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Comparison between Ayurveda and Sasang Medicine based on Constitutional Theory

체질론에 근거한 사상의학과 아유르베다의 비교 연구

  • 권길자 (선문대학교 통합의학과)
  • Received : 2019.03.12
  • Accepted : 2019.07.10
  • Published : 2019.07.28

Abstract

The constitution of traditional medicine is distinguished from modern medicine. Sasang medicine describe the constitution which is classified as functional intensity of the lung, spleen, liver and kidney. The functional strength of each part of the human body is not the same in each constitution, and this imbalance is considered as a major factor of the disease. Ayurveda is identified the balance of the three dosha in our body is the basis of health maintenance. The reason for the illness is due to the imbalance among vata which express energy metabolism, pitta which plays a role in metabolism and digestion, and kapha which controls body temperature. The two theories which include knowing the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diseases according to their constitution, the approach of treatment and the health care of daily life. They are also considered as convergent area about treatment methods in the modern society wher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lifestyle are emphasi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constitutional basis for increasing patient satisfaction and to help diversity of treatment in preventive medical area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theory of Sasang and Ayurveda.

전통의학의 체질론은 현대의학과는 구분되는 특성으로, 사상의학은 건강유지의 관점을 폐비간신(肺脾肝腎)의 기능적 강약(强弱)으로 구분하여 인체 장부(臟腑)의 체질에 따른 기능적 균형이 어떠한 조건에서 불균형이 되는 상태를 병의 주요한 요인으로 파악하였다. 아유르베다는 우리 몸에 존재하는 3개 "도샤(Dosha)'의 균형을 건강 유지의 기본으로 생각하고 질병이 생기는 이유를 체내 에너지 조절 기능을 하는 바따(Vata), 신진대사와 소화 기능을 담당하는 삣타(Pitha), 체온조절 기능을 담당하는 카파(Kapha)의 균형이 깨어졌기 때문으로 보았고 세가지 도샤(tridosha)가 균형을 맞추면 스스로 치유된다고 하였다. 체질에 따른 질병의 특징과 경향을 알아 치료에 접근하고 일상생활의 건강관리까지 포함하고 있는 두 이론은 각 개인의 특성과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생활습관이 중시되는 현대사회에서 일상 생활 건강 유지 및 예방을 위해 다양한 예방 치료법의 융합영역으로 해석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사상 의학과 아유르베다 이론을 체질 관점에서 비교 분석하여 환자의 치유력과 회복력에 도움이 되고, 환자의 만족도 증가를 위한 체질 기반 개념을 이해하고 예방 의료분야에 있어서의 활용의 다양성에 대해 도움이 되고자 한다.

Keywords

CCTHCV_2019_v19n7_166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사상체질의 분류

CCTHCV_2019_v19n7_166_f0002.png 이미지

그림 2. 사상체질별 기운의 특성

CCTHCV_2019_v19n7_166_f0003.png 이미지

그림 3. 아유르베다 병인 진행단계

표 1. 체질의 병리학적 장부의 특징

CCTHCV_2019_v19n7_166_t0001.png 이미지

표 2. 사상의학과 아유르베다 원리 비교표[42]

CCTHCV_2019_v19n7_166_t0002.png 이미지

표 3. 바타, 삣타, 카파의 주요기능(Main functions of Vata, pitta, kapha in the body)

CCTHCV_2019_v19n7_166_t0003.png 이미지

References

  1. 이기복, 동무 이제마(1837-1900)의 의학 사상과 실천, 동아시아 의학 전통의 재구성과 "천인성명 장부의학"의 탄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2. SASAKI YUI, 한국과 일본의 임상진료지침 비교와 활용-한의학과 Kampo Medicine 현황,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3. M. W. Kumari, "An Overview of the Principles of Ayurveda Medicine," Conference: Workshop on Ethical Issues in Research on Traditional Medicine, 2015. DOI:10.13140/RG.2.1.2942.5122
  4. V. Kumar, M. Antil, and D. Kumar, "Importance of ayurvedic medicine in modern lifestyle: A keynote review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Educational Research, Vol.1, No.4, pp.31-33, 2016.
  5. 김은옥, "아유르베다에 나타난 건강의 관점과 구성요소," 요가학연구, 제8호, pp.89-121, 2012.
  6. 김승희, 아유르베다(Āyurveda)와 사상의학의 비교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13, 2011.
  7. 강가림, 황상문, 박송정, 채한, "세계 전통 체질 의학 비교 연구," KOREAN JOURNAL OF ORIENTAL MEDICINE, Vol.15, No.3, 2009. 재인용
  8. A. Chopra and V. V. Doiphode, "Ayurvedic medicine Core concept, Therapeutic principles and Current relevance," Medicine Clinics of North America, Vol.86, pp.75-88, 2002. https://doi.org/10.1016/S0025-7125(03)00073-7
  9. 김영미, 최은영, 장병수, "아유르베다의 바타(Vata), 피타(Pitta), 카파(Kapha) 체질에 따른 피부 유형 조사 분석," Kor. J. Oriental Preventive Medical Society, Vol.13, No.1, pp.19-26, 2009. 재인용
  10. 김광현, "사상의학에서 각 체질별 기운의 방향특성," 사상체질의학회지, 제21권, 제1호, pp.53-62, 2009. 재인용
  11. 박종운, 고대 인도 의학(Ayurveda)의 형성과 체계,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3, 1997.
  12. 박지하, 이봉효, 이상남, 송익수, 안상영, 한창현, "한의학과 아유르베다의학의 약재 비교 고찰," Kor. J. Herbology, Vol.25, No.4, pp.161-169, 2010. 재인용 https://doi.org/10.6116/KJH.2010.25.4.161
  13. 윤명철, "한국의 고대문화와 해양 남방문화-소위 해양실크로드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國史館論叢, 第106輯, 2005.
  14. Y. H. Baek, E. S. Jang, K. H. Park, J. H. Yoo, H. J. Jin, and S. W. Le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KS-15 (Korea Sasang Constitutional Diagnostic Questionnaire) Based on Body Shape, Temperament and Symptoms,"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Vol.27, pp.211-221, 2015. https://doi.org/10.7730/JSCM.2015.27.2.211
  15. 최금주, 아유르베다 오일 마사지가 스트레스와 면역증진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16. V, Lad, Ayurveda:The Science of Self- healing, Lotus Press:Santa Fe, 1984.
  17. 홍성인, 한의학개론, 보문각, pp.76-106, 2012.
  18. 최금주, 아유르베다 오일 마사지가 스트레스와 면역증진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19. B. Ravishankar and V. Shukla, "Indian systems of medicine: a brief profile," Afr J Tradit Complement Altern Med, Vol.3, pp.319-337, 2007.
  20. 우경희, 이태용, 이동우, "재활운동을 위한 동양 도수기법의 역사적 고찰," Korean Journal of Sport Rehabilitation, 제1권, 제1호, pp.17-23, 2015.
  21. 김해남, "아유르베다의 과학적 근거에 대한 고찰," 국제통합대체의학회지, 제1권, 제2호, pp.115-145, 2005.
  22. 이병이, 송윤경, 임형호, "부항요법에 대한 문헌고찰 및 부항시술 현황 조사," 한방재할의학과학회지, 제18권, 제2호, 2008.
  23. 이철완, 이학적 원리를 이용한 한방물리요법, 서울, 일중사, pp.46-48, 1992.
  24. 신경림, "한국적 간호중재 개발 : 대체(보완)요법," 대한간호학회지, 제29권, 제6호, pp.1403 -1418, 1999. https://doi.org/10.4040/jkan.1999.29.6.1403
  25. 김계현, 보완대체의학의 보험적용을 위한 평가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의료법윤리학협동과정, 박사학위논문, 2005.
  26. 설영상, 사상체질 건강법, 서울: 태웅출판사, 1998.
  27. 김종열, "태음인 간수열 리열병론을 통해 살펴본 과거의학과 동의수세보원의 음양관의 차이," 사상체질의학회지, 제9권, 제1호, pp.127-153, 1997.
  28. 김광현, "사상의학에서 각 체질별 기운의 방향특성," 사상체질의학회지, 제21권, 제1호, pp.53-62, 2009.
  29. 김경요, "이제마의 의학사관에 관한 고찰," 사상의학회지, 제6권, pp.11-19, 1994.
  30. 李濟馬, 동의수세보원, 신일문화사, 서울, pp.15-17, 1964.
  31. 김경요, "이제마의 의학사관에 관한 고찰," 사상의학회지, 제6권, pp.11-19, 1994.
  32. 고병희, "사상체질별 성격요인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한의학회지, 제14권, pp.64-76, 1993.
  33. 송일병, "동의보감을 사상의학 영역에서 살펴본 특징과 끼친 영향," 사상의학회지, 제4권, pp.149-158, 1992.
  34. 이의주, 이수경, 김은진, 조여원, 고병희, 송일병, "사상체질분류에 의한 체질식이의 효과 및 활용성에 대한 연구(I)," 사상의학회지, 제10권, 제2호, pp.305 -349, 1998.
  35. H. Chae, J. G. Lee, E. S. Jeon, and J. K. Kim, "Personalized acupuncture treatment with Sasang typology," Integrative Medicine Research, Vol.6, pp.329-336, 2017. https://doi.org/10.1016/j.imr.2017.07.002
  36. 이항재, 최승훈, "사상의학과 증치의학의 비교 연구," 사상의학회지, Vol.9, No.2, pp.95-145, 1997.
  37. C. Zollman and A. Vickers, "What is complementary medicine?," BMJ (Clinical research ed.), Vol.319, No.7211, pp.693-696, 1999. DOI:10.1136/bmj.319.7211.693
  38. 정미숙, 이유르베다 이론과 실제 , 여래, 2017.
  39. Catherine Zollman, Andrew Vickers, Janet Richardson. ABC of complementary medicine, 2nd Ed., Blackwell Publishing Ltd, ISBN:978-1-4051-3657-0, 2008.
  40. Angela Hope-Murray, Ayurveda For Dummies , John Wiley & Sons, Ltd, ISBN:978-1-118-30668-0, 2013.
  41. 정미숙, 임애라, "한국형 아유르베다(Ayurveda)체질유형 검사지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7, No.12, pp.62-70, 2016. 재인용 https://doi.org/10.5762/KAIS.2016.17.12.62
  42. 김승희, 아유르베다(Ayurveda)와 사상의학의 비교 연구, 박사학위 논문, 동국대학교, pp.186-193, 2011.
  43. Sawant Shreya Umesh and Hartalkar Savita Jayant, "Yogic Practices According To Ayurvedic Constitution," IJAPC, Vol.9, Issue.2, pp.361-373, 2018.
  44. A. Hankey, "Ayurvedic physiology and etiology. Ayurvedo Amritanaam. The doshas and their functioning in terms of contemporary biology and physical chemistry," Journal of Alternative and Complementary Medicine, Vol.7, pp.567-574, 2001. https://doi.org/10.1089/10755530152639792
  45. Rovert E. Svododa, Ayurveda : Life,health and Longevity, The Ayurvedic press, New Mexico,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