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Influencing Factors for Job Stress in University Administrative Staff

대학 행정 직원의 직무스트레스 및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최수찬 (연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이은혜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 원경림 (남서울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 조영림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 김다솜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Received : 2019.04.10
  • Accepted : 2019.05.14
  • Published : 2019.07.28

Abstract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at the essence of university administrative staff's job stress and relevant characteristics that could influence their stress at work. For this research, we collected 250 samples of university administrative staffs in Seoul from March to April, 2017 and used 227 ones for final analys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cultur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job characteristics (job satisfaction, job control, emotional labor) tended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to Job stress.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Employee Assistant Program (EAP) should be launched in order to provide integrated services for university staff. Second, diverse psycho-social services, such as consultation, leisure activities, and empowerment, should be provided by utilizing the resources of university. Lastly,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needs to support for enhancing the staff's work environments.

본 연구는 대학 행정 직원의 다양한 직무스트레스와 그 영향 요인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대학 행정직원의 근로환경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사회복지적 개입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2017년 3월부터 약 5주간 서울 소재 4년제 대학교에 근무하는 행정 직원 250명을 대상으로 편의 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 227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조직적 특성(조직몰입, 조직문화, 조직 지원)과 직무 특성(직무만족, 직무 통제, 감정노동)은 직무 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제언으로 첫째, 통합적이고 다양한 문제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근로자지원프로그램(EAP) 도입이 필요하다. 둘째, 대학이 갖고 있는 자원 및 인프라를 활용한 다양한 형태의 복지 서비스(상담, 여가활동 기회 제공, 역량 강화 교육 등) 제공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대학 행정 직원의 업무환경 개선을 위한 지자체 및 교육청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Keywords

표 1. 조직몰입 타당성 및 신뢰도

CCTHCV_2019_v19n7_67_t0001.png 이미지

표 2. 조직문화 타당성 및 신뢰도

CCTHCV_2019_v19n7_67_t0002.png 이미지

표 3. 조직지원 타당성 및 신뢰도

CCTHCV_2019_v19n7_67_t0003.png 이미지

표 4. 직무만족 타당성 및 신뢰도

CCTHCV_2019_v19n7_67_t0004.png 이미지

표 5. 직무통제 타당성 및 신뢰도

CCTHCV_2019_v19n7_67_t0005.png 이미지

표 6. 감정노동 타당성 및 신뢰도

CCTHCV_2019_v19n7_67_t0006.png 이미지

표 7. 직무스트레스 타당성 및 신뢰도

CCTHCV_2019_v19n7_67_t0007.png 이미지

표 8. 대학 행정 직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CCTHCV_2019_v19n7_67_t0008.png 이미지

표 9.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스트레스수준

CCTHCV_2019_v19n7_67_t0009.png 이미지

표 10. 주요 변수 간 상관관계

CCTHCV_2019_v19n7_67_t0010.png 이미지

표 11. 직무스트레스 영향 요인 분석

CCTHCV_2019_v19n7_67_t0011.png 이미지

References

  1. 고지영, 교직원의 경력계획이 경력몰입과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2. https://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170905, 2018.10.08.
  3. 교육부, 대학 기본역량 진단 및 재정지원사업 개편 시안 발표 시나리오, 대학정책실, 2017.
  4. 통계청, 2015년 사회조사 결과 보도자료, 장래인구추계: 2015-2065년. 통계청 사회통계국 사회통계기획과, 2016.
  5. khei-khei.tistory.com, 2018.10.08.
  6. OECD, "Hours worked (indicator)," doi: 10.1787/47be1c78-en (Accessed on 23 January 2019), 2019.
  7. 이병훈, 이상호, "서비스노동 유형별 직무스트스의 발생매커니즘에 관한 연구," 산업관계연구. 제21권, 제1호, pp.65-93, 2011.
  8. A. P. Brief, R. S. Schuler, and M. Van Sell, Managing Job Stress, Bostaon: Little. Brown. 1981.
  9. C. L. Cooper and J. Marshall, "Occupational sources of stress : A review of the literature relating to coronary heart disease and mental ill health," Journal of Occupational stress psychology, Vol.49, pp.11-28, 1976. https://doi.org/10.1111/j.2044-8325.1976.tb00325.x
  10. J. R. P. French, W. Rodgers, and S. Cobb, Adjustment as person-environment fit. Coping and adaptation, New York: Basic Books, pp.316-333, 1974.
  11. T. A. Beehr and J. E. Newman, "Job stress, employee health,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a facet analysis, model, and literature review," personnel psychology, Vol.31, No.4, pp.665-699, 1978. https://doi.org/10.1111/j.1744-6570.1978.tb02118.x
  12. M. Kivimaki, "Work Stress as a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Current cardiology reports, Vol.17, No.9, 2015.
  13. R. S. Lazarus and S. Folkman, "Stress, appraisal, and coping,"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984.
  14. 김준호, 장세진, "근로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건강이상과의 관련성," 보건과 사회과학, 제31권, pp.5-24, 2012.
  15. http://www.apear.org/. 2018.10.08.
  16. European commission, Guidance on work-related stress: Spice of Life or Kiss of Death, Executive summary, 7. 2002.
  17. 김매자, 구미옥, "간호원이 근무에 경험하는 스트레스 측정을 위한 도구개발 연구," 한국간호과학회, 제14권, 제2호, pp.28-37, 1984.
  18. 최해진, 권혁기, "종업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지, 제21권, 제4호, pp.1723-1749, 2008.
  19. 최수찬, 우종민, 왕은자, 장승혁, 근로자지원프로그램(EAP), 서울: 군자출판사, 2017.
  20. D. Hellriege, J. W. Slocum, and R. W. Woodman, Original Behavior, West Publishing Company, (4th ed), p.159, 1986.
  21. 이종열, 박광욱,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인천지역 소방공무원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제49권, 제4호, pp.331-356, 2011.
  22. 신원상, 손창백, "건설회사 사무직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 분석 및 해소방안," 한국건축시공학회, 제15권, 제5호, pp.537-543, 2015. https://doi.org/10.5345/JKIBC.2015.15.5.537
  23. 김주원, 함수근, "지방공무원 직무스트레스 요인분석과 대응방안," 한국인사행정학회, 제6권, 제1호, pp.131-161, 2007.
  24. 이상미, "병원간호조직의 특성과 개인의 특성이 결과변수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제13권, 제2호, pp.156-166, 2007.
  25. 강동묵, 장세진, 직무스트레스의 현대적 이해, 서울: 고려의학, 2005.
  26. R. T. Mowday, R. M. Steers, and L. W. Porter,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14, No.2, pp.224-247, 1979. https://doi.org/10.1016/0001-8791(79)90072-1
  27. 최선미, 홍준형, 이재완, "중앙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직무태도 간의 관계 : PSM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현대사회와 행정, 제26권, 제3호, pp.85-115, 2016.
  28. 이환범, 이수창,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이직의도 간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조직학회보, 제3권, 제2호, pp.83-101, 2006.
  29. 홍연숙, "제주지역 사회복지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 간의 관계-상사의 사회적 지원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61권, pp.53-80, 2017.
  30. K. L. Gregory, "Native View Paradigms, Multiple Cultures and Culture Conflicts in Organizatio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28, No.3, pp.359-376, 1983. https://doi.org/10.2307/2392247
  31. 이학종, 한국기업의 문화적 특성과 새 기업문화 개발, 박영사, 1997.
  32. 민진, 조직관리론, 대영문화사, 1996.
  33. 강종혁, 조직문화의 유형과 직무스트레스 : 지방 정부 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34. R. Eisenberger, R. Huntington, S. Hutchison, and D. Sowa,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1, No.3, pp.500-507, 1986. https://doi.org/10.1037/0021-9010.71.3.500
  35. 유희경, 원철식, 김수정, 관광산업 회계학원론, 백산출판사, 2009.
  36. 문유석, "경찰관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영향요인," 한국지방정부학회, 제14권, 제4호, pp.41-60, 2011.
  37. 김지숙, 조직지원이 콜센터 상담사의 회복탄력성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콜센터를 중심으로, 부산카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38. 송현진, 조윤직,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에 관한 연구 : 소진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 지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동계학술발표논문집, pp.740-769, 2015.
  39. J. R. Hackman and G. R. Oldham, "Developent of the job diagnostic survey," Jonal of Applied Psychology, Vol.60, pp.159-170, 1975. https://doi.org/10.1037/h0076546
  40. 이상구, 이용규,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유발원인과 결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직무특성, 역할혼돈, 동료관계와 조직몰입을 중심으로," 한국화재소방학회, 제21권, 제2호, pp.74-86, 2009.
  41. 홍경옥, "여행사 종사원이 직무특성이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제29권, 제12호, pp.177-194, 2017.
  42. B. E. Ashforth and R. H. Humphrey, "Emotion in the workplace : A reappraisal," Human Relations, Vol.48, No.2, pp.97-125, 1995. https://doi.org/10.1177/001872679504800201
  43. 정은성, 박재민, "특급호텔 식음료부서 종사원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이직의도 간의 영향 관계,"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제24권, 제7호, pp.113-132, 2015.
  44. 김상범, 임은정, "객실승무원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피로관리와 직무만족 간의 관계성 연구," 관광연구학회, 제30권, 제12호, pp.137-151, 2016.
  45. 한금선, 김태윤, "일 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대처유형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학회, 제23권, 제1호, pp.39-48, 2015.
  46. 김민주, "호텔종업원의 감정노동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학연구, 제21권, 제2호, pp.219-141, 1998.
  47. 문연희, 정경은, 이성근, 최지호, "항공 서비스에서 정서 노동, 직무 소진, 그리고 고객 지향성 간의 관계," 상품학연구, 제26권, pp.131-140, 2008.
  48. N. W. Van Yperen and M. Hagedoorn, "Do high job demands increase intrinsic motivation or fatigue or both? The role of job control and job social support,"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6, No.3, pp.339-348, 2003. https://doi.org/10.2307/30040627
  49. R. A, Karasek, "Job demands, Job latitude, and mental strain : Implications for job redesig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24, pp.285-308, 1979. https://doi.org/10.2307/2392498
  50. H. C. Smith, Psychology of Industrial Behavior, New York: McGraw Hill Book Co, pp.56-62, 1955.
  51. L. W. Porter and R. M. Steers, "Organizational, work, and personal factors in employee turnover and absenteeism," Psychological bulletin, Vol.80, No.2, p.151, 1973. https://doi.org/10.1037/h0034829
  52. 김형섭, "호텔종사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관광연구, 제19권, 제3호, pp.203-225, 2005.
  53. 옥원호, 김석용, "지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보, 제35권, 제4호, pp.355-373, 2001.
  54. 하제현, "골프장 캐디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몰입간의 인과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 제62권, pp.233-244, 2015.
  55. 최선영, 이소령, 최슬기, 김은진, 최상준, "일부 사립대학 교직원들에 대한 직무스트레스 요인 평가," 자연과학연구논문집, 제11권, 제1호, pp.153-162, 2013.
  56. 박영희, 김진옥, 김정만, 김동일, 김준연, 정갑열, "대학교 교직원의 건강진단 결과의 분석,"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부설 산업의학연구소 산업의학연구소, 제1권, pp.40-50, 1992.
  57. 김은경, "강릉대학교 교직원의 건강진단 결과의 분석 및 고찰," 강릉대학교동해안지역연구소 동해안연구, 제4권, 제2호, pp.41-57, 1993.
  58. 김형룡, 김정묵, "전문대학교직원의 여가활동참여와 조직전념도의 관계," 한국스포츠리서치, 제15권, 제4호, pp.913-921, 2004.
  59. 이혜경, 박연숙, 김현숙, 백승순, 지현순, "일 대학교 교직원의 생활습관과 체질량지수 및 생화학적 지수에 관한 연구," 기초간호자연과학회 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제13권, 제3호, pp.298-306, 2011.
  60. 남문희, 민경화, "대학교 교직원의 건강행태, 자살생각지수가 주관적 행복지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상보건과학회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제2권, 제2호, pp.79-89, 2014. https://doi.org/10.15205/kschs.2014.2.2.79
  61. 송은주, 박성률, "대학건강증진을 위한 대학구성원들의 체육활동 참여 실태 및 수요 분석과 활성화 방안," 한국열린교육학회 열린교육연구, 제26권, 제1호, pp.117-143, 2018.
  62. 신현석, "대학 교직원의 직무만족 요인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고등교육학회 고등교육연구, 제9권, 제1호, pp.119-145, 1997.
  63. 민경호, 정문영, "대학교직원의 조직행동과 직무성과 제고를 위한 연구," 호서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 제19권, 제1호, pp.199-220, 2000.
  64. 유은영, 장병희, 남상현, "조직커뮤니케이션 만족이 직무 만족, 조직몰입,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대학 교직원 집단을 중심으로," 한국소통학회 한국소통학보, 제12권, pp.68-105, 2009.
  65. 김은혜, 이윤경, "대학 교직원 직무만족제고를 위한 필라테스 프로그램 적용 사례연구," 한국리듬운동학회, 제4권, 제2호, pp.1-17, 2011.
  66. 신현석, 이준옥, 배천웅, "대학 교직원들의 조직 헌신도에 관한 연구," 한국고등교육학회 고등교육연구, 제6권, 제2호, pp.47-66, 1994.
  67. 임성범, "Fuzzy DEMATEL을 통한 대학 교직원의 조직저항요인 탐색,"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제32권, 제4호, pp.263-296, 2014.
  68. 정영란, "사이버대학 질 관리 현황 평가 및 질 관리개선 방안,"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원격교육연구소 평생학습사회, 제8권, 제3호, pp.201-232, 2012.
  69. 김형도, 윤승재, "사이버대학교 대학평가의 평가항목 가중치 분석 - H사이버대학교 교직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양사이버대학교 종합연구원 사이버교육연구, 제8권, 제1호, pp.19-38, 2014.
  70. 이종원, 최은수, "대학 교직원의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리더십 역량 강화 프로그램 사례 분석," 숭실대학교 한국평생교육 . HRD연구소, 평생교육 . HRD연구, 제9권, 제2호, pp.119-140, 2013.
  71. 박용호, 전주성, 백종면, "국립대학교 교직원 역량모델 개발 및 교육요구도 분석," 역량개발학습연구, 제9권, 2호, pp.51-67, 2014.
  72. 나달숙, "종립대학에서의 교직원채용의 자유와 제한: 대학의 자율성을 중심으로," 대한교육법학회 교육 법학 연구, 제21권, 제2호, pp.65-88, 2009.
  73. 이우진, "종교계 대학에 있어서 교직원 채용의 자유와 제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12호, pp.836-842,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12.836
  74. C. A. Thompson, L. L, Beauvais, and K. S. Lyness, "When Work-Family Benefits Are Not Enough: The Influence of Work-Family Culture on Benefit Utilization Organizational Attachment, and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54, No.3, pp.392-415, 1999. https://doi.org/10.1006/jvbe.1998.1681
  75. Rhoades, Eisenberger, and Armeli, "Affective commitoment to the organization: the contribution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6, No.5, pp.825-836, 2001. https://doi.org/10.1037/0021-9010.86.5.825
  76. L. T. Thomas and D. C. Ganster, "Impact of Family-supportive work variables on Work-Family conflict and strain: a control perspectiv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0, No.1, pp.6-15, 1995. https://doi.org/10.1037/0021-9010.80.1.6
  77. J. A. Morris and D. C, Feldman, "The Dimension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1, 1996.
  78. 장세진, 고상백, 강동묵, 김성이, 강명근,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대한산업의학회지, 제17권, 제4호, pp.297-317, 2005.
  79. 최수찬, 김상아, 허영혜, 박웅섭, "사회복지사의 근로조건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 제33권, 제2호, pp.221-231, 2008.
  80. R. Hocking and O. Pendleton, "The regression dilemma," Communications in Statistics-Theory and Methods, Vol.12, No.5, pp.497-527, 1983. https://doi.org/10.1080/03610928308828477
  81. 김병숙, 안윤정, 이보비, "직무스트레스 요인 및 반응에 대한 성차분석," 페미니즘 연구, 제9권, 제2호, pp.157-196, 2009.
  82. 노용진, 김미란, "호봉제와 근속연수별 임금격차," 산업관계연구, 제26권, 제1호, pp.1-25, 2016.
  83. 왕은자, 김계현, "근로자지원로그램(EAP) 기업상담의 연구동향 분석: 효과연구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제8권, 제4호, pp.1411-1433, 2007. https://doi.org/10.15703/KJC.8.4.200712.1411
  84. 한국노총중앙연구원, 근로자종합복지관 운영 활성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방안, 고용노동부,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