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신입생을 위한 감사증진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감사성향, 공감능력, 그리고 학과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ratitude Enhancement Program for Freshmen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Gratitude Disposition, Empathic Ability, Department Satisfaction

  • 이세나 (장안대학교 유아교육과) ;
  • 김민정 (장안대학교 유아교육과)
  • Lee, Sae Na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Jangan University) ;
  • Kim, Min Jeong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Jangan University)
  • 투고 : 2019.04.30
  • 심사 : 2019.06.13
  • 발행 : 2019.06.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과 신입생들을 위한 감사증진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감사성향, 공감능력, 그리고 학과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3년제 전문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신입생 55명이며, 이들 중 28명은 실험집단에, 27명은 비교집단에 배치되었다. 실험집단에 속한 유아교육과 신입생들은 2018년 14학기 동안 인지, 정서, 행동적 영역이 통합되어 구성된 감사증진 프로그램을 경험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프로그램 실시 사전과 사후에 유아교육과 신입생들의 감사성향, 공감능력, 학과만족 검사를 실시하여 SPSS WIN 20.0을 활용한 공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유아교육과 신입생을 위한 감사증진 프로그램은 예비유아교사의 감사성향, 공감능력, 학과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학과적응과 학습 지속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의 구체적 방법론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 of gratitude enhancement program for freshman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gratitude disposition, empathic ability, and department satisfaction. Methods: 55 freshmen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wenty-eight of them were classifi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made to go through gratitude enhancement program for freshman. Twenty-seven of them were classified as a control group. The gratitude enhancement program for freshman consisted of lectures on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gratitude factors. To verify the effect of this program, the tests on gratitude disposition, empathic ability, and department satisfaction were carried out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NCOVA. Results: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the gratitude enhancement program was effective for improving gratitude disposition, empathic ability, and department satisfac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illustrated the need of gratitude enhancement program and its methodologie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ollege adjustment and persistence by improving gratitude disposition, empathic ability, and department satisfac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유경, 유소영(2017). 간호대학생의 공감역량, 감정성향, 실습지에서 지각한 약자괴롭힘이 전공 적응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9(4), 2219-2231. https://doi.org/10.37727/jkdas.2017.19.4.2219
  2. 권석만(2011). 인간의 긍정적 성품. 서울: 학지사.
  3. 권선중, 김교헌, 이홍석(2006). 한국판 감사 성향 척도(K-GQ-6)의 신뢰도 및 타당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1), 177-190.
  4. 권혜진(2007). 대학생의 대학환경풍토지각과 대학생활 적응 및 학업성취도간의 관계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계현, 하혜숙(2000) 대학생의 학과(학부) 만족의 요인에 관한 연구. 상담학연구, 1(1), 7-20.
  6. 김남연, 류혜숙(2007). 3년제 유아교육과 신입생들의 대학생활 적응 과정의 어려움. 유아교육학논집, 11(4), 363-387.
  7. 김미라(2009). 중학생의 학업성취압력 지각과 공감 능력이 심리적 안녕감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수연(2012). 대학 중도탈락생의 이동 경로 구조 분석. 교육과학연구, 43(3), 131-163.
  9. 김수올(2018). 간호대학 신입생의 학교생활 적응 영향 요인.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2), 1077-1088. https://doi.org/10.37727/jkdas.2018.20.2.1077
  10. 김연정(2018). 일기활동이 대학신입생의 행복, 감사 성향 및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8), 833-847. doi:10.22251/jlcci.2018.18.18.833
  11. 김유리(2009). 감사성향이 안녕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 조절 전략을 매개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은영(1993). 대학생의 심리적 독립과 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은주(2017). 대학생의 공감능력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감사성향과 도움행동의 매개효과.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희경, 심현옥, 문숙남, 이정민(2014). 감사증진 프로그램이 생도들의 감사성향, 행복감,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군진간호연구, 32(2), 69-81.
  15. 노지혜(2005). 나는 왜 감사해야하는가?: 스트레스 상황에서 감사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문은주(2014). 대학생용 감사프로그램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1(3), 541-562. doi:10.16983/kjsp.2014.11.3.541
  17. 박찬경(2014). 청소년기 공감능력이 학교생활적응과 학교폭력태도에 미치는 영향.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배은경(2011). 청소년의 공감능력이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치료학회지, 3(1), 85-100.
  19. 소영호(2014). 생활체육 참가자의 공감능력이 회복탄력성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53(1), 167-180.
  20. 송윤정(2013).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
  21. 송정원, 이현정, 이대균(2007). 2, 3년제 대학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학과 적응과 정의 질적 고찰: 신입생이 인식하는 학과의 문화적 특성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2(2), 375-401.
  22. 신경숙(2009). 예비유아교사의 학과적응, 진로결정도 및 종교활동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교사교육연구, 48(2), 1-20.
  23. 신경일(1994). 상담자 교육을 위한 공감훈련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신애자, 김용수(2016). 감사 연구동향 및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상담학연구, 17(1), 149-168. doi:10.15703/kjc.17.1.201602.149
  25. 심은진(2013).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양진희(2013). 감사일기쓰기활동 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감사성향과 자아존중감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3(2), 259-280. doi:10.18023/kjece.2013.33.2.012
  27. 어윤경(2011). 청소년기 진로상담 만족도, 대학 전공 만족도 및 진로성숙도간의 관계 분석: 대학 전공 선택 요인의 조절효과. 상담학연구, 12(5), 1793-1811. doi:10.15703/kjc.12.5.201110.1793
  28. 오은주, 남재걸(2017). 고등학생의 사회불안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7), 105-128. doi:10.22251/jlcci.2017.17.7.105
  29. 원두리(2011). 성격 강점이 청소년의 안녕감과 적응적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16(1), 151-167. doi:10.17315/kjhp.2011.16.1.010
  30. 윤해정, 조붕환(2011). 인지행동적 감사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감사성향과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 초등상담연구, 10(1), 1-17.
  31. 이용택(2003). 중학생의 학교생활 및 학교환경 만족도에 관한 연구. 위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이지원, 이기학(2017). 대학생의 강점인식과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 강점활용과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8(1), 205-228. doi:10.15703/kjc.18.1.201702.205
  33. 이찬숙, 이혜경(2014). 전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K전문대학교 신입생을 중심으로. 대학생활연구, 20(1), 19-31.
  34. 이효숙(2011).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주도적 진로설정 프로그램 개발. 유아교육학논집, 15(2), 491-510.
  35. 임경희(2010a). 감사성향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상담학연구, 11(1), 1-17. doi:10.15703/kjc.11.1.201003.1
  36. 임경희(2010b). 아동의 스트레스 경험과 감사성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 23(3), 215-238.
  37. 임현정(2012). 부모의 애착과 공감이 유아의 마음 읽기와 공감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정현주, 김현수(2018). 감사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감사성향, 공감능력,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13(3), 55-77. doi:10.23931/kacp.2018.13.3.55
  39. 조진형, 김경미, 김동원, 김정희(2008). 감사일기 작성이 주관적 안녕감, 자기 존중감, 자기 효능감, 감사성향 및 신체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효과. 담론 201, 11(2), 75-101. doi:10.17789/discou.2008.11.2.003
  40. 최명선, 김광웅, 한현주(2005). 치료자의 전문적 경험과 공감능력이 내담아동이 지각한 치료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3), 503-521.
  41. 최미숙(2006). 유아교육과 졸업반 학생들의 공감적 이해와 배려지향적 도덕성이 교사 역할수행 인식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6(5), 425-443.
  42. 추병완(2015a). 감사의 도덕적 본질과 교육방안. 교육과정평가연구, 18(1), 31-59.
  43. 추병완(2015b). 학교유대감 형성을 위한 감사의 기능. 초등도덕교육, 49, 67-90. doi:10.17282/ethics.2015.49.67
  44. 한종숙(2015).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영향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4), 683-697. doi:10.5762/KAIS.2015.16.7.4459
  45. 한지영(2012). 아동과 청소년의 도덕적 정서와 도움 행동 간의 관계: 공감, 죄책감 및 감사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함승래(2015). 성인ADHD 성향과 대인관계 문제: 정서인식 명확성과 공감의 매개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황상하(1995). 대학생의 스트레스 및 대처방식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8. 황수영, 윤미선(2018). 청소년의 공감, 친사회적 행동, 학교행복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육학연구, 24(1), 173-197. doi:10.29318/KER.24.1.7
  49. Adler, M. G., & Fagley, N. S. (2005). Appreciation: Individual differences in finding value and meaning as a unique predictor of subjective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73(1), 79-114. doi:10.1111/j.1467-6494.2004.00305.x
  50. Bartlett, M. Y., & DeSteno, D. (2006). Gratitude and prosocial behavior. Psychological Science, 17(4), 319-325. doi:10.1111/j.1467-9280.2006.01705.x
  51. Bono, G., & Froh, J. (2009). Gratitude in school: Benefits to students and schools. In R. Gilman, E. S. Huebner, & M. J. Furlong (Ed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in schools (pp. 77-88). New York, NY: Routledge.
  52. Chartrand, J. M. (1992). An empirical test of a model of nontraditional student adjustment.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9(2), 193-202. doi:10.1037//0022-0167.39.2.193
  53. Cosden, M. A., & McNamara, J. (1997). Self-concept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among college students with and without learning disabilities. Learning Disability Quarterly, 20(1), 2-12. doi:10.2307/1511087
  54. Davis, M. H. (1980).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individual difference in empathy. JSAS Catalog of Selected Documents in Psychology, 10, 85-103.
  55. Dovidio, J. F., & Banfield, J. C. (2015). Prosocial behavior and empathy. In J. D. Wright (Ed.),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2nd ed. Vol. 19.) (pp. 216-220). Oxford, England: Elsevier.
  56. Emmons, R. A., & Crumpler, C. A. (2000). Gratitude as a human strength: Appraising the evidence.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19(1), 56-69. doi:10.1521/jscp.2000.19.1.56
  57. Emmons R. A., & McCullough, M. E. (2003). Counting blessings versus burdens: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gratitude and subjective well-being in daily lif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2), 377-389. doi:10.1037//0022-3514.84.2.377
  58. Froh, J. J., Miller, D. N., & Snyder, S. F. (2007). Gratitud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Development, assessment and school-based intervention. School Psychology Forum, 2(1), 1-13.
  59. Froh, J. J., Sefick, W. J., & Emmons, R. A. (2008). Counting blessings in early adolescents: An experimental study of gratitude and subjective well being.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46(2), 213-233. doi:10.1016/j.jsp.2007.03.005
  60. Halamandaris, K. F., & Power, K. G. (1997). Individual differences, dysfunctional attitudes, and social support: A study of the psychological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of home studen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2(1), 93-104. doi:10.1016/S0191-8869(96)00175-4
  61. Huebner, E. S., Valois, R. F., Paxton, R. J., & Drane, J. W. (2005).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quality of life.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6(1), 15-24. doi:10.1007/s10902-004-1170-x
  62. Kashdan, L., Uswatte, G. M., & Julian, T. (2005). Gratitude and hedonic and eudiamonic well-being in Vietnam war veterans. Behavior Research and Therapy, 44(2), 177-199. doi:10.1016/j.brat.2005.01.005
  63. Lamonthe, D., Currie, F., Alisat, S., & Sullivan, T. (1995). Impact of a social intervention in the transition to university. Canadian Journal of Community Mental Health, 14(2), 167-180. doi:10.7870/cjcmh-1995-0023
  64. Lapsley, D. K., Rice, K. G., & Shadid, G. E. (1989).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adjustment to colleg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6(3), 286-294. https://doi.org/10.1037/0022-0167.36.3.286
  65. Loeb, R. C., & Magee, P. M. (1992). Changes in attitudes and self-perceptions during the first two years of college.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33(4), 348-355.
  66. McCullough, M. E., Emmons, R. A., & Tsang, J. A. (2002). The grateful disposition: A conceptual and empirical topograph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2(1), 112-127. doi:10.1037//0022-3514.82.1.112
  67. Mehrabian, A., & Epstein, N. (1972). 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 Journal of Personality, 40(4), 525-543. doi:10.1111/j.1467-6494.1972.tb00078.x
  68. Reschly, A. L., Huebner, E. S., Appleton, J. J., & Antaramian, S. (2008). Engagement as flourishing: The contribution of positive emotions and coping to adolescents' engagement at school and with learning. Psychology in The Schools, 45(5), 419-431. doi:10.1002/pits.20306
  69. Seligman, M. E. P., & Csikszentmihalyi, M. (2000). Positive psychology: An introduction. The American Psychologist, 55(1), 5-14. doi:10.1037/0003-066X.55.1.5
  70. Seligman, M. E. P., Steen, T. A., Park, N., & Peterson, C. (2005). Positive psychology progress: Empirical validation of interventions. American Psychologist, 60(5), 410-421. doi:10.1037/0003-066X.60.5.410
  71. Sheldon, K. M., & King, L. (2001). Why positive psychology is necessary. American Psychologist, 56(3), 216-217. doi:10.1037//0003-066X.56.3.216
  72. Watkins, P. C. (2004). Gratitude and subjective well-being. In R. A. Emmons, & M. E. McCullough (Eds.), The psychology of gratitude (pp. 167-192).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73. Watkins, P. C., Woodward, K., Stone, T., & Kolts, R. L. (2003). Gratitude and happiness: Development of a measure of gratitude and relationship with subjective well-being.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31(5), 431-452. doi:10.2224/sbp.2003.31.5.431
  74. Wilcox, P., Winn, S., & Fyvie-Gauld, M. (2005). It was nothing to do with the university, it was just the people: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first-year experience of higher education. Studies in Higher Education, 30(6), 707-722. doi:10.1080/03075070500340036
  75. Wood, A. M., Joseph, S., & Linley, P. A. (2007). Coping style as a psychological resource of grateful people.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6(9), 1076-1093. doi:10.1521/jscp.2007.26.9.1076
  76. Wood, A. M., Maltby, J., Gillett, R., Linley, P. A., & Joseph, S. (2008). The role of gratitude in the development of social support, stress, and depression: Two longitudinal studies.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42(4), 854-871. doi:10.1016/j.jrp.2007.1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