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1. 연구모형
표 1. 설문지 구성
표 2. 신뢰도 통계량
표 3. 기술통계(5점 만점)
표 4. 성별에 따른 감정노동과 서비스 질
표 5. 전공여부에 따른 감정노동과 서비스 질
표 6. 직급에 따른 감정노동과 서비스 질
표 7. 업무만족에 따른 감정노동과 서비스 질
표 8. 감정노동이 신뢰성에 미치는 영향
References
- 보건복지부, 2017년 보건복지통계연보, 2017.
- 전형수,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N. James, "Care=Organization+Physical Labour+Emotional Labour," Sociology of Health & Illness, Vol.14, No.4, pp.488-509, 1992. https://doi.org/10.1111/1467-9566.ep10493127
- 조윤득, 신현석, 박은양, "돌봄 서비스 영역에서 감정노동이 사회복지사의 소진과 심리사회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부산.경남 지역의 시설들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26집, 제1호, pp.121-142, 2010.
- 김명근,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직무소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 김왕배, 이경용, 이가람, "감정노동자의 직무환경과 스트레스," 한국사회학, 제46권, 제2호, pp.123-149, 2012.
- 문현주, 신혜정, 강방글, 권지성,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감정노동 경험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행정학, 제16권, 제1호, pp.113-146, 2014.
- 황성준, 이재완,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 인식하는 공공복지서비스 질의 수준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2호, pp.257-272,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12.257
- 김이배,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역할수행 방향 모색," 사회복지정책, 제43권, 제4호, pp.63-99, 2016.
- 조주복, 클라이언트의 폭력이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소진에 미치는 조절효과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 A. R. Hochschild, The managed heart: 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3.
- J. A. Morris and D. C. Feldman, "The dimension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1, No.4, pp.986-1010, 1996. https://doi.org/10.5465/amr.1996.9704071861
- 김경희,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직무스트레스매개 조직지원인식 조절효과병원조직 내 개인 간 갈등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성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 강철희, 김유나, "요양보호사의 정서적 탈진 연구 - 감정노동과 직무환경의 상호작용효과 분석,"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8권, 제2호, pp.235-266, 2016. https://doi.org/10.22944/KSWA.2016.18.2.009
- C. M. Brotheridge and A. A. Grandey, "Emotional Labor and Burnout: Comparing two Perspectives of people work,"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60, No.1, pp.17-39, 2002. https://doi.org/10.1006/jvbe.2001.1815
- 홍정영,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과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 B. E. Ashforth and R. H. Humphrey, "Emotional labor in services roles : The influence of identity,"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8, No.1, pp.88-115, 1993. https://doi.org/10.5465/amr.1993.3997508
- 장재규, 감정노동(Emotional labor)의 역동성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 S. M. Kruml and D. Geddes, "Exploring the dimensions of emotional labor:The heart of Hochschild's work,"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Vol.14, pp.8-49, 2000. https://doi.org/10.1177/0893318900141002
- 전인숙,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직업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강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백정림,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이 사회복지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 신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 D. A. Garvin, "Competing on the eight dimensions of quality," Harvard Business Review, Vol.65, pp.101-109, 1987.
- V. A. Zeithmal Parasuaman and L. L. Berry, "SERVQUAL: A Multiple Item Scale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s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Retailin, Vol.64, No.1, pp.12-40, 1985.
- 윤정혜, 안정선, 전선영,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서비스 질에 관한 실증연구-내부 서비스 질, 직무만족, 서비스 질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38집, pp.79-114, 2011.
- W. Tornow and J. Wiley, Service quality and management practices: A look at employee attitudes, customer satisfaction, and bottom-line consequences, Service Quality and Management Practice, 1991.
- T. A. Minotti, Total Quality Management in Child Welfare Organization. Impact on Worker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Rockefeller College of Public Affairs and Policy, School of Social Welfare Dissertation, 1999.
- 배효숙, 박은주, 박병현,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빈곤에 대한 태도와 서비스 질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9권, 제1호, pp.119-144, 2007.
- 정성일, 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신중환, 김정우, "사회복지사의 감성노동과 비과업행동의 관계에서 감정부조화의 매개효과와 감성적 리더십의 조절효과," 한국사회복지학, 제65권, 제4호, pp.137-163, 2013. https://doi.org/10.20970/KASW.2013.65.4.006
- C. M. Brotheridge and R. T. Le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motional Labour Scale,"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76, No.3, pp.365-379, 2003. https://doi.org/10.1348/096317903769647229
- 김동환, 민원담당 공무원의 감정노동이 소진과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 이영희, 장애인 생활시설 생활재활 교사의 조직몰입이 서비스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 김애정, 사회복지기관 종사자들의 영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호남대학교 박사논문,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