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제품 블라인드 테스트를 통한 사회혁신기업과 일반기업의 브랜드 태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Brand Attitudes of Social Innovative Companies and General Enterprises by Product Blind Testing

  • 김진경 (공주대학교 KNU기업경영연구소) ;
  • 장석인 (공주대학교 경영학과) ;
  • 김문준 (공주대학교 KNU기업경영연구소) ;
  • 이남겸 (공주대학교 KNU기업경영연구소)
  • Kim, Jin-Kyoung (Korean Research Institute of Corporate Management,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Jang, Sug-In (Dept. of Business Administr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Kim, Moon-Jun (Korean Research Institute of Corporate Management,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Lee, Nam-Gyum (Korean Research Institute of Corporate Management, Kongju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9.09.03
  • 심사 : 2019.09.25
  • 발행 : 2019.09.30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사회혁신기업이 일반기업과 경쟁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추고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소비자들의 사회혁신기업에 대한 브랜드 태도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사회혁신기업의 제품과 일반기업의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브랜드 태도의 차이를 블라인드 테스트를 통하여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블라인드 테스트 결과 사전 블라인드 테스트에서는 제품속성이나 브랜드 태도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후 제품의 정보를 공개한 후에는 실험물로 사용된 비누 제품이 천연 수제 비누라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사회혁신기업과 일반기업 제품 모두에서 사후 브랜드 태도가 향상됨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사회혁신기업이 추구하는 사회적 가치에 대한 설명을 해 준 후에는 일반기업에 비하여 사회혁신기업에 대한 관심 증가로 인해 사회혁신기업 제품에 대한 브랜드 태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는 결과를 보였다. 제품 포장에 명확하고 과장되지 않은 정보표시는 브랜드 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도구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사회혁신기업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을 높이기 위하여 정부 차원에서의 사회혁신기업에 대한 교육과 홍보 정책이 제고되어져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며, 사회혁신기업이 자신들이 추구하는 사회적 가치에 대한 내용을 제품 포장에 광고카피로 표현함으로써 스스로를 홍보하는 자구책을 마련하는 것도 브랜드 태도 향상을 꾀하고 판매증가를 위한 또 하나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brand attitude of consumers toward social innovation companies so that they could have differentiated competitive advantage and secure competitive advantage with ordinary companies. To this end, the difference in consumer brand attitudes between products of social innovation entities and products of general enterprises was compared through blind testing. The blind test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duct properties or brand attitudes, but after the information of the after-sales product was disclosed, the information included that the soap product used as a laboratory was natural handmade soap, indicating that post-brand attitudes improved in both social innovation and general enterprise products. And after explaining the social values pursued by social innovators, the increased interest in social innovation firms compared to ordinary enterprises resulted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brand attitudes toward social innovation enterprise products. Clear and unexaggerated information displays on product packaging can be a tool to improve brand attitudes. In addition, in order to raise consumer awareness of social innovation enterprise products, there will be a need to enhance education and promotion policies for social innovation companies at the government level, and developing self-help measures for social innovation companies to promote themselves by presenting the contents of their social values as advertising copy on their product packaging may also be another breakthrough for improving brand attitudes and increasing sale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민정(2014), "'사회적기업 혁신체제' 접근을 통한 사회적기업 연구경향 분석," 한국비교정부학보, 18(1), 193-228.
  2. 김경선.강혜숙(2011), "포장디자인이 소비자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비누제품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포럼, 30, 33-42.
  3. 김규배.김병구(2016), "소비자 관여도를 고려한 브랜드 가치 제공, 브랜드 태도, 브랜드 애착의 관계", 유통과학연구, 14, 103-111.
  4. 김남규(2010), "모 브랜드의 특성이 브랜드 확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아웃도어 브랜드를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용호.김숙희.송경수(2015), "선택구조가 브랜드선택에 미치는 영향: 프로모션 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영과 정보연구, 34(2), 97-111.
  6. 미국마케팅협회(AMA: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Committment on Definitions. Marketing Definition: A Glossary of Marketing Terms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Chicago, 8.
  7. 민동권.유한나(2016), "저관여 사회적 기업 제품의 가치 평가에 관한 재탐색: 참고가격과 자아해석의 영향 분석", 경영교육연구, 30(1), 213-232.
  8. 심창학(2007), "사회적기업의 개념 정의 및 범위 설정에 관한 연구: 유럽의 사회적기업을 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 23(2), 61-85.
  9. 양오석(2015), "사회혁신기업의 지속가능성 결정요인 연구", 국제지역연구, 19(1), 157-203.
  10. 이성희.황완균(2009), "천연비누가 성인여성의 안면피부에 미치는 영향", 대한피부미용학회지, 7(3), 143-151.
  11. 이지혜(2009), "패키지 디자인 리뉴얼이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국내 4개사 김치 브랜드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임재웅.장석인(2018), "사회적 기업가정신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부지원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영과 정보연구, 37(2), 235-258.
  13. 장석인(2017), "사회연결망 분석을 통한 사회혁신기업과 사회적 경영 사례연구", 기업경영리뷰, 8(1), 316-338.
  14. 최일용(2012), "브랜드, 소비자, 광고모델 개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제품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5. 최종헌.최준규(2012), "지역사회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 경제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자치연구, 14(3), 195-225.
  16. 최효규(1995), "비교광고를 통한 태도변화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광고연구, 28, 171-199.
  17. Fishbein, M. and Ajzen, I.(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18. Hellriegel, D., Slocum, J. H., and Woodman, R. W.(2001), Organizational behavior, 9th ed. Cincinnati. Ohio: South-Western College Publishing.
  19. Howard, A. D.(1994), "A Detachment- Limited Model of Drainage Basin Evolution", Water Resources Research, 30(7), 2261-2285. https://doi.org/10.1029/94WR00757
  20. Keller, K. L. (1993),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Manag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Journal of Marketing, 57(1), 1-22. https://doi.org/10.1177/002224299305700401
  21. Keller, K. L.(1998), Strategic Brand Management, Prentice Hall: New Jersey.
  22. Lee, Y.-K., Kim, S., Lee, C.-K. and Kim, S.-H.(2014), "The Impact of a Mega Event on Visitors' Attitude toward Hosting Destination: Using Trust Transfer Theory", Journal of Travel & Tourism Marketing, 31(4), 507-521. https://doi.org/10.1080/10548408.2014.883347
  23. Low, G. S. and Lamb, C. W.(2000), "The Measurement and Dimensionality of Brand Associations", Journal of Product & Brand Management, 9(6), 350-370. https://doi.org/10.1108/10610420010356966
  24. MacInnis, Deborah J. and C. Whan Park (1991), "The differential role of characteristics of music on high-and low-involvement consumer's processing of ad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8(September), 161-173. https://doi.org/10.1086/209249
  25. MacKenzie, S. B., Lutz, R. J. and Belch, G. E.(1986), "The Role of Attitude toward the Ad as a Mediator of Advertising Effectiveness: A Test of Competing Explanat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3(2), 130-143. https://doi.org/10.1177/002224378602300205
  26. MacKenzie, Scott B. and Richard J. Lutz (1989), "An Empirical examination of the structural antecedents of attitude toward the ad in an advertising pretesting context," Journal of Marketing, 53(April), 48-65. https://doi.org/10.1177/002224298905300204
  27. O'cass, A. and Grace, D.(2003), "An Exploratory Perspective of Service Brand Associations", Journal of Services Marketing, 17(5), 452-475. https://doi.org/10.1108/08876040310486267
  28. Zuwerink, J. R. and Devine, P. G.(1996), "Attitude Importance and Resistance to Persuasion: It's Not Just the Thought That Coun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5), 931. https://doi.org/10.1037/0022-3514.70.5.931

피인용 문헌

  1. NCS기반 회계·감사 및 세무 직무역량이 사회혁신기업의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vol.5, pp.4, 2019, https://doi.org/10.21186/ipr.2020.5.4.0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