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어린이집 영아반교사(1~2세반)의 신체활동 실행과 지원요구

Professional Practical of Physical Activities and Support Requests from Child Care Center Teachers of Infants Aged 1 to 2

  • 이영심 (제주국제대학교 유아교육과)
  • Lee, Young Shim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Jeju Inter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9.04.29
  • 심사 : 2019.06.12
  • 발행 : 2019.06.30

초록

본 연구목적은 어린이집 1세와 2세반의 영아반 교사에 따라 나타난 신체활동 운영계획, 내용선정, 평가의 실행과 지원요구 차이를 분석하여 영아 발달수준에 적합한 신체활동 운영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J도 어린이집 영아반 담임교사 221명이며, 51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배포하여 수집된 자료는 ${\chi}^2$ 검증, 독립표본 t-검증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신체활동 실행 변인 중에서 학급크기, 수업계획자, 적합한 지도자, 실외운동 주당수업 빈도와 수업시간, 연계교육 계획의 일부 변인, 신체활동 내용선정의 일부 변인, 신체활동 평가의 일부 변인에서 반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신체활동 실행 시 지원요구 변인 중에서 신체활동계획안 작성법, 교수학습방법, 평가방법, 신체표현활동프로그램, 보수교육운영 시 표준보육과정 신체운동영역의 일부 변인에서 반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논의된 1세반과 2세반에 적합한 신체활동 운영방안과 교사의 지원 요구를 개선시킬 수 있는 방안의 일환으로 효율적인 영아보수교육 운영에 대해서 제언도 하였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physical activity management plans for different developmental levels in infants. This study analyses the difference between support requests and the professional practical of evaluations, content selection, and physical activity management plans displayed by teachers of one and two-year-old infants.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21 teachers from child care centers throughout J-do to whom a questionnaire containing 51 questions was distributed. Collected data was verified with a chi-squared test and an independent samples t-test. Results: First, among variables of professional practical of physical activities, some factors including class size, class planners and leaders, the number of outdoor classes per week and requisite time, parts of related education plans, parts of content selection for physical activities, and parts of the evaluation of physical activiti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class. Second, among variables of support requests when implementing physical activities, some factors including methods of preparing physical activity plans, teaching -learning methods, evaluation methods, body expression activity programs, and parts of physical exercise in the standardized child care curriculum of refresher and extension cours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class.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discusses the effective management of refresher and extension courses as a way to improve physical activity management plans and teachers' support requests for infants aged 1 to 2.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세경, 성은영, 서동미(2014). 만 3세 유아 교사의 누리과정 인식과 실행. 한국보육학회지, 14(4), 39-70.
  2. 권혜진(2016). 원인연쇄분석을 활용한 영아반 신체활동 수업컨설팅 과정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3(4), 247-278. doi:10.22155/JFECE.23.4.247.278
  3. 김길숙(2017). 유치원.어린이집에서의 신체활동 실시상의 어려움에 대한 원장(원감) 및 교사의 인식 연구. 육아정책연구, 11(3), 1-20. https://doi.org/10.5718/KCEP.2017.11.3.1
  4. 김상겸, 서소정(2017). 유아의 기본움직임기술과 놀이성의 관계에서 유아의 자기조절력의 매개 및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4(4), 187-212. doi:10.22155/JFECE.24.4.187.212
  5. 김주연, 김경숙(2011). 유아교사의 신체활동 지도실제와 지도스트레스. 생태유아교육연구, 10(1), 151-174.
  6. 박성혜(2012). 어린이집 특별활동 적정 관리 방안 이후 특별활동 실태 및 교사인식.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박영미, 김혜순(2014). 신체접촉 중심의 전래놀이 활동이 유아-교사관계 및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효과. 인지발달중재학회지, 5(2), 17-34.
  8. 박유미, 안진경(2010). 영아의 또래 간 신체활동이 또래상호작용과 발달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발전연구, 10(1), 53-73.
  9. 보건복지부(2013).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해설서. 서울: 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
  10. 보건복지부(2019). 2019년도 보육사업안내. 세종: 보건복지부.
  11. 보건복지부, 육아정책연구소(2013).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교사용 지침서. 세종: 보건복지부, 육아정책연구소.
  12. 서은경, 곽승주(2017). 어린이집 영아 특별활동 실태 및 원장과 부모의 인식 비교. 열린부모교육연구, 9(1), 203-229.
  13. 성연정, 홍혜경(2015). 2세 영아의 도구 탐색을 통한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유아교육연구, 35(5), 129-158.
  14. 송순옥, 성연정(2017). 그림책을 활용한 만 2세 영아의 신체활동이 기본운동능력 및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8(2). 45-66. doi:10.22154/JCLE.18.2.3
  15. 심영희, 성소영(2013). 영아교사와 유아교사 역할 수행에 관한 보육교사의 인식 차이. 아동교육, 22(2), 121-138.
  16. 이미화, 정주영, 엄지원(2014). 제3차 어린이집 표준 보육과정에 대한 만 0-2세 영아반 보육교사의 인식 및 요구. 육아정책연구, 8(2), 111-131.
  17. 이영심(2016). 3-5세 누리과정 신체운동영역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행 시 어려움. 한국보육학회지, 16(3), 163-185. doi:10.21213/kjcec.2016.16.3.163
  18. 이영심(2018). 유아교육기관의 3-5세 반별에 따른 신체운동프로그램 운영실태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108, 21-43.
  19. 임준구(2012). 기관유형에 따른 만 2세미만 표준 보육과정 운영실태 및 장애요인 인식. 아시아아동복지연구, 10(3), 129-149.
  20. 주혜진, 성소영(2012). 유아체육활동에 대한 운영실태 및 유아교사의 인식. 한국보육학회지, 12(2), 163-193.
  21. 지성애, 오세경(2012). 유아 동작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태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6(1), 5-30.
  22. 황복주, 이종희(2018). 영아기 가상놀이의 상징화 수준과 언어 및 마음이론 발달간의 관계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5(1), 105-131. doi:10.22155/JFECE.25.1.105.131
  23. 황인애, 권경숙(2015). 2세 영아가 경험하는 신체활동의 교육적 의미 탐색. 교육연구, 64, 185-216.
  24. Bredekamp, S., & Copple, C. (1997).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in early childhood programs. Washington, D.C.: NAEYC.
  25. Burdette, H. L., & Whitaker, R. C. (2005). Resurrecting free play in young children: Looking beyond fitness and fatness to attention, affiliation and affect. Archives of Pediatrics & Adolescent Medicine, 159(1), 46-50. https://doi.org/10.1001/archpedi.159.1.46
  26. Gallahue, D. L., & Ozmun, J. C. (2006). Understanding motor development: Infants, children, Adolescents, Adults (6th ed.). NY: McGrow Hill.
  27. NAEYC. (1991). Guidelines for appropriate curriculum content and assessment in programs serving children ages 3 through 8. Young children, 30, 21-38.
  28. Payne, V. G., Issacs L. D. (2008). Human motor development: A lifespan approach (5th ed.). Boston: McGraw Hill.
  29. Pica, R. (2010). Experiences in movement & music: Birth to age 8 (4th ed.). CA: Cengage Learning, Wadsworth.
  30. Sanders, S. W. (2002). Active for life: Developmentally appropriate movement programs for young children. ON: Himan Kinetics Publis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