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ative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Computational Thinking in Korean and U.S. Curriculum

한국과 미국의 교육과정에 나타난 컴퓨팅 사고력 관련 성취기준 비교 분석

  • Received : 2019.04.25
  • Accepted : 2019.05.09
  • Published : 2019.05.31

Abstract

Recently, as the importance of computational thinking(CT) education, the national curriculums of the world have been revised and the international comparative assessment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evaluate the CT education effects. In this study, researchers compared and analyzed the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CT in Korean and U.S. curriculum. As a result, the number of CT related achievement standards is 16 in Korean and 21 in American. While Korean deals with more specific achievement standards of 'formulating and analyzing problems', American emphasized 'planning and evaluating solutions'. In terms of 'developing algorithms, programs and interfaces', both of them offer concrete related achievement standards, U.S. curriculum include more diverse and concrete practical achievement state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suggest improvements in practical aspects as well as contents in future Korean curriculum revision.

최근 컴퓨팅 사고력 교육에 관한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전 세계 교육과정이 개편되고, 컴퓨팅 사고력 평가를 위한 국제 비교 연구가 추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개정된 한국과 미국의 교육과정에 나타난 컴퓨팅 사고력 관련 성취기준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컴퓨팅 사고력 요소와 관련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성취기준의 수는 한국이 16개, 미국이 21개로 한국과 미국 교육과정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포함된 개념 요소는 비슷하나, 기능 수준에서 차이를 보였다. 한국은 '문제 분석 및 정형화' 측면에서 보다 구체적인 성취기준을 다루는 반면, 미국은 '해결 방안 계획 및 평가' 측면에 중점을 둔 것으로 나타났다. '알고리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개발' 측면에서는 한국과 미국 모두 구체적인 성취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나, 기능적 측면에서 볼 때 미국 성취기준이 한국에 비해 보다 다양하고 구체적인 진술을 포함하고 있으며, 모델링, 모듈 생성, 기술 평가 및 활용과 관련된 추가적으로 필요한 성취기준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향후 교육과정 개정 시 내용 요소와 함께 기능적 측면의 개선 사항을 제안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상욱.이은경.전성균.정채관 (2018). 컴퓨터.정보 소양 함양 방안 탐색. 연구보고 RRE 2018-9. 충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 박상욱.이은경.전성균.정채관 (2018). 국제 컴퓨터.정보 소양 연구: ICILS 2018 본검사 시행 보고서. 연구보고 RRE 2018-11. 충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3. 김경훈.강신천.강의성.김성식.김영식.김용.송재신.유헌창.이병모.이영준.이원규.조현철.최재혁.최현종 (2006). 중.고 컴퓨터 선택과목 교육과정 개정 시안 연구 개발. 연구보고 CRC 2006-40. 서울:한국교육과정평가원.
  4. 교육부 (1997). 중학교 재량활동의 선택과목 교육과정 -한문, 컴퓨터, 환경, 생활 외국어-.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별책 16].
  5. 교육부 (2007). 중학교 재량활동의 선택 과목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07-79호 [별책 16].
  6.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선택 교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1-361호 [별책 18].
  7. 교육부 (2015). 실과(기술.가정)/정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0].
  8. Computer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2017). K-12 Computer Science Standards, Revised 2017. USA: Computer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9. 이은경 (2018). 정보교육의 전망과 과제: 미래 정보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21(2), 1-10. https://doi.org/10.32431/KACE.2018.21.2.001
  10. 김수진.박지현.전경희.김미영.이영준 (2014). 국제 컴퓨터.정보 소양 연구: ICILS 2013 결과 보고서. 연구보고 RRE 2014-3-2.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1. 김수진.진의남.동효관.박지현.서지희.김민정 (2013). 국제 컴퓨터.정보 소양 연구: ICILS 2013 본검사 시행보고서. 연구보고 RRE 2013-7-1.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2. Fraillon, J., Schulz, W., Ainley, J. (2013). International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Study: Assessment framework. Amsterdam: IEA.
  13. Fraillon, J., Ainley, J., Schulz, W., Duckworth, D., & Friedman, T. (2019). IEA International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Study 2018: Assessment Framework. Amsterdam: I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