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the Objectives of the Certification System, the Preparation and Results of Certification, and the Performance of Perceived Certifications in the Institutional Accreditation System of College

전문대학의 기관평가인증제에 있어서 인증제의 목표, 인증의 준비와 결과, 지각된 인증의 성과 간의 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 윤문도 (대전대학교 대학원 융합컨설팅학과) ;
  • 서영욱 (대전대학교 대학원 융합컨설팅학과)
  • Received : 2019.04.05
  • Accepted : 2019.05.27
  • Published : 2019.06.28

Abstract

We researched about the relationship among the Purpose of Assessment Certificate System, the preparation result, certificate, and, the performance of the assessment certificate on the purpose of the empirical analysis. For the testing of a research model, we tested 170 samples that our colleges tested by The Assessment Certificate Syste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are positive and causal effect relationships among the three variables. This study result will expansion and help to maintain performance growth in the college. In the future, the research about the improvement of management performance are needed.

새로운 교육환경의 변화로 고등교육의 자율성 확대와 함께 교육의 질 관리와 책무성 강화에 대한 요구가 확대되는 상황에서 전문대학의 기관평가인증제에 있어서 인증제의 목표, 인증 준비와 결과, 지각된 인증의 성과 간의 관계에 대해 실증연구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 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1주기 평가인증제 심사를 받은 전문대학을 대상으로 170부의 설문지를 표본으로 해서 Smart PLS 2.0을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분석결과 인증제의 목표, 인증의 준비와 결과, 지각된 인증의 성과 간에는 유의미한 긍정적 인과관계가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평가인증제의 체제 개선에 도움을 줄 것이며, 나아가 대학은 평가인증제를 경영성과 향상의 도구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향후 대학의 경영성과 제고로 연결할 수 있는 평가인증의 체제 개선과 인증에 대한 대학의 전략적 접근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겠다.

Keywords

CCTHCV_2019_v19n6_524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연구 모형

CCTHCV_2019_v19n6_524_f0002.png 이미지

그림 2. 연구모형 분석 결과

표 1. 평가인증제 인증 기준 영역과 BSC 관점 대학 경영성과 분야의 연관성

CCTHCV_2019_v19n6_524_t0001.png 이미지

표 2. 설문지 구성과 측정 항목의 정의

CCTHCV_2019_v19n6_524_t0002.png 이미지

표 3. 응답자가 소속된 대학의 특성

CCTHCV_2019_v19n6_524_t0003.png 이미지

표 4. 응답자의 개인적 특성

CCTHCV_2019_v19n6_524_t0004.png 이미지

표 5. 요인 분석,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결과

CCTHCV_2019_v19n6_524_t0005.png 이미지

표 6. 판별타당성 분석 결과

CCTHCV_2019_v19n6_524_t0006.png 이미지

표 7. 가설검증 결과 요약

CCTHCV_2019_v19n6_524_t0007.png 이미지

References

  1. 서범종, 하정윤, 강지연, 박태양, "대학 자체교육인증제 개선 방안 모색-A대학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2호, pp,368-377,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12.368
  2. 이정표, "고등교육기관 평가인증제의 정치적 함의," 교육사회학연구, 제21권, 제3호, pp.119-144, 2011. https://doi.org/10.32465/KSOCIO.2011.21.3.006
  3. P. L. Dressel, Handbook of Academic Evaluation, San Francisco : Jossey-Bass Publishers, 1976.
  4. 고등직업교육평가인증원, 전문대학 기관평가인증제 편람, 선명인쇄(주), 2011.
  5. 손성진, "한국 경영학(회계학) 학문분야 평가인증제와 평가인증기준에 대한 현황과 개선방향," 경영학연구, 제47권, 제3호, pp.673-701, 2018.
  6. 이영환, 임정도, "의료기관 인증 후 환전안전 및 질 관리 변화와 경영활동 변화 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5권, 제1호, pp.286-299, 2015.
  7. 강성환, 한대희, "전문대학 평가지표 개선을 위한 주요정량지표 변화분석 연구," 직업교육연구, 제34권, 제4호, pp.151-168, 2015.
  8. 김정기, 김기홍, 남형우, 신상호, 정석창, "전문대학 기관평가인증 1주기 성과분석 및 정부평가와의 상호 연계 방안 연구,"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2016.
  9. E. A. Locke and G. P. Latham, A theory of goal setting and task performance, Englewood Cliffs, N.J. : Prentice Hall, pp.6-8, 1990.
  10. E. A. Locke, "The Ubiquity of the Technique of Goal Setting in Theories of and Approaches to Employee Motivation,"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3, No.3, pp.594-601, 1978. https://doi.org/10.5465/amr.1978.4305786
  11. G. Chen, S. M. Gully, and D. Eden, "Validation of a new general self-efficacy scale,"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Vol.4, No.1, pp.62-8, 2001. https://doi.org/10.1177/109442810141004
  12. R. M. Steer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 behavioral view, Santa Monica, Calif. : Goodyear Pub. Co., pp.100-112, 1977.
  13. E. A. Locke and G. P. Latham, "Building a practically useful theory of goal setting and task motivation: A 35-year odyssey," American psychologist, Vol.57, No.9, pp.705-717, 2002. https://doi.org/10.1037/0003-066X.57.9.705
  14. 황인호, 이혜영, "조직구성원의 정보보안 정책 준수 의도: 계획된 행동이론, 목표설정이론, 억제이론의 적용,"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4권, 제7호, pp.155-166, 2016. https://doi.org/10.14400/JDC.2016.14.7.155
  15. 이주영, 심원술, "목표설정이론의 특성이 목표관리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평가와 보상의 신뢰성을 조절변수로-," 한국인력개발학회, 제8권, 제2호, pp.111-136, 2006.
  16. 김미숙, 이도화, "조직구성원의 목표성향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경영연구, 제22권, 제2호, pp.127-156, 2007.
  17. 이은숙, 목표설정 참여와 목표몰입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18. 민경진, 임상종, "보상시스템 인식 및 목표설정 특성과 경영성과와의 관련성," 전산회계연구, 제16권, 제2호, pp.139-162, 2018.
  19. 박자현, 대학도서관 조직목표 특성이 사서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20. 김은석, "취업목표 설정에 따른 대졸청년층의 직장만족도 분석," 진로교육연구, 제29권, 제4호, pp.29-46, 2016.
  21. 김민아, 목표설정이론에 기초한 대학생 학습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2. R. S. Kaplan and D. P. Norton, "Using the balanced scorecard as a strategic management system," Harvard Business Review, Vol.74, No.1, pp.75-85, 1996.
  23. R. S. Kaplan and D. P. Norton, "The Balanced Scorecard: Measures That Drive Performance," Harvard Business Review, Vol.83, No.7, 2005.
  24. R. S. Kaplan and D. P. Norton, "Using the Balanced Scorecard as a Strategic Management System," Harvard Business Review, Vol.85, No.7-8, 2007.
  25. R. S. Kaplan and D. P. Norton, "Managing Alliances with the Balanced Scorecard," Harvard Business Review, Vol.88, No.1, 2010.
  26. 김용훈, "정부부처 BSC 적용사례와 시사점,"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제2005권, pp.103-123, 2005.
  27. 김수영, "호텔경영계약의 체결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광학연구, 제24권 제3호, pp.107-125, 2001.
  28. 정태웅, "BSC 시스템 구축을 위한 호텔기업의 성과지표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9호, pp.234-241, 2008. https://doi.org/10.5392/JKCA.2008.8.9.234
  29. 이종천, 홍미경, "BSC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관리회계학회 정기학술발표논문집, pp.95-114, 2001.
  30. R. S. Kaplan and D. P. Norton, "Strategy Maps," Strategic Finance, Vol.85, No.9, pp26-35, 2004.
  31. 이상욱, 신준용, "BSC를 통한 지식자산 및 기업가치창출-국내상장 대기업의 BSC(Balanced Scorecard)도입을 중심으로-," 경영학연구, 제35권, 제2호, pp.579-607, 2006.
  32. 김영준, 라은종, "교육행정부문의 BSC 적용에 관한 연구 : 교육인적자원부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행정연구, 제24권, 제1호, pp.339-357, 2006.
  33. P. R. Niven, Balanced Scorecard Step-By-Step for Government and Nonprofit Agencies, New York : John Wiley & Sons, Inc., 2003.
  34. R. S. Kaplan and D. P. Norton, The Strategy-Focused Organization : How Balanced Scorecard Companies Thrive in the New Business Environment, Boston :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2001.
  35. 서민원, 대학교육의 효과성 변인과 측정과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6.
  36. 서대석, "대학 행정지원부문에서의 BSC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 Y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22권, 제1호, pp.185-207, 2002.
  37. 권두승, 손명호, 이경아, "대학혁신체제(CIS) 구축을 위한 BSC 도입 방안 연구," 전문대학정책과제 제2006-01, 교육인적자원부, 2006.
  38. 임지연, 이민정, "대학교육기관의 경영성과 개선을 위한 자체평가모델에 대한 연구 : K 대학 사례,"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 제8권, 제6호, pp.163-173, 2013
  39. 차가영, 김재윤, "BSC와 AHP를 활용한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경영성과지표 개발 사례연구," 대한경영학회지, 제29권, 제7호, 2016.
  40. 이상훈, 대학의 BSC 도입을 위한 성과지표 개발,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41. 김재영, "정부-민간 조직 간 BSC 운영실태 비교: 구(군)청, 공공기관 및 사립대학 등 3개 기관 사례분석," 한국거버넌스학회보, 제24권, 제1호, pp.299-321, 2017.
  42. 김병주, 나민주, 이영학, 장성주, 최손환, "대학기관평가인증제 1주기(2011-'15) 성과 및 2주기(2016-'20) 인증기준," 한국대학평가원, 1주기 기관평가인증 성과발표 및 2주기인증기준(안) 공청회 자료집, pp.17-78, 2015.
  43. 이혜승, 전영주, "의료기관 인증제도가 병원운영과 의료서비스 향상에 미치는 영향, 비인증 병원과 인증병원 비교," 사회과학연구, 제31권, 제2호, pp.235-259, 2015.
  44. 김미란, 김명숙, "일개 종합병원 간호사의 의료기관 인증평가 인지,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 안전관리 인지 변화-의료기관 인증평가 전.후 비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1호, pp.385-395, 2019. https://doi.org/10.5392/JKCA.2019.19.01.385
  45. 양남영, 최정실, "간호사의 국제의표기관평가에 대한 인식과 간호업무성과, 평가 관련 직무 스트레스 및 소진과의 관계," 간호행정학회지, 제20권, 제1호, pp.1-9, 2014. https://doi.org/10.11111/jkana.2014.20.1.1
  46. 신문주, "의료기관 인증제도가 요양병원의 조직문화, 직무만족, 경영성과 및 환자안전에 미치는 영향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2권, 10호, pp.455-466, 2014. https://doi.org/10.14400/JDC.2014.12.10.455
  47. 김만수, 이형탁, "서비스 산업에서 직무 만족이 고객만족과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 기업경영연구, 제73권, pp.137-150, 2017.
  48. H. Wold, "Partial Least Squares, in S. Kotz & N. L. Johnson(Eds.)," Encyclopedia of Statistical Sciences, Vol.6, New York: wiley, pp.581-591, 1985.
  49. H. Wold, Soft Modeling : The Basic Design and Some Extensions. in: Joreskog, K.G. and Wold, H.O.A., Eds., Systems under Indirect Observations: Part II, North-Holland, Amsterdam, pp.1-54, 1982.
  50. W. W. Chin, "The partial least squares approach to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odern methods for business research, Vol.295, No.2, pp.295-336, 1998.
  51. P. M. Podsakoff, S. B. Mackenzie, J. Y. Lee, and N. P. Podsakoff, "Common method biases in behavioral research: A critical review ofthe literature and recommended remedi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8, No.5, pp.879-903, 2003. https://doi.org/10.1037/0021-9010.88.5.8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