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Wrapping Cloth with Cloud and Treasures Pattern Donated by the Head House of the Descendants of Lee Hangbok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Dating and Analysis of the Cloud and Treasures Pattern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이항복 종가 기증 운보문단 보자기 무늬의 특징과 연대추정

  • Hwang, Jinyoung (Department of Conservation Science, National Museum of Korea)
  • 황진영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 Received : 2020.04.09
  • Accepted : 2020.05.12
  • Published : 2020.05.31

Abstract

The wrapping cloth with Cloud and Treasures Pattern donated by the head house of the descendants of Lee Hangbok (1556-1618)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underwent conservation treatment for its protection and display. It was then compared with other ancient fabric objects for dating and analysis of the design. The subjects of Cloud and Treasures Patterns of clothing excavated from tombs dated to some point between the birth and death of Lee Hangbok and with Cloud and Treasures Patterns on the covers of Uigwe copies from the same period from the late 16th and 18th centuries were compared. The results of comparison with relics with clear dating are as follows: First, The Cloud and Treasures Patterns on the late 16th and 17th centuries the differences in the proportion between the head and the tail of the cloud among. Second, the Cloud and Treasures Patterns on the covers of Uigwe copies and fabrics excavated from tombs dated no later than the early 1700s share similarities with the Cloud and Treasures Pattern on the donated wrapping cloth in terms of the arrangement and size of designs and the proportion between each portion of the design. Though the study failed to identify the exact use of the wrapping cloth, it was estimated to be produced in early 18th century when the portraits of Lee Hangbok were copied.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운보문단 보자기(증9393) 유물의 전시와 안전한 보호를 위한 보존처리를 실시하였다. 이후 보존 처리한 직물 무늬의 시대를 추정하기 위하여 함께 기증 된 이항복(1556-1618)의 17세기 활동시기와 후모본(後模本) 초상화의 제작시기인 18세기의 유물과 비교하여 운보문단 보자기 무늬의 구성과 연대를 추정하였다. 운보문단의 시대 추정을 위해 시대가 확실한 유물과 비교한 내용을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항복의 생몰년(1556-1618)을 기준으로 유사한 시기의 출토복식과 의궤의 표지의 무늬와 비교하였으나 운두와 꼬리크기의 비율에서 확연히 차이가 보여 이항복의 생몰년 대에 제작한 직물로는 추정되지 않다고 판단되었다. 둘째, 이항복의 호성공신과 위성공신 초상 후모본의 제작시기인 18세기 운보문단 직물 무늬와 비교한 결과 가장 유사한 1702년 『숙종인원왕후가례도감의궤』 표지의 운보문단이 확인 되었으며, 이외 1730년대까지의 의궤표지와 출토직물에서 배열, 크기, 비율 등 유사한 구성양식을 나타내고 있었다. 보자기의 정확한 용도는 확인 할 수 없었지만 함께 기증 된 후모본 초상화와 유사한 18세기 초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황진영, 황소정, 박승원, 유경종(柳慶宗1565년-1623년)묘 출토복식 고찰, 박물관보존과학 제15집, p44, (2014).
  2. 이은주, 외규장각 의궤 책의 문양을 통한 운보문 편년 설정 방법, 문화재 Vol. 52 No. 4, p18-37, (2019). https://doi.org/10.22755/KJCHS.2019.52.4.18
  3. 국립중앙박물관편, 외규장각 의궤의 장황, 국립중앙박물관, 서울, p88-115, (2014).
  4.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편, 조선시대 피륙의 무늬, 석주선기념박물관, 서울, (2002).
  5. 국립문화재연구소 편, 우리나라전통무늬1-직물, 눌와, 서울, p374, (2006).
  6. 이은주, 김미경, 선조대(宣祖代) 공신초상(功臣肖像)의 복식 고찰, 문화재 Vol. 52 No. 1, p120-147, (2019). https://doi.org/10.22755/KJCHS.2019.52.1.120
  7. 김민정, 朝鮮時代 出土服飾에 나타난 雲 .雲寶紋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47, (2002).
  8. 경기도박물관편, 전주이씨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 경기도박물관, 용인, p177, (2001).
  9. 박성실, 서울 상암동 출토 전주이씨 밀창군 복식 고찰, 한국복식 22호 , p134,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