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act of Emotional Labor on Quality of Service by Social Workers in Public Sector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감정노동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 이용재 (호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김장환 (호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박종희 (호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9.04.02
  • Accepted : 2019.05.02
  • Published : 2019.06.28

Abstract

Recently, social welfare officers are suffering from a lot of job stress due to increasing work and are carrying out emotional labor. This study assessed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the quality of welfare service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on 937 civil servants in Sejong city and Chungcheongnam-do provinces. First, social welfare officers experienced more than average level of emotional labor, and they performed more internal behavior than surface behavior. Second, the services provided by the social welfare officers were higher than usual, followed by tangibility, assurance, reliability, empathy, and responsiveness. Third, deeping acting had a positive (+) influence on service quality among the sub-factors of emotional labor. In other words, the quality of service increases as the emotional state itself changes, On the other hand, deeping acting did not affect service quality. In the future, policy responses to excessive work burden of social welfare officers should be needed and a manual for responding to emotional labor should be provided.

최근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업무로 인해 많은 직무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는 상황에서 감정노동을 수행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세종특별시와 충청남도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 9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감정노동이 복지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은 보통수준 이상의 감정노동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표면행위보다는 내면행위를 다소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 제공하는 서비스는 보통 이상의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유형성, 보증성, 신뢰성, 감정이입, 대응성의 순이었다. 셋째, 감정노동의 하위 요인 중에서 내면행위는 서비스 질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즉, 자신의 감정상태 자체를 변화시켜 업무에 임할수록 제공하는 서비스 질은 증가하는 것이다. 반면에 하위요인 중에서 내면행위는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향후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과도한 업무 부담에 대한 정책적 대응이 필요하고, 감정노동에 대한 대응 매뉴얼을 제공하여야 한다.

Keywords

CCTHCV_2019_v19n6_541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연구모형

표 1. 설문지 구성

CCTHCV_2019_v19n6_541_t0001.png 이미지

표 2. 신뢰도 통계량

CCTHCV_2019_v19n6_541_t0002.png 이미지

표 3. 기술통계(5점 만점)

CCTHCV_2019_v19n6_541_t0003.png 이미지

표 4. 성별에 따른 감정노동과 서비스 질

CCTHCV_2019_v19n6_541_t0004.png 이미지

표 5. 전공여부에 따른 감정노동과 서비스 질

CCTHCV_2019_v19n6_541_t0005.png 이미지

표 6. 직급에 따른 감정노동과 서비스 질

CCTHCV_2019_v19n6_541_t0006.png 이미지

표 7. 업무만족에 따른 감정노동과 서비스 질

CCTHCV_2019_v19n6_541_t0007.png 이미지

표 8. 감정노동이 신뢰성에 미치는 영향

CCTHCV_2019_v19n6_541_t0008.png 이미지

References

  1. 보건복지부, 2017년 보건복지통계연보, 2017.
  2. 전형수,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3. N. James, "Care=Organization+Physical Labour+Emotional Labour," Sociology of Health & Illness, Vol.14, No.4, pp.488-509, 1992. https://doi.org/10.1111/1467-9566.ep10493127
  4. 조윤득, 신현석, 박은양, "돌봄 서비스 영역에서 감정노동이 사회복지사의 소진과 심리사회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부산.경남 지역의 시설들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26집, 제1호, pp.121-142, 2010.
  5. 김명근,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직무소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6. 김왕배, 이경용, 이가람, "감정노동자의 직무환경과 스트레스," 한국사회학, 제46권, 제2호, pp.123-149, 2012.
  7. 문현주, 신혜정, 강방글, 권지성,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감정노동 경험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행정학, 제16권, 제1호, pp.113-146, 2014.
  8. 황성준, 이재완,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 인식하는 공공복지서비스 질의 수준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2호, pp.257-272,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12.257
  9. 김이배,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역할수행 방향 모색," 사회복지정책, 제43권, 제4호, pp.63-99, 2016.
  10. 조주복, 클라이언트의 폭력이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소진에 미치는 조절효과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11. A. R. Hochschild, The managed heart: 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3.
  12. J. A. Morris and D. C. Feldman, "The dimension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1, No.4, pp.986-1010, 1996. https://doi.org/10.5465/amr.1996.9704071861
  13. 김경희,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직무스트레스매개 조직지원인식 조절효과병원조직 내 개인 간 갈등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성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14. 강철희, 김유나, "요양보호사의 정서적 탈진 연구 - 감정노동과 직무환경의 상호작용효과 분석,"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8권, 제2호, pp.235-266, 2016. https://doi.org/10.22944/KSWA.2016.18.2.009
  15. C. M. Brotheridge and A. A. Grandey, "Emotional Labor and Burnout: Comparing two Perspectives of people work,"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60, No.1, pp.17-39, 2002. https://doi.org/10.1006/jvbe.2001.1815
  16. 홍정영,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과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17. B. E. Ashforth and R. H. Humphrey, "Emotional labor in services roles : The influence of identity,"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8, No.1, pp.88-115, 1993. https://doi.org/10.5465/amr.1993.3997508
  18. 장재규, 감정노동(Emotional labor)의 역동성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19. S. M. Kruml and D. Geddes, "Exploring the dimensions of emotional labor:The heart of Hochschild's work,"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Vol.14, pp.8-49, 2000. https://doi.org/10.1177/0893318900141002
  20. 전인숙,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직업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강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21. 백정림,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이 사회복지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 신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22. D. A. Garvin, "Competing on the eight dimensions of quality," Harvard Business Review, Vol.65, pp.101-109, 1987.
  23. V. A. Zeithmal Parasuaman and L. L. Berry, "SERVQUAL: A Multiple Item Scale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s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Retailin, Vol.64, No.1, pp.12-40, 1985.
  24. 윤정혜, 안정선, 전선영,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서비스 질에 관한 실증연구-내부 서비스 질, 직무만족, 서비스 질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38집, pp.79-114, 2011.
  25. W. Tornow and J. Wiley, Service quality and management practices: A look at employee attitudes, customer satisfaction, and bottom-line consequences, Service Quality and Management Practice, 1991.
  26. T. A. Minotti, Total Quality Management in Child Welfare Organization. Impact on Worker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Rockefeller College of Public Affairs and Policy, School of Social Welfare Dissertation, 1999.
  27. 배효숙, 박은주, 박병현,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빈곤에 대한 태도와 서비스 질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9권, 제1호, pp.119-144, 2007.
  28. 정성일, 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29. 신중환, 김정우, "사회복지사의 감성노동과 비과업행동의 관계에서 감정부조화의 매개효과와 감성적 리더십의 조절효과," 한국사회복지학, 제65권, 제4호, pp.137-163, 2013. https://doi.org/10.20970/KASW.2013.65.4.006
  30. C. M. Brotheridge and R. T. Le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motional Labour Scale,"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76, No.3, pp.365-379, 2003. https://doi.org/10.1348/096317903769647229
  31. 김동환, 민원담당 공무원의 감정노동이 소진과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32. 이영희, 장애인 생활시설 생활재활 교사의 조직몰입이 서비스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33. 김애정, 사회복지기관 종사자들의 영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호남대학교 박사논문,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