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ssessment of Needs for Housing Improvement of Children Group Homes in Cheongju through Interviews with Group Home Directors and Staffs

실무자 인터뷰를 통한 청주시 아동 그룹홈의 주거 개선 요구 조사

  • 이상우 (신원종합건설사) ;
  • 이민서 (충북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 우자강 (충북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 이현정 (충북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Received : 2020.08.28
  • Accepted : 2020.12.30
  • Published : 2020.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needs for housing improvement of children group homes in Cheongju-si through interviews with the group home directors and staffs. From April 6, 2018, to April 25, 2018, a series of face-to-face interviews with four directors and three staffs working in four children group homes was conducted.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thematic analysis technique. Highlights of major findings and implications were as follow: (1) Bedroom: Needs for independent bedrooms and desks for each child were dominant. (2) Common activity space: Interviewees showed somewhat different opinions on common activity spaces according to group home types and/or between directors and staffs. (3) Between "a big and good-quality house" and "a house in good location", interviewees were found to prefer "a big and good-quality house" in order for children to have enough space to run and play. (4) Interviewees insisted that to provide proper group home services and protection similar to a real family, current policy to accommodate up to eight children in one group home should be improved.

Keywords

References

  1. 국가통계포털 (n.d.), 인구총조사(인구부문): 연령 및 성별 인구, http://kosis.kr에서 발췌
  2. 김광수 (2013), 아동.청소년 그룹홈의 이해, 서울: 학지사.
  3. 김광혁 (2010), 한국 아동의 생존권: 빈곤 및 가족, 주거환경, 안전, 건강 및 의료의 실태 및 변화 추이, 아동과 권리, 제14권, 제1호, pp.1-39.
  4. 김나연 (2001), 사례연구를 통해서 본 아동그룹홈: 서울 SOS어린이마을을 중심으로, 석사학위청구논문, 서강대학교, 서울.
  5. 김배현 (2001), 아동복지시설 내 청소년의 사회성 차이 연구: 대규모시설과 소규모(G.H)시설의 비교를 중심으로, 석사학위청구논문, 연세대학교, 서울.
  6. 김종만, 신경주 (2015). 노인복지주택 거주자 이용 특성을 통한 필요 공간 분석: 수도권 6개 시설의 공용시설 사례 분석을 통하여.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제49권, pp.141-151.
  7. 김현정 (2008), 전국 학대피해아동 그룹홈(공동생활가정)의 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동광 제114권, pp.151-208.
  8. 나명희 (2017), 그룹홈 아동.청소년의 정서적 환경 특성과 심리 사회적 적응 연구, 박사학위청구논문, 세한대학교, 전남 영암군.
  9. 보건복지부 (2018), 2018년 아동분야 사업안내,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901&CONT_SEQ=344220에서 발췌
  10. 석기원, 남경숙 (2018), 인구변화에 대응한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공간대생을 위한 사례분석 및 사용성 평가,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제13권, 제6호, pp.213-224.
  11. 이상윤 (2016), 아동공동생활가정(그룹홈)의 현황과 현안문제, 우리나라 아동보호체계 개선과 그룹홈 발전방향 모색을 위한 세미나 자료집, p.41.
  12. 이승일, 김주연, 안진근, 김성배 (2020), 노인 복합 커뮤니티케어 공간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제15권, 제3호, pp.117-126. https://doi.org/10.35216/KISD.2020.15.3.117
  13. 장진희, 허청아 (2015), 대규모 아동복지시설의 공동생활가정(그룹홈) 전환비용에 관한 연구,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14. 조성금 (2003), 요보호아동 그룹홈의 활성화 방안, 석사학위청구논문, 명지대학교, 서울.
  15. 진정숙 (2002), 한국 아동그룹홈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청구논문, 수원대학교, 화성.
  16. 한국아동청소년그룹홈협의회 (n.d.), 그룹홈 소개, http://www.grouphome.kr/pages/page_104.php에서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