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화장품 브랜드 매장 체험특성, 가치와 기대, 구매의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Experience Characteristics, Value and Expectations, Purchase Intention in Cosmetic Brand Store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 이선주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뷰티화장품전공) ;
  • 정윤희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경영학전공)
  • Lee, Sun-Joo (Department of Beauty Cosmetics, Konkuk University) ;
  • Jeong, Yun-Hee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Konkuk University)
  • 투고 : 2019.09.04
  • 심사 : 2019.09.24
  • 발행 : 2019.09.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 브랜드 매장의 체험특성이 브랜드 가치와 매장 내 제품 기대를 통해 구매의도에 주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성별의 조절효과를 밝힘으로써 화장품 브랜드 매장의 체험에 관한 이론적 연구를 보완하고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먼저, 매장 내 체험특성으로서 교육적 체험, 심미적 체험, 유희적 체험을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체험특성들이 브랜드 가치와 매장 내 제품에 대한 기대에 주는 영향, 브랜드 가치와 기대가 매장 내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에 주는 영향을 가정하였다. 화장품 브랜드 매장 방문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279부의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이를 구조방정식 분석에 이용하였다. 검증결과, 체험특성 모두 브랜드 가치와 매장 내 제품 기대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브랜드 가치는 기대에 긍정적 영향을, 그리고 브랜드 가치와 매장내 제품 기대는 매장 내 제품 구매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절효과 검증에서는 유희적 체험이 브랜드 가치에 주는 영향이 남성에게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적 체험과 심미적 체험이 매장 내 제품 기대에 주는 영향은 여성에게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화장품 브랜드 매장 체험연구의 이론적 확장에 기여하고 있으며, 화장품 매장의 체험마케팅에 있어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experience characteristics of cosmetics brand stores on purchase intention through brand value and product in-store expectations. In addition, by identifying the effects of gender regulation, the study aimed to supplement theoretical studies and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on the experience of cosmetics brand stores. First, we presented educational experiences, aesthetic experiences, and playful experiences as experience characteristics in stores. And we assumed the effect of these experience characteristics on the brand value and the expectation of the product in the store, and the effect of the brand value and the expectation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the product in the store. 279 data were collected from consumers who had visited cosmetics brand stores, and we analyzed them using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As a result, both experience characteristics have positive effects on brand value and in-store product expectations, and brand value has positive effects on expectations. In addition, brand value and in-store product expectations have a positive effect on in-store product purchase intention. In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the effect of playful experience on brand value is greater in male group, and the impact of educational and aesthetic experience on product expectations is greater in female group. These results contribute to the theoretical expansion of experience research on cosmetic brand stores, and provide strategic implications for experience marketing of cosmetic stores.

키워드

참고문헌

  1. 고동우(1998), "관광의 심리적 체험과 만족감의 관계", 고려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김기영.김종훈(2000), "외식서비스산업의 고객기대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 외식경영연구, 3(2), 25-46.
  3. 노원중.지진호(2013), "문화관광축제 체험요소가 브랜드 가치와 축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강경발효젓갈축제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3), 414-427. https://doi.org/10.5392/JKCA.2013.13.03.414
  4. 김문태(2014), "컨버전스 유형에 따른 혁신성, 지각된 가치, 구매의도의 차이에 대한 탐색적 연구", 경영과 정보연구, 33(1), 219-235.
  5. 김민경(2003), "구매전 소비자 기대와 구매후 만족도",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보영.이가영.송니은(2017), "원산지 이미지, 브랜드 태도,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중국 소비자의 지각된 품질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영과 정보연구, 36(3), 1-16.
  7. 김상미(2012), "백화점 색조화장품 매장에서의 체험마케팅이 소비자와 브랜드 관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성은(2009), "국내 저가화장품 브랜드에 대한 고객의 경험과 관계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용만(2004). "경험마케팅 전략모델의 음미와 그 사례", 산업경영연구지, 35, 65-94.
  10. 김지현(2012), "유통채널별 화장품 매장 체험유형이 소비자 브랜드 관계의 질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학위논문.
  11. 박수경.박지혜.차태훈(2007), "체험 요소(4Es)가 체험즐거움, 만족도,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홍보학회 논문집, 57-58
  12. 심수연(2007). "전통적 마케팅과 체험 마케팅이 브랜드 로열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교 연구",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양영순(2003), "체험마케팅이 브랜드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여성 화장품 소비자를 중심으로", 서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옥정원(2015), "공정무역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경영과 정보연구, 34(1), 143-162.
  15. 윤성준.김영미.이형주(2012), "화장품 제품의 구매동기, 구매체험, 충동구매에 있어서 성별차이와 관여도의 조절효과", 문화산업연구, 12(1), 5-30.
  16. 이보람(2013), "체험마케팅의 4Es관점에서 중저가 화장품 브랜드샵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윤진(2006), "웹사이트에서의 휴대폰 서비스 체험 활용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정민(2011), "화장품 체험마케팅이 브랜드 만족, 애착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이충순.김홍범(2015), "호텔의 예술적 공간에 대한 고객체험이 호텔 브랜드 가치에 미치는 영향", 관광학연구, 38(2), 45-67.
  20. 진의토.박현정(2019), "오프라인 매장의 체험특성과 환경특성이 지각된 가치 및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7(5), 17-178.
  21. Babin. Barry J., William R. Darden, Mitch Griffin(1994), "Work and/or Fun: Measuring Hedonic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0, 644-656. https://doi.org/10.1086/209376
  22. Bagozzi, Richard P., Hans Baumgartner, and Youjae Yi(1992), "Appraisal Processes in the Enactment of Intentions to Use Coupons", Psychology & Marketing, 9(6), 469-486. https://doi.org/10.1002/mar.4220090605
  23. Cadotte, Emest R., Robert B. Woodruff, and Roger L.,Jenkins(1987), "Expectations and Norms in Models of Consumer Satisfact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4(August), 305-314. https://doi.org/10.1177/002224378702400307
  24. Chang, T. Z., and Wildt, A. R.(1994), "Price, Product Information, and Purchase Intention: An Empirical Study",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22, 16-27. https://doi.org/10.1177/0092070394221002
  25. Chin, W. W.(1998), "The Partial Least Squares Approach to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Marcoulides", G. A.(Eds), Modern Methods for Business Research, Lawrence Erlbaun Associates, NJ, 295-336.
  26. Delgado-Ballester, E. and Sabiote, E. F. (2015), "Brand Experimental Value vs Brand Functional Value: Which Matters More for the Brand?",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49(11/12), 1857-1879. https://doi.org/10.1108/EJM-02-2014-0129
  27. Dodds, W. B., Monroe, K. B., and Grewal, D.(1991), "Effects of Price, Brand, and Store Information on Buyers' Product Evaluat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8(August), 307-319. https://doi.org/10.2307/3172866
  28. Grewal, D., Monroe, K. B., and Krishnan, R.(1998), "The Effect of Price-Comparison Advertising on Buyers' Perception of Acquisition Value, Transaction Value, and Behavioral Intertions", Journal of Marketing, 62, 46-59.
  29. Huizinga, Johan(1955), Homo Indens: A Study of the Play Element in Culture. Boston, MA: The Beacon Press.
  30. Iacobucci, Dawn, Kent A. Grayson, and Amy L. Ostrom(1994), "The Calculus of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Theoretical and Empirical Differentiation and Integration", in Advances in Services Marketing and Management, Vol. 3, Teresa A. Swartz, David E. Bowen, and Stephen W. Brown, eds. Greenwich, CT:JAI Press, 1-67.
  31. Jang, B. J., Yoon, D. K., Song, S. H.(2011), "Brand Boutique Hotel Brand Image, Brand Attitude, Research on the Effect of Brand Loyalty",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7(2), 817-835. (in Korean).
  32. Kotier, P., Keller, K. L.(2012). Marketing management, 14ed, Pearson.
  33. Lewis, Michael(1982), "Play As Whimsy", The Behavioral and Brain Sciences, 5 (March), 166. https://doi.org/10.1017/S0140525X00011067
  34. Lofman. Brian(1991), "Elements of Experiential Consumption: An Exploratory Study",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8, 729-735.
  35. Neelamegham, Ramya and Dipak Jain(1999), "Consumer Choice Process for Experience Goods: An Econometric Model and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XXXVI(August), 373-386. https://doi.org/10.1177/002224379903600306
  36. Oh, H., Fiore, A. M., & Jeoung, M.(2007), "Measuring Experience Economy Concepts: Tourism Applications." Journal of travel research, 46(2), 119-132. https://doi.org/10.1177/0047287507304039
  37. Olson, Jerry C.(1981), "What is an Esthetic Response?", pp. 71-74 in Symbolic Consumer Behavior, Elizabeth C. Hirschman and Morris B. Holbrook,(Eds). Ann Arbor, NY: Association for Consumer Research.
  38. Pan, Y., Sheng, S., Xie, F. T.(2012), "Antecedents of customer loyalty: an empirical synthesis and reexamination", Journal of Retailing and Consumer Services, 19(1), 150-158. https://doi.org/10.1016/j.jretconser.2011.11.004
  39. Pine, B. J and Gilmore, H. J.(1998), "Welcome to the Experience Economy", Harvard Business Review, 76(4), 97-105.
  40. Pribadi, J. A, M. Adiwijaya and H. Herjanto (2019), "The Effect of Brand Trilogy on Cosmetic Brand Loyalty", International Journal of Business and Society, 20(2), 730-742.
  41. Schmitt, B. (1999). "Experiential marketing",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15(1-3), 53-67. https://doi.org/10.1362/026725799784870496
  42. Sun, Y., Lin, K. H., Jiang, C. H., Peng, J. Z., Chen, X.(2010), "Do Males and Females Think in the Same Way?, an Empirical Investigation on the Gender Differences in Web Advertising Evaluation",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6(6), 1614-1624. https://doi.org/10.1016/j.chb.2010.06.009
  43. Unger, Lynette S. and Jerome B. Kerman (1983), "On the Meaning of Leisure: An Investigation of Some Determinants of the Subjective Experienc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9(March), 381-392. https://doi.org/10.1086/208932

피인용 문헌

  1. 매스티지 브랜드 광고모델 국적의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 해석수준이론을 중심으로 vol.22, pp.2, 2019, https://doi.org/10.5762/kais.2021.22.2.3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