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the Learning Participation Motive Effect on Servant Leadership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nse of Community : Focused on Church Family Ministry Program Participants

학습참여동기가 서번트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과 공동체 의식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 교회 가정사역 프로그램 참여자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20.11.30
  • Accepted : 2020.12.26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wteen the learning participation motive effect on servant leadership in the church family ministry program and the sense of community. First, analyizing previous studies, a structural model was developed. Then, in the effort of verifying the structural model, 607 responses out of 700 questionnaires distributed into nationwide churches and institutes participating in church family ministry program were collected as target data. Informations on learning participation motive, servant leadership, and sense of community were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s after the church family ministry program. In order to stud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ant leadership effect on learning participation motive and the sense of commun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structure equation model analylsis. As a result, the structural model this study suggested was found proper. Accordingly, it was verified that the sense of community carrying the effect of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es, two of learning participation motives, affected servant leadership. Also, it was verified that the subfactors of the sense of community played important role in enhancing servant leadership in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participating motive and servant leadership. Therefore, in church family ministry program, it can be suggested that moderating sense of community under the consideration of participants'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es makes moderating the level of learning participation motive possible.

본 연구는 교회 가정사역 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참여동기가 서번트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과 공동체 의식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먼저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구조모형을 구성하였다. 구조모형 검증을 위해 전국의 교회 및 단체에서 실시하는 교회 가정사역에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부부를 대상으로 배포한 설문지 700부 중 607부를 대상 자료로 수집하였다. 자료수집은 교회 가정사역 이후 학습참여동기, 서번트 리더십, 공동체 의식을 설문지를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학습참여동기에 대한 서번트 리더십의 영향과 공동체 의식의의 구조적 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구조적 모형이 타당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에 학습참여 동기 가운데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의 영향을 공동체 의식이 매개하여 서번트 리더십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서번트 리더십의 영향을 공동체 의식이 매개하는 경로가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에 교회 가정사역을 운영할 때, 참여자들의 내재적 참여동기와 외재적 참여동기를 고려하여 공동체 의식을 조절한다면 학습참여동기의 수준을 조절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은희 (2008). 통전적 목회 리더십 연구.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백석대학교.
  2. 강성무 (2019). 공동체의식과 관계혜택이 장기적 관계지향에 미치는영향: 소비자-기업동일시 및 고객만족을 매개로.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3. 국립국어연구원 (2000). 표준국어대사전. 서울: 두산동아.
  4. 김경아 (2015). 마을평생교육 학습자의 참여특성에 따른 공동체의식에 관한연구.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5. 김경준.김성수 (1998). 지역사회 주민의 공동체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발전학회, 23(2), 211-232.
  6. 김나영.강정은 (2011). 여성 평생교육참가자의 참여동기, 기관의 지원, 만족도, 학습성과 간의 관계 규명.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12). 958-968. https://doi.org/10.5392/JKCA.2011.11.12.958
  7. 김명기 (1996). 가정사역을 통한 교회 성장 계획.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Fuller Theological Seminary.
  8. 김문훈 (1998). 가정사역 프로그램을 통한 치유목회.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고신대학교.
  9. 김상복 (1997). 목회자의 리더십. 서울: 도서출판 엠마.
  10. 김성길 (2018). 인구절벽과 고령사회 위기에서 평생배움의 미래지향적 실천. 미래교육연구, 8(3). 45-62.
  11. 김수현 (2006). 가족생활교육프로그램 평가도구의 개발과 적용.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2. 김영인 (2002). 정치참여의 시민교육효과에 관한 연구.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3. 김용래 (2000). 성인 학습동기척도와 성인적응척도의 타당화 및 두 척도 변인간의 관계분석. 교육연구논총, 17, 3-37.
  14. 김용래 (1993). 학업성적에 대한 기여변인의 영향력 분석.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15. 김우환 (1993). 교회성장을 위한 가정사역에 관한 연구: 부모교육을 중심으로.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총신대학교.
  16. 김찬자 (1999). 신혼부부를 위한 가정사역 프로그램 연구.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서울신학대학교.
  17. 김효숙 (2014). 미디어 이용, 사회자본, 사회정치적 참여의도의 관계: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홍보학연구, 18(4), 61-83.
  18. 노재경 (2010). 기독교 부교역자의 팔로어십과 성격 특성이 섬김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19. 류승하 (1996). 부부의 갈등해소양식 변화에 미치는 의사소통 기술훈련과 신념변화 훈련의 효과.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20. 모의회 (2002). 자기존중감과 의사소통훈련을 통한 부부 적응집단 상담프로그램의 개발. 한국 가족치료학회지, 10(2). 45-73.
  21. 박가나 (2008). 청소년 참여 활동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효과.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2. 박선경 (2011). 평생학습공동체 형성과정의 생태학 연구.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23. 박윤희 (2011). 중소기업 HRD 담당자의 직업능력개발에 대한 인식과 정책적 함의.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3(1), 51-86.
  24. 설은주 (2005). 평생교육의 장을 만들자. 기독교사상, 49(5), 46-59.
  25. 성상모 (2012). 담임목사의 Servant Leadership이 부교역자의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안양대학교.
  26. 신성훈 (2013). 한국 지역사회교회시기별 평생교육활동 특성.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27. 심주현 (2015). 지역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평생교육 참여 특성에 관한 연구. 미출판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28. 안승범 (1993). 가정 공동체 회복을 위한 가정목회에 관한 연구.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총신대학교.
  29. 연지연 (2015). 기독교 목회자의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과 교수 역량, 교회의 학습 조직문화, 성도의 신앙성숙도와 서번트 리더십 간의 구조적 관계.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30. 원요한 (2004). 지체장애인 부부들을 위한 부부관계증진 훈련프로그램의 개발과 그 효과.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경성대학교.
  31. 유경훈 (2009). 내.외재동기와 자기결정성 동기가 창의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창의력 교육연구, 9(2), 69-88.
  32. 윤서구 (2019). 신앙성숙도와 사회복지의식에 관한 연구: 목회자의 서번트 리더십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칼빈대학교
  33. 이동주 (2004). 온라인 수업에서 학습자들의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공동체의식형성에 관한 고찰. 교육공학연구, 20(3), 53-73.
  34. 이라영 (2009). 공동주택 단지의 공동체의식과 외부 공간구성.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35. 이숙자 (2010).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36. 이은철 (2017). 원격교육에 대한 성인 학습자의 집중 및 흥미 수준에 대한연구: 방송통신고등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기독교교육논총, 50, 319-349.
  37. 이임순 (2020). 중년기 여성학습자의 생활사건 경험, 학습참여 동기와 삶의 의미 간의 관계: 관계성의 조절 효과.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38. 이정관 (2010). 교회교육 과정으로써의 가정사역 실행 계획, 신학과 실천, 24(2), 239-267.
  39. 임성빈 (2005). 기독교 리더십의 이해. 교회와 신학, 61, 12-20.
  40. 장신근 (2011). 오늘의 변화하는 가족과 기독교 가정교육.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연구원, 교육교회, 통권 401호. 14-19.
  41. 장희영 (2016). 중.고령 성인 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동기, 자기효능감, 자기주도 학습이 주관 적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42. 정건영 (2011). 통전적 교회 공동체를 위한 섬김의 리더쉽에 관한 연구: 기장의 목회자와 농촌교회를 중심으로.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한신대학교.
  43. 정헌진.이희수 (2009). 대학원 여성의 학습참여 동기와 저해요인. 한국HRD연구, 4(3), 55-78.
  44. 조선경 (1990). 의사소통을 통한 부부관계강화프로그램.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45. 조윤진 (2012). 여성회관 교육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성과 영향요인 분석.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46. 조은영 (2001). 교회내 결혼예비부부를 위한 교육에 관한 연구.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
  47. 조정원 (2015). 평생학습동아리의 교육기부활동을 통한 지역사회 공동체 의식 변화에 관한 연구.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48. 차혜경 (2016). 고령자의 온라인 공동체 활동에서의 학습경험 탐구.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49. 천후섬 (2014). 노인평생교육의 실태와 평생학습의 효과에 관한 연구.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경성대학교.
  50. 최규련 (2003). 한국에서의 부부교육 현황과 과제. 수원대학교논문집, 21, 389-400.
  51. 최은희 (2020). 노인학습자의 평생교육 인문학적 교양프로그램 참여동기 및 만족도가 참여지속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52. 홍미경 (2017). 경력단절여성의 평생학습 참여동기가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과 경력설계의 매개효과.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백석대학교
  53. 황재범 (2010). 서번트 리더십의 기독교적 및 시대적 적합성과 특징들. 신학논단, 60, 211-234.
  54. Chavis, D. M., Wandersman, A. (1990). Sense of community in the urban environment: A catalyst for participation and community participation.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8(1), 55-81. https://doi.org/10.1007/bf00922689
  55. Davidson, B. W. & Cotter, R. P. (1989). Measurement of sense of community within the sphere of city.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6(7), 608-619. https://doi.org/10.1111/j.1559-1816.1986.tb01162.x
  56. Greenleaf, R. K. (1970). The servant as leader. IN: The Robert K. Greenleaf Center. 1-37.
  57. Hunter, J. C. (2013). 서번트 리더십. 김광수 역. 서울: 시대의 창. (원저 2004 출판)
  58. Hurley, R. F., & Hult, T. M. (1998). Innovation, market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learning: An integration and empirical examination. Journal of Marketing, 62, 53-70.
  59. Knee, R. T. (1999). Service-iearning in social work educatipn: Building democracy through information citizenship. CO: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Denver).
  60. Laub, J. A. (1999). Assessing the servant organization development of the servant organizational leadership assessment(SOLA). Instrument. Diss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60(2), 308.
  61. Maxwell, J. C. (2002). The maxwell leadership bible. TN: Thomas Nelson.
  62. Newby, T. J. (1991). Classroom motivation: Strategiesoffirst-year tacher. Journal of Education Psycholgy, 83(2), 195-200. https://doi.org/10.1037/0022-0663.83.2.195
  63. Nisbet, R. A. (1966). The sociological tradition. NY: Basic Books.
  64. Pintrich, P. R., DeGroot, E. V. (1990).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f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 33-40. https://doi.org/10.1037/0022-0663.82.1.33
  65. Roberts, M. (2008). Servant leadership: Jesus and paul. Pneuma 30.1
  66. Sarason, S, B. (1974). The psychological sense of community prospects for s community psychology. Cambridge, MA: Brookline books.
  67. Senge, P. M. (1995). Rethinking leadership. Excelence, 15(5), 1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