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신옥.방혜선(2010). 농촌노인과 도시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관한 비교연구. 노인복지연구, 49, 287-310.
- 강지애(2007). 노인의 생산적 활동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강희엽.이철원.이민석(2017). 노인들의 진지한 여가, 스트레스 관련 성장 및 행복감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1(1), 1-14.
- 권구영.최정민(2007).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경험과 삶의 질 간의 관계: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38, 51-78.
- 김명숙.고종욱(2013). 노인 생활만족도 결정요인에 대한 통합적 접근.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3(6), 246-259.
- 김상범(2011). 노인의 생산적 노화활동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수봉(2010). 노인의 생활만족도 개선을 위한 사회정책의 방향. 노인복지연구, 47, 95-112.
- 김왕기.한정란(2016).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유형별 만족도 및 효과-농촌지역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71(1), 33-51.
- 김은정.정순둘(2011). 맞벌이 가정 영유아 손자녀 양육조모의 삶의 만족도: 양육보상감, 가족관계,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54, 285-310.
- 김주현(2007). 노인의 생산적 활동의 복합성과 생활만족도. 한국인구학, 30(3), 57-81.
- 김주현(2016). 한국여성 노인의 가족 돌봄과 생활만족도. 한국인구학, 39(2), 49-70.
- 김현국.박영순.송영명(2012). 노인의 대인 관계 정도 및 여가활동 참여가 노년기 우울과 노후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6(1), 1-15.
- 남기민.박현주(2010). 노인의 종교활동과 사회활동 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49, 405-428.
- 박평(2013).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생활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1(9), 113-126. https://doi.org/10.14400/JDPM.2013.11.9.113
- 신수태.빈성오(2011). 대구지역 노인들의 자원봉사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37(2), 23-51.
- 양영순(2007). 고령화사회에서 노인의 시간사용과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16, 1-26.
- 유용식(2016).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한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6(1), 129-139.
- 유재남(2011). 노년기 성공적 노화와 삶의 만족도 궤적에 관한 종단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윤현숙.원성원(2010). 노인의 영성과 종교 활동이 생활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0(4), 1077-1093.
- 이미경.최영순.남은숙(2017). 농어촌 거주 노인의 주관적 생활만족도 결정요인. 한국도서연구, 29(2), 73-90.
- 이보람.이정규(2016). 노인의 생활만족에 대한 사회적 참여와 경제적 참여의 효과 비교. 노인복지연구, 71(2), 351-377.
- 이소정(2013). 노인의 사회적 역할 유형과 삶의 만족. 한국사회정책, 20(4), 9-35. https://doi.org/10.17000/KSPR.20.4.201312.9
- 이정훈.이한우.이옥자(2014). 노인의 공식/비공식적 생산적 활동이 성공적 노후에 미치는 영향: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66, 287-305.
- 이필호.조용하(2012). 노인의 여가 및 자원봉사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 Andragogy Today: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IJACE), 15(2), 27-56.
- 이혜자.전동일(2011). 농촌, 도시지역 거주 노인의 생산적 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1(2), 419-437.
- 장석준(2010). 경로대학 활성화를 통한 전인적 노인교육에 관한 연구.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장주효(2010). 노인의 생활영역만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정순둘.박애리.기지혜(2015). 손자녀 돌봄의 종단적 유형과 조부모의 삶의 만족도 및 가족관계 만족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조사연구, 16(3), 45-73.
- 조희금.이미영(2017). 농촌 노인의 생활안전을 위한 정책적 제언.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1(2), 1-24.
- 조희금.이미영.강혜경.엄가영(2014), 농촌 고령자의 일상활동능력 및 우울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2(6), 617-627. https://doi.org/10.6115/fer.2014.052
- 통계청(2018). 2018 고령자 통계 보도자료(보도일시: 2018년 9월 27일).
- 통계청(2015). 2014 생활시간조사 결과 보도자료(보도일시: 2015년 6월 29일).
- 최성재.장인협(2012). 고령화사회의 노인복지학.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최영.차승연(2013). 손자녀 돌봄 조부모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복지정책, 40(3), 183-206.
- 최인희(2014). 손자녀 돌봄이 여성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돌봄에 대한 자발성과 주관적 평가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6(4), 118-138.
- 최인희.김영란.염지혜(2012). 100세 시대 대비 여성노인의 가족돌봄과 지원방안 연구. 서울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http://www.krei.re.kr/krei/index.do (접속일자: 2019년 1월 7일)
- 한상미(2011). 노인의 사회적 여가활동과 생활 만족도-여가만족과 고독감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2(3), 157-182.
- McDowell, I. & Newell, C.(1987). Quality of life and life satisfaction, measuring health, a guide to rating scales and questionnaire. Oxford : Oxford University Press.
- Neugarten, B. L., Havighurst, R. J. & Tobin, S. S.(1961).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16(1), 134-43. https://doi.org/10.1093/geronj/16.2.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