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Qualitative Study on the Restoration of Middle Aged Women Who Have Attempted Suicide Throughout Their Life Course

생애과정에서 자살을 시도했던 중년여성의 극복 경험 연구

  • 김미숙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 성승연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Received : 2019.05.20
  • Accepted : 2019.07.04
  • Published : 2019.07.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n in-depth interview on 5 middle aged women who have attempted suicide in the past and to explore their suicide attempts and the vivid empirical value of life after the attemp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Giorgi's phenomenological approach. The data analysis resulted in 21 sub categories and 7 essential categories. Study participants experienced an-'selected death at the end of a cliff', 'standing on the border of life and death', 'life became clear after escaping delusion', 'working toward life once again', 're-evaluating their past life and discovering new possibilities', 'experiencing the vividness of life here', 'spiritual growth and deeper insight'. Such results offer a discussion on existence toward self-completion, and hold significance in that it increased our in depth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beyond the narrow perceptions of individuals who attempt suicide.

본 연구의 목적은 자살을 시도했던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통해 자살 시도 및 이후 삶의 생생한 경험적 가치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목적에 맞는 5인을 선정하여 심층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인터뷰 녹음파일은 모두 전사하였고,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의 과학적 4단계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는 22개의 하위 구성요소와 7개의 주요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고통스러운 현실에서 벗어나고자 '벼랑 끝에서 죽음을 선택' 하였고 이후 '삶과 죽음의 경계에 섬'과 '허상에서 벗어나 삶이 명료해짐'을 경험하며 '다시 삶을 향해 나아감'이 있었다. 중년기 현재 '과거의 삶을 재평가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함'으로 '지금 여기에서 삶의 생생함을 경험' 했고, '영적 성장과 함께 성찰이 깊어짐'을 알아가며 진정한 의미의 삶을 경험하였다. 이 결과를 실존과 자기완성을 향해 나아가는 존재 차원에서 논의하였고, 자살시도자에 대한 심층적 이해와 인식을 확장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Keywords

표 3. 생애과정에서 자살을 시도했던 중년여성의 극복 경험 구성요소

CCTHCV_2019_v19n7_149_t0001.png 이미지

References

  1. 통계청, 사망원인통계, http://www.kostat.go.kr/portal/korea 검색, 2018
  2. 이혜선, 육성필, 배진화, 안창일, "자살관련행동의 명명과 분류,"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27권, 제2호, pp.331-349, 2008.
  3. P. W. O'Carroll, A. L. Berman, R. W. Maris, E. K. Moscicki, B. L. Tanney, and M. M. Silverman, "Beyond the Tower of Babel: a nomenclature for suicidology,"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Vol.26, pp.237-252, 1996. https://doi.org/10.1111/j.1943-278X.1996.tb00609.x
  4. R. W. Maris, A. L. Berman, and M. M. Sliverman, Comprebensive texbook of suicidology, New York: Guilford. 2000.
  5. M. M. Siverman, Q. L. Berman, N. D. Sandal, W. O'Carroll, T. E. Joiner Jr, "Rebuilding the Tower of Babel: A Revised Nomenclature for the Study of Suicide and Suicide Behaviors. Part II. Suicide-Related Ideations, Communication, and Behaviors,"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Vol.37, No.3, pp.264-277, 2007. https://doi.org/10.1521/suli.2007.37.3.264
  6. G. K. Brown, E. Jeglic, G. R. Henriques, and A. T. Beck, "Cognitive Therapy, Cognition, and Suicidal Behavior," In T. E. Ellis (Ed), Cognition and suicide: Theory, research, and therapy, Vol.18, pp.53-74, 2006.
  7. Y. Cohen, A. Spirito, and L. K. Brown, "Suicide and aging I: Patterns of psychiatric diagnosis," International Psychogeriatry, Vol.7, pp.149-164, 1996.
  8. M. M. Weissman, "The epidemiology of suicide attempt,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Vol.30, pp.737-746, 1974. https://doi.org/10.1001/archpsyc.1974.01760120003001
  9. T. Joiner, Why people die by suicide,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5.
  10. 보건복지부, 자살 예방 백서, 휴먼컬처아리랑, 2016.
  11. 김지훈, 김경호, "자살생각, 자살계획 및 자살시도와 관련된 유발된 요인의 영향력 분석: 6차년도 한국복지패녈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2호, pp.344-360,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2.344
  12. 보건복지부, 국민건강영양조사, https://knhanes.cdc.go.kr/knhanes/main.do 검색, 2015.
  13. 김영택, 김인순, 주영수, 이지연, 여성 자살 현황 및 정책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9.
  14. 임미영, 노인 자살시도 경험에 관한 연구, 한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15. N. K. Denzin and Y. S. Lincoln, The Sag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3rd ed), Thousand Oaks, CA: Sage, 2005.
  16. 김상숙, 김수진, "자살 시도 여성의 고통 체험: Parse의 연구방법 적용," 정신간호학회지, 제23권, 제3호, pp.186-197, 2010. https://doi.org/10.12934/jkpmhn.2014.23.3.186
  17. 이명선, 황순찬, "젊은 여성들의 자살시도 경험에 관한 페미니스트 현상학," 성인간호학회지, 제23호, 제2호, pp.123-134, 2011.
  18. A. Maercker and T. Zoellner, "The Janus face of self-perceived growth: Toward a two-component model of posttraumatic growth," Psychological Inquiry, Vol.15, pp.41-48, 2004.
  19. C. M. Aldwin, M. R. Levenson, and A. Spiro, "Vulnerability and resilience to combat exposure: Can stress have lifelong effects?," Psychology and Aging, Vol.9, pp.34-44, 1994. https://doi.org/10.1037/0882-7974.9.1.34
  20. 김영애, 최윤경, "외상 후 성장에 대한 질적연구: 경험자와 치료자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22권, 제1호, pp.199-228, 2017.
  21. 천성문, 함경애, "청소년의 자살 시도 및 극복 경험에 관한 질적 분석," 재활심리연구, Vol.22, No.1, pp.59-79, 2015.
  22. A. Alvarez, The savage god: A study of suicid, New Youk: Norton, 1971.
  23. D. E. Papalia, C. J. Camp, and R. D. Feldman, Adult Development and Aging, Michigan: McGraw-Hill Company, 1996.
  24. C. G. Jung, Modern man in search of a soul, New Youk: A Harvest Book, 1933.
  25. J. M. McGlothlin, Developing Clinical Skills in Suicide Assessment, Prevention, and Treatment, Alexandria, VA: Amerrican counseling association, 2008.
  26. 정옥분, 발달심리학, 학지사, 2010.
  27. A. Giorgi,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Pittsburgh, Duquensne university press, 1985.
  28. E. G. Guba and Y. S. Lincoln, Effective Evalua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1985.
  29. 김정란, 김혜신, "가정폭력 및 학교폭력이 청소년 자살 충동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제34권, 제2호, pp.310-333, 2014. https://doi.org/10.15709/HSWR.2014.34.2.310
  30. 신민섭, 자살 기제에 대한 실증적 연구:자기도피 척도의 타당화,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31. P. A. Linley and S. Joseph, "Positive Change Following Trauma and Adversity: A review," Journal of Traumatic Stress, Vol.17, No.1, pp.11-21, 2004. https://doi.org/10.1023/B:JOTS.0000014671.27856.7e
  32. L. G. Calhoun, A. Cann, R. G. Tedeschi, and J. McMillan, "A correlational tes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growth, religion, and cognitive processing," J. Trauma Stress, Vol.13, No.3, pp.521-527, 2000. https://doi.org/10.1023/A:1007745627077
  33. E. Shneidman, Definition of suicide, New York: Wiley, 1985.
  34. J. Lacan, 에크리 (김석 역) 서울: 살림, (원전은 1996에 출판), 2001.
  35. 김석, 프로이트 & 라캉 무의식에로의 초대, 김영사, 2010.
  36. 이도희, "자살의 이해와 대책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심성연구, 제22권, 제1호, pp.29-53, 2007.
  37. 박지영, 노인자살 생존자의 자살 경험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38. I. D. Yalom, Existential Psychotherapy, New York City: Basic Books, 1980.
  39. V. E. Frankl, 삶의 의미를 찾아서 (이시형 역), 서울: 청아, (원전은 1946에 출판), 2005.
  40. C. R. Rogers, A Way of Being, Boston New York: Houghton Mifflin, 1995.
  41. 엄현주, 전혜정, "중년기 남녀의 자살생각에 관한 예측요인,"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제42권, 제2호, pp.35-62, 2014.
  42. 권석만, 긍정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학지사, 2008.
  43. B. Thorne, Carl Rogers, London: Sage Publications, 2003.
  44. S. Joseph and P. A. Linley, 긍정심리치료 (이훈진, 김환, 박세란 공역), 서울: 학지사, (원저는 2006에 출판), 2009.
  45. 김보라, 신희천, "자아탄력성과 삶의 의미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2권, 제1호, pp.117-136, 2010.
  46. 강혜승, 이소영, "중년여성의 외상 후 성장, 자아존중감, 희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0호, pp.518-525,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10.518
  47. R. F. Baumeister, "Transcendence, Guilt, and Self-Control," Behavioral and Brain Sciences, Vol.18, No.1, pp.122-123, 1995. https://doi.org/10.1017/S0140525X00037626
  48. K. I. Pargament and A. Mahoney, Spirituality: Discovering and conserving the sacred, In C. R. Snyder & S. J. Lopez (Ed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p.646-659,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