealed the matter to be decayed rice bran. That the matter was found spread beneath a saddle and the findings of microscopy suggest that the rice bran was used as filler for a saddle cloth that was placed underneath the saddle to reduce the friction between the saddle and the horse. The exact shape and composition of the filler are difficult to verify due to the lack of related organic matter other than the rice bran. Further discovery of rice bran along with horse tack in different situations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more closely investigate the precise uses of the rice bran found in ancient tombs.

금성산 고분군에 위치한 의성 대리리 2·3호분의 발굴조사 과정에서 마구류 주변으로 형태와 용도를 추정하기 어려운 회백색의 유기물이 확인되는 바, 회백색 유기물에 대한 실체현미경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회백색의 유기물은 백화된 쌀겨 부식물임을 확인하였다. 마구류, 특히 안장의 아래에서 전면적으로 깔려 출토된 정황과 분석 결과를 근거로 용도를 추정해 본 결과, 안장 아래에 놓여서 말등과의 마찰을 줄이는 안장깔개의 충진재로 쌀겨가 사용되었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충전재인 쌀겨를 제외한 상호관계의 유기물이 남아있지 않아 정확한 형태와 구조는 확인할 수 없으나 본 연구를 통해 쌀겨가 마구류와 함께 출토된 사례가 다양하게 보고된다면 쌀겨의 정확한 용도에 대해 면밀히 검토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정무, 이현정, 삼국시대 연안(軟鞍)의 인식 再考-'철제 안장틀'에 대하여-, 신라사학회 제116회 학술발표회, (2012).
  2. 경북대학교박물관, 의성 대리리 3호분, 경북대학교박물관, 대구, (2006).
  3.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의성 대리리 2호분 I-A봉토- ,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대구, (2012).
  4. 영남대학교박물관, 황남동고분발굴조사개보, 영남대학교박물관, 대구, (1975).
  5. 이현정, 의성 대리리 3호분 2곽 출토 마장의 복원, 의성 대리리 3호분, p235, 경북대학교박물관, 대구,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