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Role Type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n Rural Areas

농촌 노인의 역할유형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이미영 (대구대학교 가정복지학과)
  • Received : 2018.12.01
  • Accepted : 2019.02.14
  • Published : 2019.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ole types that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n rural areas. The research subjects were 1,000 people aged 65 years and over living in the rural areas of Korea.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substituting the role of rural elderly people into the role type of Rosow, the family role was drastically decreased, the health and self-management roles were increased and the social role was not changed much. In other words, the role type of the rural elderly supported the hypothesis proposed by Rosow. Second, life satisfaction was affected by monthly living expenses, social role, educational level, gender, farm, and religion. In order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rural elderly, it is necessary to build programs and infrastructures that can play social roles in rural areas.

Keywords

References

  1. 강신옥.방혜선(2010). 농촌노인과 도시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관한 비교연구. 노인복지연구, 49, 287-310.
  2. 강지애(2007). 노인의 생산적 활동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강희엽.이철원.이민석(2017). 노인들의 진지한 여가, 스트레스 관련 성장 및 행복감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1(1), 1-14.
  4. 권구영.최정민(2007).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경험과 삶의 질 간의 관계: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38, 51-78.
  5. 김명숙.고종욱(2013). 노인 생활만족도 결정요인에 대한 통합적 접근.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3(6), 246-259.
  6. 김상범(2011). 노인의 생산적 노화활동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수봉(2010). 노인의 생활만족도 개선을 위한 사회정책의 방향. 노인복지연구, 47, 95-112.
  8. 김왕기.한정란(2016).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유형별 만족도 및 효과-농촌지역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71(1), 33-51.
  9. 김은정.정순둘(2011). 맞벌이 가정 영유아 손자녀 양육조모의 삶의 만족도: 양육보상감, 가족관계,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54, 285-310.
  10. 김주현(2007). 노인의 생산적 활동의 복합성과 생활만족도. 한국인구학, 30(3), 57-81.
  11. 김주현(2016). 한국여성 노인의 가족 돌봄과 생활만족도. 한국인구학, 39(2), 49-70.
  12. 김현국.박영순.송영명(2012). 노인의 대인 관계 정도 및 여가활동 참여가 노년기 우울과 노후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6(1), 1-15.
  13. 남기민.박현주(2010). 노인의 종교활동과 사회활동 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49, 405-428.
  14. 박평(2013).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생활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1(9), 113-126. https://doi.org/10.14400/JDPM.2013.11.9.113
  15. 신수태.빈성오(2011). 대구지역 노인들의 자원봉사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37(2), 23-51.
  16. 양영순(2007). 고령화사회에서 노인의 시간사용과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16, 1-26.
  17. 유용식(2016).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한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6(1), 129-139.
  18. 유재남(2011). 노년기 성공적 노화와 삶의 만족도 궤적에 관한 종단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윤현숙.원성원(2010). 노인의 영성과 종교 활동이 생활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0(4), 1077-1093.
  20. 이미경.최영순.남은숙(2017). 농어촌 거주 노인의 주관적 생활만족도 결정요인. 한국도서연구, 29(2), 73-90.
  21. 이보람.이정규(2016). 노인의 생활만족에 대한 사회적 참여와 경제적 참여의 효과 비교. 노인복지연구, 71(2), 351-377.
  22. 이소정(2013). 노인의 사회적 역할 유형과 삶의 만족. 한국사회정책, 20(4), 9-35. https://doi.org/10.17000/KSPR.20.4.201312.9
  23. 이정훈.이한우.이옥자(2014). 노인의 공식/비공식적 생산적 활동이 성공적 노후에 미치는 영향: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66, 287-305.
  24. 이필호.조용하(2012). 노인의 여가 및 자원봉사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 Andragogy Today: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IJACE), 15(2), 27-56.
  25. 이혜자.전동일(2011). 농촌, 도시지역 거주 노인의 생산적 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1(2), 419-437.
  26. 장석준(2010). 경로대학 활성화를 통한 전인적 노인교육에 관한 연구.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장주효(2010). 노인의 생활영역만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정순둘.박애리.기지혜(2015). 손자녀 돌봄의 종단적 유형과 조부모의 삶의 만족도 및 가족관계 만족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조사연구, 16(3), 45-73.
  29. 조희금.이미영(2017). 농촌 노인의 생활안전을 위한 정책적 제언.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1(2), 1-24.
  30. 조희금.이미영.강혜경.엄가영(2014), 농촌 고령자의 일상활동능력 및 우울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2(6), 617-627. https://doi.org/10.6115/fer.2014.052
  31. 통계청(2018). 2018 고령자 통계 보도자료(보도일시: 2018년 9월 27일).
  32. 통계청(2015). 2014 생활시간조사 결과 보도자료(보도일시: 2015년 6월 29일).
  33. 최성재.장인협(2012). 고령화사회의 노인복지학.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34. 최영.차승연(2013). 손자녀 돌봄 조부모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복지정책, 40(3), 183-206.
  35. 최인희(2014). 손자녀 돌봄이 여성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돌봄에 대한 자발성과 주관적 평가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6(4), 118-138.
  36. 최인희.김영란.염지혜(2012). 100세 시대 대비 여성노인의 가족돌봄과 지원방안 연구. 서울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37. 한국농촌경제연구원. http://www.krei.re.kr/krei/index.do (접속일자: 2019년 1월 7일)
  38. 한상미(2011). 노인의 사회적 여가활동과 생활 만족도-여가만족과 고독감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2(3), 157-182.
  39. McDowell, I. & Newell, C.(1987). Quality of life and life satisfaction, measuring health, a guide to rating scales and questionnaire. Oxford : Oxford University Press.
  40. Neugarten, B. L., Havighurst, R. J. & Tobin, S. S.(1961).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16(1), 134-43. https://doi.org/10.1093/geronj/16.2.134