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1. 연도별 발행 논문
표 1. 연도별 연구대상 비교
표 2. 연구방법 빈도수
표 3. 연도별 연구방법 차이
표 4. MOOC 연구에 사용된 변인
표 5. 분야별 강좌분석
표 6. 연구대상에 따른 강좌분야 비교
References
- 주영주, 김동심, "K-MOOC의 만족도와 사용의도 영향변인 규명 연구," 평생학습사회, 제13권, 제1호, pp.185-207, 2017.
- 기영화, "글로벌 MOOC의 학습형태와 한국형온라인 공개강좌 (K-MOOC)의 학습경험분석," 교육문화연구, 제24권, 제3호, pp.65-85, 2018.
- 주영주, 김동심, "K-MOOC 학점인정 운영의 성과 영향변인 연구," 교육과학연구, 제48권, 제2호, pp.95-113, 2017.
- 배예선, 전우천, "온라인 공개 강좌 MOOC 의 현황 분석 및 개선안 연구,"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제18권, 제12호, pp.3005-3012, 2014. https://doi.org/10.6109/jkiice.2014.18.12.3005
- 정한호, "MOOC 수강에 대한 대학생의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기술수용모형, 기대일치모형, 과제기술적합모형을 기반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23권, 제2호, pp.315-343, 2017.
- 서수웅, "온라인 교육서비스 경험 데이터의 시각화 방안,"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제14권, 제4호, pp.167-178, 2015. https://doi.org/10.21195/jidr.2015.14.4.014
- 이병현, "미국 MOOC 최근 운영동향을 통해 본 MOOC 역할과 K-MOOC 운영에 대한 시사점,"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23권, 제2호, pp.227-251, 2017.
- 김선영, "대학 교육의 ICT 활용 동향: 온라인 대중 공개 강좌 (MOOCs),"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812-813, 2013.
- 최근호, "MOOCs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한국디자인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812-813, 2013.
- 이정민, 박현경, "국내 로봇활용 SW 교육에 대한 연구 동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0호, pp.190-205,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10.190
- 김건희, 허명진, 박병도, "자기조절력 관련 연구 동향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제54권, 제2호, pp.425-447, 2015.
- 민혜리, 금선영, "묵 (MOOCs) 에 대한 한국 대학교육 전문가의 인식 조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7호, pp.222-235,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7.222
- 박태정, 나일주, "한국 대학생의 K-MOOC 학습 경험에 대한 내용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2호, pp.446-457,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12.446
- T. Atapattu and K. Falkner, "Impact of Lecturer's Discourse for Students' Video Engagement: Video Learning Analytics Case Study of MOOCs," Journal of Learning Analytics, Vol.5, No.3, pp.182-197, 2018. https://doi.org/10.18608/jla.2018.53.12
- J. C. De Gagne, K. Manturuk, H. K. Park, J. L. Conklin, N. W. Roth, B. E. Hook, J. M. Kulka, "Cyberincivility in the Massive Open Online Course Learning Environment: Data-Mining Study," JMIR medical education, Vol.4, No.2, 2018.
- Z. Namestovski, L. Major, G. Molnar, Z. Szuts, P. Esztelecki, and G. Korosi, "External Motivation, the Key to Success in the MOOCs Framework," Acta Polytechnica Hungarica, Vol.15, No.6, pp.125-142, 2018.
- 박혜진, 차승봉, "대학생의 MOOC 사용의도에 대한 개인 혁신성, 학업적 자기효능감, MOOC 학업관련성, 지각된 유용성 간의 구조적 관계 탐색," 교육연구논총, 제39권, 제3호, pp.55-81, 2018.
- T. Hulin, "Diffusion of digital culture," 에피스테메, 제17호, pp.135-150, 2017.
- O. Poquet, V. Kovanovic, P. de Vries, T. Hennis, S. Joksimovic, D. Gasevic, and S. Dawson, "Social presence in massive open online courses," International Review of Research in Open and Distributed Learning, Vol.19, No.3, 2018. https://doi.org/10.19173/irrodl.v19i3.3754
- 강영민, 박주호, 이효진, "성인학습자의 K-MOOC 참여 및 성공적 이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교육학연구, 제56권, 제1호, pp.85-105, 2019.
- 강승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서 대중 공개 온라인 강좌(MOOCs) 개발과 운영 실제-"First Step Korean" 사례를 중심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제44권, pp.1-22, 2016.
- 한상미, 이복자, 최유경, 조하민, "한국어 교육을 위한 대중 공개 온라인 강좌 (MOOC) 개발의 원리와 실제-Learn to Speak Korean 1사례를 중심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제45권, pp.357-390, 2016.
- 한상미, "대중 공개 온라인 강좌 (MOOCs) 를 위한 한국어 교재 개작 원리 연구-'Learn to Speak Korean 1'사례를 중심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제48권, pp.107-136, 2018.
-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보고서, 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